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y Security

검색결과 1,678건 처리시간 0.035초

보안관리체계 분석을 통한 산업중심 보안수준평가 모형 설계 방향 연구 (A Study on Design Direction of Industry-Centric Security Level Evaluation Model through Analysis of Security Management System)

  • 배제민;김상근;장항배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77-191
    • /
    • 2015
  • 최근 국내 기업에서 보안사고가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기업의 특성과 환경을 고려한 체계적인 보안관리체계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기업별 보안수준 측정의 대상, 목적, 방법 등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현재 다수의 기업이 기존의 정보보호 관리체계인 K-ISMS를 단편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며, 이에 따른 보안관리체계 도입에 대한 실효성에 대해서도 많은 문제가 제기되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정보보호, 산업보안, 연구보안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정보보호 관리체계, 산업보안관리체계, 연구보안관리 체계의 통제항목을 비교 분석하여 산업 전반의 보안을 수행할 수 있는 보안수준 평가항목 개발하였다. 또한 세부적으로 기 존재하는 보안수준평가 모형을 분석하여,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산업 중심의 보안수준평가 모형 설계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일본 민간경비원의 자격 및 훈련제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cense & Training System of Security Agent in Japan)

  • 조용철;김순석
    • 시큐리티연구
    • /
    • 제16호
    • /
    • pp.339-356
    • /
    • 2008
  • 한국과 일본의 민간경비산업은 여러면에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경제개발과 함께 민간경비시장이 급속히 성장하여 오늘날 사회안전시스템 구축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보이고 있지만, 각각의 특성에 맞는 법령과 제도면에서는 다양한 차이점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일본의 민간경비는 시설경비, 호송경비, 신변보호 등의 분야 분만 아니라 혼잡 경비, 교통유도경비, 기계경비도 보급 확대하는 등 민간섹터의 생활안전서비스로서 확고히 정착하였다. 또한, 공항이나 원자력발전소와 같은 국가중요시설에서도 대테러 활동의 일환으로 민간경비산업이 진출하여 시큐리티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과 일본의 민간경비산업 전반에 걸쳐 자격검정제도와 교육훈련을 강화하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에서 일본의 민간경비원에 대한 경비업무별 자격 검정제도와 경비원지도교육책임자제도로 대표되는 교육훈련제도는 여러면에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러한 민간경비원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는 민간경비 전문화 노력은 앞으로 민간경비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임에 분명하다.

  • PDF

Hospitality Security의 학문적 고찰 (Study of Hospitality Security)

  • 김형석;전용태
    • 시큐리티연구
    • /
    • 제54호
    • /
    • pp.37-56
    • /
    • 2018
  • 관광객이 관광지를 선택할 때 안전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고 있으며 이는 관광 산업에서 안전에 대한 욕구가 매우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관광산업의 안전을 위한 전문분야가 필요하다. 이미 다양한 관광산업분야에 안전을 책임지는 요원들이 배치되고 있지만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단편적인 업무 경험에 의존한 지식을 통해 이어져 오고 있다. 관광산업의 안전을 책임지는 전문가 양성을 위해서는 관련 학문의 연구가 필수적이며, 연구와 교육을 책임지는 대학에서는 관련 분야의 학문을 체계적으로 구축하여 그에 따른 교육을 통해 전문가를 양성해야 한다. 관광보안을 의미하는 분야로는 Hospitality Security가 있다. Hospitality는 '환대하다', '접대하다', 라는 의미로서 Hospitality Industry는 관광산업을 아우르는 의미로 쓰이고 있다. 또한 Security는 안전, 보안을 의미하는 단어이다. 따라서 그 두 개의 뜻이 합쳐진 Hospitality Security, 즉 우리말로는 환대보안, 관광보안 정도로 말할 수 있겠다. 이미 미국에서는 Hospitality Security 분야의 전문가가 관련 서적을 통해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관광관련 유명대학에서 이미 Hospitality분야의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으며, Security분야도 여러 대학에서 교과목을 운영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각각의 대학에서 운영하는 교과목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Hospitality Security의 교과목을 선정하였다. Hospitality Security분야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한 연구결과가 축적이 된다면 학문으로서의 가치가 더욱 높아질 것이며 그에 따른 전문가들을 배출해 관광산업의 안전을 책임지는 역할을 해낼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의료환경에서 보안체계 구축을 위한 이해관계자 역할 분석 (An Analysis on Role of Stakeholders for Security System in Smart Healthcare Environment)

  • 김양훈;정원후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7-27
    • /
    • 2019
  • 4차 산업혁명의 몰입과 함께 산업의 전반적인 흐름이 ICT 기반의 비즈니스 환경으로 나아감에 따라 의료산업에도 환경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공공재 성격을 지닌 의료산업에서는 의료서비스의 신뢰성과 지속성을 요구하고 있으나, 스마트 환경으로 전환하기에 기존 시스템들의 호환성, 확장성 문제로 인하여 보안에 대한 도입이 늦춰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신속하게 스마트 의료환경에서 보안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보안기술을 도출, 분석하고 도입하기 위한 이해관계자들이 관심을 가져야하는 부분과 역할에 대하여 설계하였다. 이를 통하여 의료보안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이해관계자들의 다차원적인 노력에 대하여 확장성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4차 산업혁명의 보안 인프라 구축을 위한 융합보안산업 지식 맵 개발 (Development of Convergence Security Industry Knowledge Map fo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ecurity Infrastructure)

  • 이대성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73-180
    • /
    • 2019
  • Cyber Physical System으로 상징되는 제4차 산업혁명(Industry 4.0)이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감에 따라 향후 구현될 다양한 사이버 시스템들의 기술적 안정·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융합보안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4차 산업혁명의 확산과 관련하여 생활안전의 개념을 포함하는 광의의 융합보안산업 및 기술의 현상을 파악하고, 관련된 지식간의 연계 가능성을 분석하여 보안의 융합화에 필요한 산학협력을 촉진할 수 있는 인력양성, 기술개발, 정책개선 등에 관한 종합적인 발전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경비업법상 '집단민원현장' 관련규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visions relating to 'the collective civil appeals spot' in the Security Services Industry Act)

  • 이상훈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5권6_2호
    • /
    • pp.55-63
    • /
    • 2015
  • 유성기업사태나 SJM사태 등 일련의 집단민원현장에 대한 반복적인 불법행위는 당해 집단민원의 이해당사자들의 인권침해는 물론이고 동 사건에 직 간접적으로 연루된 민간경비회사와 전체 민간경비업계에 대한 비난과 사회적 평판 하락은 물론, 감독관청인 경찰청의 책임론 및 경비업법에 대한 규제의 강화라는 악순환의 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매년 되풀이되고 있는 집단민원현장에서의 반복적 폭력사태는 경찰청 등 관련 부처에 경비업체에 대한 규제 강화방향을 경비업법 개정작업으로 이어졌다. 이 연구에서는 경비업법상의 '집단민원현장' 관련규정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문제점과 개선방안으로 집단민원현장 개념정의의 열거규정을 예시규정으로 전환, 배치승인권에 의한 경찰의 개입정도의 적정한 운용, 그리고 경비도급계약의 체결의무규정의 합리적 운용 등을 제시하고 있다.

산업연관분석을 이용한 정보보호 산업의 경제 파급효과 분석 (The Analysis of Economic Impact for Information Security Industry using Inter-Industry Analysis)

  • 정은희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72-80
    • /
    • 2020
  • 인공지능, IoT 등의 4차 산업의 등장으로 정보화는 가속화됨에 따라 정보보호 산업의 중요성과 시장의 규모가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증가하는 정보보호 산업이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산업부문을 정보보호 제품산업과 정보보호 서비스 산업을 분류한 후에, 35개의 산업으로 산업연관표를 재분류하였고, 생산유발계수, 부가가치유발계수, 고용유발계수 등을 산출하였다. 정보보안 제품산업과 정보보안 서비스 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각각 1.571, 1.802이고, 부가가치유발계수는 각각 0.632, 0.997이고, 고용유발계수는 각각 2.494, 7.361이다. 정보보호 서비스 산업의 부가가치유발계수만이 전체 산업보다 다소 높고, 나머지 유발계수는 모두 전체 산업보다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정보보호 제품산업에는 전·후방연쇄효과가 없고, 정보보호 서비스 산업에는 후방연쇄효과는 없으나 전방연쇄효과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보호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한 결과, 생산유발액은 359.9조원, 부가가치유발액은 164.8조원에 달하고, 803천명의 고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뢰성을 보장하는 IEEE802.11 기반의 그룹핸드오버 기법 (Reliable Group Handover Scheme based on IEEE802.11)

  • 김기영;고훈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33-41
    • /
    • 2009
  • Network industry is complex combined with various fields of industry, such as communication, broadcast, construction, and home appliances. Moreover, it's fairly lucrative since the growth industry makes lots of added values, interacting with the others.The network industry, usually called 'Ubiquitous', connects some home appliances and makes an integrated system that you can use them with whenever and wherever. A demand for network security, however, has skyrocketed due to the relatively low safety. It's been expected that the market of home security is going to be grown up nearly 30 percent every year. Recently, analog surveilance cameras have been replaced with digital ones, and they will be providing stronger security services taking advantage of mutual interaction with related industies. In this paper, a mobile monitoring system for home security is proposed, which makes it possible to supervise all home appliances wherever you're, using the conventional wired/wireless network infra.

시스템 사고를 통한 금융 규제와 보안 산업의 구조 분석 (A Structural Analysis between Financial Regulations and Security Industry through the Systems Thinking)

  • 이정하
    • 한국시스템다이내믹스연구
    • /
    • 제16권4호
    • /
    • pp.31-50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a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regulations and security industry based on the systems thinking perspective using causal loop analysis. As a result, the positive regulations on security technology against finance security incidents shrink the autonomy of the security industry and will deteriorat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ecurity industry through the unknown feedback loop. The conclusion provides the direction that policy makers understand causal loop diagram related current regulations and open enough to the consideration of the negative regulations.

경비업법상 신변보호 관련 규정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A Study on Problems and Improvement of Personal Protective Regulations in Security Industry Act)

  • 박정섭
    • 시큐리티연구
    • /
    • 제51호
    • /
    • pp.81-100
    • /
    • 2017
  • 최근 우리 사회는 인구의 도시집중화와 외국인의 이민 유입으로 범죄의 유형 및 형태가 다변화 되어가고 있다. 기존의 살인, 납치, 성폭력 등의 강력 범죄이외 학교폭력, 데이트 폭력, 가정폭력, 노인폭력을 비롯한 사회증오형 범죄, 묻지 마 범죄 등 다양한 범죄는 국민 생활 전반으로 확산되고 있다. 이러한 국내 실태에 따라 신변보호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면서 민간경비 산업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장 되어가고 있다. 민간경비 산업의 발전에 수반하여 그에 대한 법 제도적인 측면이 체계적으로 정비되고 개선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경비업법상 신변보호 관련 규정은 수차례의 개정에도 불구하고 1995년 법 규정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어서 사회의 변화 및 민간경비업의 현실과 괴리되어 본래의 취지에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신변보호업과 시설경비업은 경비업법상 법체계 및 구성요건이 동일하여 경비업자 및 종사자 또는 관리 감독 기관인 경찰까지도 경비업무의 범위와 임무에 대해 혼란을 갖는 문제점이 제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경비업법상 신변보호 관련 규정의 체계적인 법 제도적 정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현행 경비업법상 신변보호 관련 규정을 검토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도출하여 법 개정을 하는데 있어 현실적인 근거가 될 수 있도록 개선 및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