• 제목/요약/키워드: Informal network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6초

재사용성 향상을 위한 도메인 명세화 컴포넌트(DSC)의 설계 (Domain Specification Component Design to Improve Software Reusability)

  • 권영희;조은경;이권일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2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3)
    • /
    • pp.161-164
    • /
    • 2002
  • The informal specification technique lacks abstraction and preciseness. On the other hand, the formal specification technique makes the developer difficult to express and understand the software specification, because it contains mathematical expression. This paper proposes DSC(Domain Specification Component) to solves these problems. DSC supports the understanding of problem domain and improves reusability with selecting the strong point of informal and formal specification technique. We applied the proposed DSC to CMIP-based network management manager software. And we analyzed the effects of the reusability and confirmed the increase of the reusability.

  • PDF

노인의 문자메시지 및 SNS 활용역량과 비공식적 사회관계망과의 접촉에 관한 연구 (Senior' Use of Text Messages and SNS and Contact with Informal Social Network Members)

  • 정찬우;최희정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401-414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의 문자메시지와 SNS 활용역량이 비동거 자녀, 형제·자매 및 친인척, 친구, 이웃, 지인과의 접촉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2017년 노인실태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8,392명으로, 노인의 문자메시지 받기와 보내기, SNS 활용역량을 기준으로 4집단으로 구분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노인이 문자메시지와 SNS를 모두 사용하는 능력을 보유하였을 때, 비공식적 사회관계망을 구성하는 모든 성원과 비대면 접촉(연락)이 가장 빈번하였다. 그러나 문자메시지와 SNS 활용역량은 친구, 이웃, 지인과의 대면접촉 빈도와 주로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문자메시지와 SNS 활용역량이 가족 및 친구와의 정서적, 도구적 지원 교환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여 지역사회에서 거주하는 노인의 삶의 질에 기여할 가능성을 제시한다. 또한 비공식적 사회관계망 성원들과 관계를 지속하는데 정보화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경찰 범죄정보 수집 활동의 관계망 분석: 비공식적 사회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Police Networks for Criminal Intelligence Functions: Based on Informal Social Network Analysis)

  • 최영진;양창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448-459
    • /
    • 2020
  • 최근 국민의 생명과 사회 안전에 대한 관심이 부각됨에 따라 국가 기관들의 정보활동에 대한 논의가 확대되고 있다. 특히 경찰 조직은 공공안녕에 대한 위험의 예방과 대응 관련 정보의 수집·작성 및 배포를 주요 활동 범위에 포함하고 있지만 수사첩보의 처리와 활용에 대한 정보경찰과 수사경찰 구성원 간의 인식 차이는 경찰 수사력 강화에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본 연구는 경찰조직의 범죄정보 수집 활동을 제고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하여 비공식적 사회연결망 분석을 통해 경찰 구성원들의 유기적 연계관계를 파악하고, 비공식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정보활동의 맥락과 그 관계적 속성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정보경찰과 수사경찰 구성원 간의 역할 수행이 상이한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발신 및 수신 중심성이 높은 특정 구성원들이 범죄정보 수집 활동에서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형사과와 정보과 간의 협조체제 구축을 위해서는 상대조직의 정보공유자를 발굴하여 정보협조의 공백을 최소화하고 범죄정보의 교류가 상호 의존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향후 경찰조직의 범죄정보 수집 활동을 개선하기 위한 효율적 협조체제 관계망을 구축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프로토콜 평가를 위한 DEVSim++ 와 NS2 의 연동 환경 (DEVSim++ - NS2 Interoperating Environment for Protocol Evaluation)

  • 김회준;김탁곤
    • 한국시뮬레이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253-258
    • /
    • 2002
  • This paper proposes a methodology for development of protocol models. The methodology attempts to employ two modeling environments in models development, NS2 and DEVSim++, which will interoperate during simulation. NS2 is a widely used network simulator in protocol research, which employs an informal modeling approach. Within the approach time and state information of protocol models are not explicitly described, thus being hard to validate model. On the other hand the DEVS formalism is a mathematical framework for modeling a discrete event system in a hierarchical, modular manner. In DEVS, model's time and state information is described explicitly, By using DEVS formalism, models can easily be validated and errors in the modeling stage can be reduced. However, the DEVS simulator, DEVSim++, supports a small amount of models library which are required to build simulation models of general communication network. Although NS2 employs an informal modeling approach and models validation is difficult, it supports abundant models library validated by experimental users. Thus, combination of DEVS models and NS2 models may be an effective solution for network modeling. Such combination requires interoperation between DEVSim++ simulator and NS2 simulator. This paper develops an environment for such interoperation. Correctness and effectiveness of the implemented interoperation environment have been validated by simulation of UDP and TCP models.

  • PDF

사회연결망분석을 이용한 신생조직 내부의 지식흐름 진단: A사 해외법인 사례연구 (Diagnosing Organizational Knowledge Flow through Social Network Analysis: A Foreign Branch Case of A Global Company)

  • 양성병
    • 지식경영연구
    • /
    • 제13권1호
    • /
    • pp.13-24
    • /
    • 2012
  • Unlike the traditional belief that knowledge flows along the formal reporting procedures, recent social network research has reported the importance of informal social networks which may play a critical role as the real knowledge conduits. In fact, as a complementary approach of utiliz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KMSs), many firms have focused on managing informal knowledge flow through which to acquire and transfer valuable knowledge in a fast and effective way. In a case of global companies that have newly developed foreign branches or subsidiaries, due to cultural or institutional differences and lack of understanding of knowledge management and its benefits, they often have difficulties in activating knowledge sharing in local branches. In these situations, diagnosing organizational knowledge flow through SNA can be a first step to solve the problems. Therefore, in this paper, I report on the result of case study on a foreign branch of "A" global company by identifying organizational knowledge path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diagnosis, some implications and insights for building knowledge management (KM) strategy specified for a newly developed foreign branch will also be discussed.

  • PDF

형식적 및 비형식적 어휘 정보를 반영한 문장 감정 분류 (A Sentence Sentiment Classification reflecting Formal and Informal Vocabulary Information)

  • 조상현;강행봉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8B권5호
    • /
    • pp.325-332
    • /
    • 2011
  • 최근 트위터, 페이스북과 같은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SNS)가 활성화됨에 따라 서비스 사용자들에 의해 작성된 막대한 텍스트들로부터 의미 있는 정보를 찾기 위한 연구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특히 문장에 담겨 있는 감정은 활용 범위가 매우 넓은 정보로서 문장에 대한 감정을 분류하는 일은 매우 유용한 일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문장의 감정을 분류하기 위해 문장에 포함되어 있는 형식적 어휘 정보와 이모티콘이나 인터넷 용어와 같은 온라인상에서 많이 이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비형식적 어휘 정보를 이용한 새로운 문장 감정 분류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에는 문장의 감정을 분류하기 위해 사전을 기반으로 한 형식적 어휘 정보를 이용했지만, 최근 인터넷 사용자들은 인터넷 용어나 이모티콘과 같은 비형식적 어휘를 많이 사용해 기존의 형식적 어휘 정보만으로는 정확한 감정 분류가 어렵다. 제안한 방법은 형식적 어휘 정보와 비형식적 어휘 정보를 이용해 다양한 형태의 어휘를 포함하는 인터넷 상의 문장들에 대해 보다 정확한 감정 분류 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같은 어휘라도 도메인별로 다른 감정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으므로 제안한 방법에서는 도메인별로 다른 감정 어휘정보를 이용했다. 각 감정 어휘 정보를 통해 특징벡터로 표현된 문장은 Support Vector Machine(SVM) 분류 방법을 통해 감정을 분류하고 그 성능을 평가했다.

조직 내 중심성이 IT활용능력에 미치는 영향: 소셜네트워크 관점 (Effects of Centrality on IT Usage Capability : A Perspective of Social Networks)

  • 김효준;곽기영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0권1호
    • /
    • pp.147-169
    • /
    • 2011
  • In organizations, evaluating the competency of individuals through the position or status has many limitations. To overcome these limita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organization's informal network using social network analysis. We measured out-degree centrality and in-degree centrality by making use of social network analysis technique. Out-degree centrality is interpreted as 'madangbal' in that actors actively help other people, while in-degree centrality is interpreted as 'prestige' in that other people want to have a relationship with.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s of individual's 'prestige' and 'madangbal' in the instrumental network and communication network on IT competency. We carried out empirical analysis using social network data that were collect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The result reveals that relationship between IT competency and centrality in the instrumental network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ile relationship between IT competency and centrality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does not show significant results.

한국 생물과학자들의 비공식 커뮤니케이션(I) (Informal Communication among Korean Biological Scientists)

  • 조명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87-101
    • /
    • 1987
  • 본 조사는 한국 생물과학분야 과학자들의 커뮤니케이션 관계에 근거한 사회적 조직을 규명하며, 그들의 정보교환 행태를 분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사회계량적 조사방법을 사용한 결과, 74%의 과학자들이 한개의 큰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생산성이 높고 의사 소통량이 많은 대부분의 과학자가 이에 포함되었다. 많은 접촉을 받은 중심인물들은 정보유통의 중앙 지점에 위치하며, 중요 정보원들임과 동시에 정보 생산자들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