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welling

검색결과 167건 처리시간 0.03초

지속적(持續的) 미추차단(尾椎遮斷)에 의한 동통관리(疼痛管理) 3예(三例) (Continuous Caudal Block for Intractable Pain)

  • 박윤곤;윤덕미;오흥근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권1호
    • /
    • pp.85-88
    • /
    • 1989
  • We experienced 3 cases of continuous caudal block. The first case had suffered from severe pain of the external genitalis after urethral injury from a car accident and this was controlled by continuous caudal block. The other 2 cases were a metastaric malignant tumor of the lumbar vertebra from cancer of the cervix and histiocytoma of the breast, and both had suffered from intractable pain of the lower extremity. But lumbar epidural block was impossible because of radiation fibrosis and previous operation scar of the spine. So a continuous caudal block was performed and the pain was controlled effectively. The longest duration was 50 days and there were no problems related catheter indwelling. Pain in the area of the lumbar and sacral nerve distribution can be controlled by continuous caudal block. Here in we reported 3 cases and reviewed the literature.

  • PDF

지속적 경막외 차단후 카테터 끝의 감염에 대한 검사 (Bacteriological Culture of Indwelling Epidural Catheters)

  • 윤덕미;이윤우;오흥근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4권1호
    • /
    • pp.26-30
    • /
    • 1991
  • Continuous epidural analgesia is widely used in pain management. We investigates the incidence of contamination of epidural catheters used in epidural catheters for pain control. The tips of epidural catheters were examined for bacterial growth after use. In culture from 250 patients undergoing continuous epidural catheterization, 33(13.2%) catheters were found to be contaminated: staphylococcus epidermis 66.9%; staphylococcus aureus 12.1%; alpha streptococcus 12.1%; and others 9.1%. One significant epidural infection occured. One of the most common causes of the epidural infection during long time epidural block is the transmission of the microorganism from the contaminated skin to the epidural space along the epidural catheter. To prevent epidural infection, sterilization of the skin around the epidural catheter is essential.

  • PDF

병원 감염관리에 대한 실태조사 -간호수기를 중심으로 - (A survey on Hospital Infection)

  • 이선옥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325-338
    • /
    • 1993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ethods used in nursing procedures for infection control. Skilled nursing procedures are related to prevention of hospital infection. The sample consisted of 301 nurses’ response to the questionnaire. Data were collected from Feb. to March, 1993 from 35 hospitals located in five major cit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Rotatively unsafe nursing procedures were reported for preperation of IV therapy, change of IV site and aseptic dressing on IV site, hand wash-ing and use of paper towels, use of sterile urine bottle with indwelling urinary catheter, management of dressing cart, disinfection of transfer forcep, ambu respirator, laryngoscope, humidifier and handling of incubator. 2) Relatively safe nursing procedures were reported for management of suction tube, marking for contaminated materials and waste collection. The rate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programs for infection control by the nurses was higher than in other research results. 3) Further study on procedures for IV site in-fusion and care of dressing cart are recommended.

  • PDF

A Case of Infantile Fungal Urinary Tract Infection

  • Cho, Wonhee;Jo, Young Min;Oh, Yun Kyo;Rim, Ji Woo;Lee, Won Uk;Choi, Kyongeun;Ko, Jeong Hee;Jeon, Yeon Jin;Choi, Yumi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3권2호
    • /
    • pp.121-123
    • /
    • 2019
  • Urinary tract infection is common in the pediatric population. The most common causative agents are bacteria, among which Escherichia coli is the most frequent uropathogen. Although fungal urinary tract infection is rare in the healthy pediatric population, it is relatively common among hospitalized patients. Fungus may be isolated from the urine of immunocompromised patients or that of patients with indwelling catheters. The most common cause of funguria is Candida albicans. Although more than 50% of Candida isolates belong to non-albicans Candida, the prevalence of non-albicans candiduria is increasing. Herein, we report a case of community-acquired candiduria in a 4-month-old immunocompetent male infant who had bilateral vesicoureteral reflux and was administered antibiotic prophylaxis. He was diagnosed with urinary tract infection caused by Candida lusitaniae and was managed with fluconazole.

자연 기흉의 치료에서 8 French 도관삽입의 치료 효과에 대한 장기적 관찰 (The Long-term Follow-up Study of Therapeutic Effects of 8 French Catheter for Spontaneous Pneumothorax)

  • 신종욱;이병훈;안창혁;최재선;유지훈;임성용;강윤정;고형기;김재열;나문준;박인원;손동섭;최병휘;허성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5호
    • /
    • pp.1094-1104
    • /
    • 1997
  • 연구배경 : 자연 기흉은 기저 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에서 발생하는 원발성 자연 기흉과, 결핵이나 만성폐쇄성 폐질환에서 발생하는 속발성 자연기흉으로 나뉘어지며, 자연 기흉에 대한 치료는 다양하지만 흔히 흉관 삽입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고 있다. 흉관삽입법은 특별한 술식과 삽입시 통증, 피하기종, 감염 등의 합병증이 문제되는 바 본 저자들은 흉관에 비해 직경이 훨씬 작은 8 French 도관을 자연 기흉의 치료에 적용했을 때 단기적인 치료 효과가 있음을 이전 연구에서 확인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의인성 기흉의 치료에 이용되어져 왔던 작은 직경의 도관을 자연 기흉의 치료에 적용하였을 때, 치료 성공후 추적관찰을 통하여 재발율을 조사하여 장기적인 치료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0년 1월부터 1996년 1월까지 중앙대학교 부속병원 내과와 흉부외과에서 8 French 도관 또는 흉관 삽입법으로 치료받은 원발성 또는 속발성 자연 기흉 환자 6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은 기흉의 크기가 가 25% 이상, 기흉의 크기에 관계없이 호흡곤란이나 흉통이 발생하였을 때, 기흉의 크기가 증가할 때, 다시 재발한 자연 기흉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긴장성 기흉, 혈흉, 화학적 흉막유착술이나 흉강경하 기포절제술을 한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임상특성(성별, 연령별, 과거 기흉의 유무, 기흉의 크기, 기저 질환의 유무)을 조사하고 합병증, 유치기간, 의무기록이나 개인적 접촉을 통하여 관찰 후 재발율을 비교 분석 하였다. 결과 : 8 French 삽입군과 흉관 삽입군의 추적 관찰기간의 중앙값은 각각 28개월, 22개월로 양군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았다. 8 French 도관 삽입군과 흉관 삽입군의 대상환자들의 임상적 특성-성별, 연령별, 기저 질환의 유무, 기흉의 크기의 분포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원발성 및 속발성을 포함한 자연 기흉을 대상으로 비교한 결과, 도관 또는 흉관의 유치기간은 8 French 도관 삽입군이 $6.2{\pm}3.8$일로 흉관삽입군의 $9.1{\pm}7.5$일에 비해 유의하게 짧았다(p=0.047). 원발성 자연 기흉을 대상으로 두군을 비교하여, 8 French 도관 삽입군의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은 6.25%로 흉관삽입군의 23.8%에 비해 더 적은 경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0.041 ; one-tailed, p=0.053, two-tailed). 8 French 도관 삽입군과 흉관 삽입군에서 재발율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 이상의 결과로 원발성 또는 속발성 자연 기흉에 대한 치료로 지금까지의 흉관삽입법에 대하여 더 작은 직경의 도관을 삽입하여 치료에 의한 합병증의 빈도를 줄이면서, 치료기간을 줄이고 장기적인 재발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하여 전향적인 연구가 앞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일차성 기흉 치료에서 흉강경 기포 절제술 시 재발 방지를 위한 Staple Line 보강재 사용 (Trial of a Synthetic Absorbable Staple Line Reinforcement for Preventing Recurrence after Performing Video-assisted Thoracoscopic Bullectomy for the Treatment of Primary Pneumothorax)

  • 박재홍;유병하;김한용;황상원;김명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2권3호
    • /
    • pp.337-343
    • /
    • 2009
  • 배경: 일차성 기흉 치료에서 비디오 흉강경수술 후 재발이 큰 문제이다. 이 연구는 기포 절제술 시에 재발 방지를 위해 자동봉합기의 봉합면에 흡수성 보강재(GORE $SEAMGUARD^{(R)}$)를 사용 후 안정성과 효과에 대해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 성균관의대 마산삼성병원 흥부외과에서 일차성 기흉 치료에 흉강경 수술로 300명을 시행하였다. 143명(Group A)은 자동 봉합기 봉합선 보강재를 사용하였고, 142명(Group B)은 자동 봉합기만 사용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기계적인 흉막유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시간, 흉관 거치기간, 입원기간과 수술 후 재발된 환자 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후의 사망은 없었으며, 비디오 흉강경 수술에서 개흉술로 전환된 환자는 5% (15/300)였다. 두 군간의(Croup A versos Group B) 비교에서는 수술시간($49.6{\pm}25.6$ vs $51.8{\pm}30.4$ minutes, p=0.514), 흉관 거치기간($5.8{\pm}2.5$ vs $7.2{\pm}3.3$ days, p<0.005), 입원기간($10.9{\pm}4.3$ vs $12.5{\pm}4.3$ days, p<0.005), 그리고 재발률(14 (9.8%) vs 10 (7.0%), 전체 8.4%, p=0.523), 추적 관찰 기간($48.1{\pm}36.6$ vs $36.5{\pm}24.4$ months)의 차이를 보였다. 결론: 통상적인 방법의 수술보다 자동봉합기 봉합선 보강재를 사용한 군에서 흉관 거치기간과 입원기간에는 장점이 있었으나 재발률에는 영향이 없었다.

원발성 자연기흉에 대한 초 치료로서 7-French 흉관의 적용 (Clinical Efficacy of 7-French Catheter for Initial Treatment of Primary Spontaneous Pneumothorax)

  • 류경민;정의석;조석기;성숙환;전상훈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5호
    • /
    • pp.394-398
    • /
    • 2006
  • 배경: 원발성 자연기흉에 대한 초 치료의 목적은 흉막강 내의 공기 제거와 폐장의 재팽창 유도이며,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20 Fr이상 크기의 흉관을 흉막강에 삽입한다. 그러나 원발성 자연기흉의 병태 생리를 고려할 때보다 작은 크기의 흉관으로도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생각에서, 7 Fr 크기의 도관을 흉관으로 사용하여 그 효용성과 보완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5월부터 2005년 4월까지 원발성 자연기흉으로 입원 치료를 한 환자 중 초 치료로 흉강삽관술을 시행한 11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토대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7 Fr 흉관을 사용한 환자들과 24 Fr 흉관을 사용한 환자들의 흉관 거치기간, 진통제의 사용여부, 폐의 재팽창 정도, 합병증 등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흉관의 평균 거치기간은 7 Fr군이 $2.4{\pm}1.1$일, 24 Fr군이 $2.3{\pm}1.3$일로 차이가 없었다. 주사 진통제의 사용은 7 Fr군에서는 없었으나 24 Fr군에서는 모든 환자들이 사용하였다. 7 Fr 흉관만을 사용하여 치료한 환자들의 77%에서 폐장의 완전 재팽창을 얻을 수 있었다. 7 Fr 흉관의 문제점은 도관의 꺾임이며, 5.6%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7 Fr 흉관을 이용한 원발성 자연기흉의 초 치료는 기존의 24 Fr 흉관과 비교하여 공기제거, 폐의 재팽창, 통증경감, 미용적 측면에서 모두 만족할 만 하였으나, 꺾임을 방지할 수 있게 도관의 개량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기본간호학 교과서의 근거기반 도뇨관련 요로감염 예방 실무지침에 대한 반영 현황 (Reflected Status of Evidence-Based Guideline on Fundamental Nursing Textbooks for Prevention of Catheter-Associated Urinary Tract Infections)

  • 김윤희;장금성;정경희;최자윤;양진주;박순주;박현영;류세앙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344-357
    • /
    • 2017
  • 본 연구는 근거기반 실무지침에 대한 간호학 교과서의 반영 현황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2012년 3월부터 2017년 3월까지 출간된 기본간호학 교과서 14개로써 이론서 7개와 실습서 7개로 구성되었고, 근거기반 실무지침은 5개의 도뇨관련 요로감염예방 실무지침으로부터 포괄적으로 수렴하여 91개 권고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근거기반 실무지침에 대한 기본간호학 이론서와 실습서의 총 반영률은 각각 23.0%와 15.2%이었다. 이론서에 반영률이 가장 높은 영역은 도뇨관 유지 영역이었고 실습서는 도뇨관 삽입 영역이었다. 반영률이 50%이상인 개별 권고문항은 총 91개 중 16개이었고 이중 도뇨관 유지에 관한 권고문항이 8개(50.0%)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에 반영은 되었지만 상반되게 기술된 개별 권고문항은 총 9개 이었고, 요실금 관리를 위한 도뇨, 도뇨관의 정기적 교환, 도뇨관 제거 전 방광훈련과 회음부 간호의 순이었다. 향후 기본간호학 교과서를 개정할 때 오류내용이 우선 교정되어야 하고 근거기반 실무지침 권고내용에 대한 반영을 확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Gilt에 있어서 Difluoromethylornithine에 의한 LH분비 억제 (Suppression of LH Concentration by Difluoromethylornithine in Gilts)

  • 박석천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5-171
    • /
    • 1993
  • Ornithine decarboxylase(ODC)가 polyamine 생합성에 주요 효소로 역할을 하지만 difluoromethylornithine(DFMO)은 polyamine 합성에 억제자로 작용하고 있다. Cycling crossbed gilt들을 무작위로 두 그룹으로 분배하였다(6/group). Indwelling silicone catheter를 모든 동물의 경정맥에 수술을 통해 이식하였다. DFMO는 생리식염수(20mg/ml)에 용해하여 매일 80mg/kg을 i.m.으로 주사하였으며 대조구에게는 같은 양의 생지식염수만을 주사하였다. DFMO는 estrous cycle day 16일부터 21일 혹은 발정때까지 하루 3번(08:00, 16:00, 24:00h) 주사하였다. Day 14일 부터 마지막 DFMO주사 이틀 후까지 하루 한번씩 10ml의 혈액을 채취하였다. Day 16일부터 21일까지 매일 다른 gilt로부터 8시간 동안(08:00∼16:00h) 15분 간격의 주기로 window 혈액을 채취하였다. Serum으로부터 progesteron(P4), Estradiol(E2), LH 및 FSH를 측정하였다. P4와 E2는 DFMO처리에 관계없이 follicular phase동안에 전형적인 profile을 보였다. DFMO처리는 발정직전의 LH농도를 저하시켰지만 (p<0.01), FSH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gilt에 있어서 DFMO는 LH분비에 억제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 P4, E2 및 FSH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이 나타났다.

  • PDF

소아환자에서 대복재정맥을 통한 하대정맥도관법의 유용성 (Usefulness of Tunneled Trans-saphenous IVC Catheters for Long Term Venous Access in Pediatric Patients)

  • 김승환;김성민;오정탁;한석주;최승훈
    • Advances in pediatric surgery
    • /
    • 제12권2호
    • /
    • pp.167-174
    • /
    • 2006
  • Central venous catheter (CVC) for long-term venous access is indispensable for various reasons including hyperalimentation, frequent blood sampling, frequent IV drug use in pediatric patients. We report clinical experience of surgical neonates in whom CVC was inserted primarily via great saphenous vein into suprarenal inferior vena cava. From March 2004 to March 2006, we performed CVC insertion via saphenous vein - contralateral side to main wound - into suprarenal inferior vena cava in surgeries of neonates. 2.7Fr or 4.2Fr, single lumen, tunneled Broviac catheters (Bard Access system, Inc, Salt Lake City, Utah) were used. Skin exit site of tunneled catheter was located in ipsilateral flank area just below edge lower rib. At the end of the procedure, location of the catheter tip was confirmed by plain radiography of abdomen.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admission records of the patients including nursing staff charts. Nine (50.0 %) patients were male and nine (50.0%) were female. Median gestational age was 38 weeks (range, 29-42 weeks) and median birth weight was 3,105 gm (range, 1,040-3,720 gm). Median age at catheter insertion was 38.5 days (range, 1-236 days). The purpose of CVC insertion was short-and long-term hyperalimentation in nine (50.0 %) patients. CVC insertion was performed in operation room under general anesthesia in sixteen (88.9 %) patients (in these cases, CVC insertion was performed just prior to concurrent operation) and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under local anesthesia with adequate sedation in two (11.2%). During the admission period (total catheter-indwelling time: 553 days), CVC functioned well without any significant side effects. Transient swelling of the ipsilateral leg (n=1, 5.6 %) and transient migration of catheter tip (n=1, 5.6 %) were noted, which did not affect function of the indwelled CVC. Mean catheter-indwelling time was 30.7days (range, 3-72 days). All catheters were removed electively except two mortality case. Complications, such as thrombosis, infection, kinking or extravasation of drugs, were not observed in our study period. Tunneled trans-great saphenous vein inferior vena cava catheters are not only comparable to cervical CVCs in terms of function and complication rates, but also very beneficial in selected patients, especially those in whom cervical approach is technically impossible or contraindicat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