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y Security

검색결과 1,670건 처리시간 0.023초

시큐리티의 학문적 지향성과 시큐리티 산업의 시장 지향성 - 한국 시큐리티의 발전현황을 중심으로 - (Korean Private Security for the Academic Directivity and Security Industry for the Market Directivity)

  • 공배완
    • 시큐리티연구
    • /
    • 제17호
    • /
    • pp.15-31
    • /
    • 2008
  • 본 연구는 민간시큐리티에 대한 전문교육과정과 연구경향을 분석함으로서 시큐리티의 산업과 시장수요에 대한 적합성을 모색하고 있다. 전문교육 측면에 있어서는 전국 4년제 15개 대학의 교과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전문학회지인 "한국경호경비학회지"에 게재된 연구논문을 중심으로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대학에서의 시큐리티에 대한 전문교육은 전체 269개의 다양한 교과목으로 운영되고 있고, 이 중 경호경비분야가 103개의 과목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응급구조 및 레져스포츠 분야가 60개 과목,사회과학분야 46개 과목, 무도 및 사격분야 30개 과목, 비서사무분야 16개 과목, 어학분야 14개 과목 등으로 분포성을 보이고 있다. 전문학회지에 게재된 연구경향에 대해서는 권정훈(2007)과 안황권(2008)의 분석자료를 기초로 비교 분석하였다. 안황권(2008)에 따르면, 전체 225편의 논문 중 민간경비에 관련된 논문이 45.7%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많았고 공경비(14.6%)나 범죄(14.6%)에 대한 논문도 다수를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테러와 안전에 대한 논문도 각각 11.6%와 10.2%를 차지하고 있었으나 시설경비에 대한 연구논문은 1편으로서 아주 저조하게 나타났다. 권정훈(2007)의 조사에 따르면 총 184편의 논문 중 기타분야(경찰, 범죄, 교정, 안전, 발전과제, 조사, 교과과정)에서 128편(70%)이 게재되었고, 다음으로는 경호경비학 관리 부문에서 39편(21%)의 논문이 발표된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 반면, 민간시큐리티 산업의 발전에 있어서는 시설경비가 전체의 80.5%를 차지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신변 보호(12.2%), 기계경비(4.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비산업에 있어서 시설경비가 사실상 경비 산업을 주도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경우이다. 경비원의 평균연령도 49.4세로 나타났다.

  • PDF

DACUM 기법을 이용한 방위산업체 정보통신보안실무자 직무분석 (Job Analysis for IT Security Workers in Defense Industry through DACUM Process)

  • 우광제;송해덕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73-84
    • /
    • 2014
  • 지식 정보화 사회가 심화되면서 정보보호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최근 들어 개인정보와 핵심 산업기술 유출 사고가 늘어나면서 모든 산업분야는 보안대책을 강구하는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 특히 방위산업은 국가 안전보장에 필요한 국방력을 구축하는 분야이므로 일반 산업분야보다 더 높은 수준의 보안대책이 요구된다. 방위산업체는 방위산업보안업무훈령에 따라 업체별 규모와 여건에 맞게 보안조직을 편성하고 보안실무자를 임명 운영하고 있다. 정보 통신의 발달로 대부분의 핵심정보와 기술이 정보통신 시스템이나 저장매체에 기록 관리되고 있는 환경 속에서 정보통신보안실무자의 임무와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그럼에도 방위산업체 정보통신보안실무자들의 직무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그들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직무분석 기법인 DACUM을 활용해서 정보통신보안실무자들의 책무와 과업을 도출하였고, 설문조사를 통해서 도출된 과업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방위산업체 정보통신보안 업무의 발전에 기여하고 관련 규정의 개정 및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민간경비 자격검정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Qualification Criteria in the Private Security Industry)

  • 최정택
    • 시큐리티연구
    • /
    • 제18호
    • /
    • pp.143-167
    • /
    • 2009
  •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선진국은 민간경비산업의 전문화를 위해 자격제도 및 교육훈련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도 전문성 강화를 위한 교육훈련 시스템의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나 합리적이지 못한 선발기준과 교육시스템 운영으로 과점시장이 형성되어 있는 실정이다. 오히려 '직업면허제도'를 통하여 자격증 소지자나 경비업체, 교육기관 및 위탁자의 지대추구행위가 증가하고 있는 상태이다. 경비산업 종사자의 질적 향상을 목적으로 자격증 발급 및 지정교육기관을 통한 기본교육이 실시되고 있으나 실질적인 효과는 적은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민간경비원 선발 및 교육에 관한 문제점을 찾아본 결과, 이원화된 검정제도와 교육시스템의 구조적 문제 그리고 경비업체 운영자 및 최고관리자(임원)의 전문성과 운영능력에 대한 검증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원화 되어있는 경비지도사 자격증 제도와 경비원 교육 이수 제도를 '공인자격검증제도'로 단일화하며, 그 자격검정 대상은 관련 종사자 전체로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시장 지배적 지위를 이용한 과점현상으로 발생되는 후생손실을 최소화하고 자율경쟁이 가능하도록 지정교육기관의 수를 늘리고 경비원들의 교육 및 취업(업체) 선택에 자율권을 부여하여야 할 것이다. 앞서 제시한 문제점들을 최소화 하고 객관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문가 집단부터 이해관계자, 시민단체 까지 모두 참여하는 거버넌스 네트워크 형태의 '민간보안산업위원회'와 같은 새로운 관리 감독 기관 설립이 필요하다.

  • PDF

산업연관표를 활용한 기술보안의 경제적 효과 (Economic impact of the technical security utilizing the inter-industry relations table)

  • 임헌욱;심재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99-106
    • /
    • 2017
  • 그간 기술보호에 관한 연구가 기술유출 방지활동 연구에 집중되어 있고, 기술보호 활동이 투자로만 인식하고 있어서 보안관련 인력채용과 장비설치에 소극적인 실정이다. 이에 기술유출시 발생하는 피해금액을 수익으로 간주하고,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기술보호 활동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효과를 찾고자 하였다. 산업연관표는 바실리 레온티예프에 의해 시작되었으며, 국내는 한국은행에서 1960년 처음으로 작성되었고 국내 기술보호관련 경제성 연구는 2001년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도입 후 연구가 진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기술보호가 투자가 아닌 수익으로 인식전환 되길 바란다.

인지지도분석을 통한 정보보호 산업 활성화전략 (Revitalization Strategy of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Using Cognitive Map Analysis)

  • 이중만;조일구;임명환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3권2호
    • /
    • pp.177-194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President Park's speeches and the government's industry policy in the field of information security using cognitive map.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policy tool variables and policy goal variables was employed to derive revitalization strategy of information security. This paper found that entrepreneurship revitalization has very strong causality with expansion of domestic market and global market. But, on the other hand, HR development has very weak causality with job creation and future growth driver because the labor market in the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is poor and its transfer rate to other industry is very high. This study showed that this cognitive map could be characterized by a scarcity of feedback loops and a strong emphasis on the positive loops in the structure of virtuous circle. In this paper, we also constructed a comprehensive cognitive map on the policy vision of information security, showing that there are a risk of cyber threat, an opportunity of new fusion security market, information security reinforcing circle, global economic circle, and domestic market circle.

한국 신변보호업의 발전과정과 개선방안 연구 (The Research of Improvement and Development Process for protection in Korea Private Security)

  • 박장규;김남중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33-43
    • /
    • 2013
  • 한국의 민간경비 산업은 1976년 12월 31일 용역경비업법이 제정되면서 활발한 성장을 하게 되었다. 1980년대 초부터 선진국의 민간경비 기술과 자본을 도입하면서부터 급속한 성장을 하게 되었고, 86서울아시안게임, 88서울올림픽 등 국제적인 행사에 민간경호경비업체가 업무에 참여하면서 민간경호경비는 민생치안 대안으로서 미래 산업의 하나로 각광받게 되었다. 그리고 일반인에게도 대중화되어 양적인 수요도 증가하였다. 1990년대 후반부터 경비지도사신설, 교육제도개선, 신변보호업무추가 등 15차례 경비업법이 개정되면서 질적 성장을 위해 박차를 가하여, 2012년까지 3,836개의 민간경호경비회사와 150,030명의 민간경비원들이 활동을 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회사들은 비도덕적 경호경비업무에 투입되어 행정처분을 받거나 과잉경쟁으로 인해 덤핑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경비업법상 경비지도사의 선임기준은 영세한 업체들의 폐업 원인이 되고 있으며, 경호경비회사의 설립 허가기준이 미흡하여 신규로 법인이 설립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위와 같은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는 경비원들의 교육과 훈련을 통해 수준 높은 서비스제공, 신변보호 업체들의 영역확대, 경비지도사 선임기준 변경, 전문마케터를 통한 특정고객 유치, 경비원 전문 자격제도 도입, 경호경비회사 설립 허가요건 강화 등을 제시하였다.

민간경호업의 질적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Private Security Industrial)

  • 송상욱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113-127
    • /
    • 2006
  • The suggestions that follow are about the Qualitative Improvement of private security Industrial. First, in legal and institutional policy, new establishment by law for private security and more support from government is asked. Moreover, the restructuring or M&A between petty companies and the pricing for security service should be performed. Second, in the structural aspect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the professional education center for private security guards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terms of payment and welfare should be improved to the level above standard. In addition, it should be achieved to change the public to have a new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private security and develope the specialized parts suited to the characteristic and ability of each companies. Third, the construction of operating system for private security service should be achieved; recruit system for competent security guards, marketing strategy and enforcement system, widely known confidence to client, normal training system for security guards and post management system for client. This is also to be suited to the characteristic of each companies.

  • PDF

전사적 정보보호 아키텍처에 근거한 금융 정보보호 모델 설계 (Design of Financial Information Security Model based on Enterprise Information Security Architecture)

  • 김동수;전남재;김희완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307-317
    • /
    • 2010
  • The majority of financial and general business organizations have had individual damage from hacking, worms, viruses, cyber attacks, internet fraud, technology and information leaks due to criminal damage. Therefore privacy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the community. This paper examines various elements of the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and discuss about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Models by using the analysis of the financial statue and its level of information security assessment. These analyses were based on the 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ISMS) of Korea Information Security Agency, British's ISO27001, GMITS, ISO/IEC 17799/2005, and COBIT's information security architecture. This model will allow users to manage and secure information safely. Therefore, it is recommended for companies to use the security management plan to improve the companies' financial and information security and to prevent from any risk of exposing the companies' information.

보안 안전성을 위한 자동화 보안진단평가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utomatic Security Diagnostic Evaluation System for Security Assurance)

  • 엄정호;박선호;정태명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109-116
    • /
    • 2009
  • In the paper, we designed an automatic security diagnostic evaluation System(SeDES) based on a security diagnostic evaluation model(SeDEM) for an organization's security assurance. The SeDEM evaluates a security level of an organization quantitatively by a security evaluation formula which is composed of security variables and security index as applying the statistical CAEL model for evaluate risk level of banks. The SeDES has a good expandability as changing security variables according to an organization scale, characteristics and so on. And it also has a excellent usage because it inputs only numeric data got from statistical technique to security index. We can understand more a security level correctly than the existent risk assessment system because it is possible to assess quantitatively with an security grade as well as score. analysis.

경비원(警備員)의 특성(特性)이 교육훈련성과(敎育訓練成果)에 미치는 영향(影響) 고찰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Traits of a Security Guard on Training Products)

  • 강길훈
    • 시큐리티연구
    • /
    • 제3호
    • /
    • pp.5-32
    • /
    • 2000
  • A differentiated training considered the individual traits of a security guard in order to achieve the self-realization as well as to fulfill the spiritual needs of a security guard is needed.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ecurity industry in the new millennium, new types of training methods should be introduced, and a planned elaborate training in consideration of the traits of individual security guards is needed. On the other hand, to cultivate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to increase training products, a specific kind of training based on the survey of demand should be carried out. In this study, I made an actual analysis current training contents derived from the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mong the security guards who were employed at the security industry. From these analyses, I am going to suggest the following measures; 1) The improvement of circumstances in training should be preceded. 2) Training related to practical business in consideration of individual traits should be emphasized. 3) Producing excellent professionals and developing specific textbooks are needed. 4) To establish professional education institutes is urgently needed. 5) Systematic training methods sponsored by government authorities and security society should be established. 6) The deep concern of security industry employers about the importance of training is need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