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clusters

검색결과 355건 처리시간 0.025초

글로벌 패션 산업 클러스터의 유형과 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Global Fashion Clusters)

  • 윤소정;이하경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491-505
    • /
    • 2019
  • This study analyzes global fashion clusters to provide insight for the domestic fashion market to form a competitive fashion cluster. We examine formation factors and operation types of the global fashion clusters to understand their characteristics. We also explore the effectiveness of each global fashion cluster by investigating the stage of development in fashion clusters. Fourteen cases of global fashion clusters are collected and analyzed. First, global fashion clusters show three types of formation and operation: self-formation, self-formation & government based development, and government, institute, and enterprise based formation & development.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global fashion clusters are based on functions related to space, learning, innovation, network, and knowledge. Third, there are four steps in the development stage of global fashion clusters: professional clusters, industrial clusters, learning clusters and innovative industrial clusters. In particular, innovative industrial clusters, the final stage of development, have high levels of effectiveness in terms of co-growth and collaboration among fashion-related businesses in fashion clust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help guide the development of local fashion cluster in Korea.

산업단지의 경쟁력 제고를 위한 산업집적지의 지식공유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Knowledge-Sharing Networks in Cluster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Industrial Parks)

  • 정종식
    • 지식경영연구
    • /
    • 제2권1호
    • /
    • pp.133-144
    • /
    • 2001
  • Clusters mean geographic concentrations of interconnected companies and institutions in a particular field. Geographic, cultural, and institutional proximity provides companies with special access, closer relationships, better information, powerful incentives, and other advantages that are difficult to tap from a distance. And clusters are the knowledge-sharing networks which are composed of co-existence of related industries and supporting industries, sophisticated demand, sponsor of various exhibitions and events, liaison of peripheries and clusters, liaison of clusters and clusters, and governments' willingness for promoting clusters' development.

  • PDF

The Identification of Industrial Clusters in the Chungbuk Region in Korea

  • Cho, Cheol-Joo
    • World Technopolis Review
    • /
    • 제6권2호
    • /
    • pp.130-147
    • /
    • 2017
  •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spatial concentrations and linkage properties of industrial clusters in the Chungbuk Province region in Korea using a three-step approach, which is composed of the cluster index, Getis-Ord's $Gi^*$, and qualitative input-output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 a) what industrial sectors are concentrated and where they are; b) where the spatially interdependent industries are; and c) how the industrial sectors of the identified clusters in different locations are vertically interconnected. In addition, the degree of strength of the interindustry linkages between industrial clusters are assessed. Based on the findings, some plausible industrial policies are suggested.

The Roles of Intermediaries in Clusters: The Thai Experiences in High-tech and Community-based Clusters

  • Intarakumnerd, Patarapong
    • 기술혁신연구
    • /
    • 제13권2호
    • /
    • pp.23-43
    • /
    • 2005
  • Industrial clusters are geographical concentrations of interconnected companies, specialised suppliers, service providers, firms in related industries, and associated institutions (for example, universities, standard agencies, and trade associations) that combine to create new products and/or services in specific lines of business. At present, the concept of industrial cluster becomes very popular worldwide, policy makers at national, regional and local levels and business people in both forerunner and latecomer countries are keen to implement the cluster concept as an economic development model. Though understanding of clusters and related promoting policies varies from one place to another, the underlying benefits of clusters from collective learning and knowledge spillovers between participating actors strongly attract the attention of these people. In Thailand, a latecomer country in terms of technological catching up, the cluster concept has been used as a means to rectify weakness and fragmentation of its innovation systems. The present Thai government aspires to apply the concept to promote both high-tech manufacturing clusters, services clusters and community-based clusters at the grass-root level. This paper analyses three very different clusters in terms of technological sophistication and business objectives, i.e., hard disk drive, software and chili paste. It portrays their significant actors, the extent of interaction among them and the evolution of the clusters. Though are very dissimilar, common characteristics attributed to qualified success are found. Main driving forces of the three clusters are cluster intermediaries. Forms of these organizations are different from a government research and technology organization (RTO), an industrial association, to a self-organised community-based organization. However, they perform similar functions of stimulat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sharing, and building trust among participating firms/individuals in the clusters. Literature in the cluster studies argues that government policies need to be cluster specific. In this case, the best way to design and implement cluster-specific policies is through working closely with intermediaries and strengthening their institutional especially in linking member firms/individuals to other actors in clusters such as universities, government R&D institutes, and financial institutions.

  • PDF

씬씨내티 대도시지역의 산업군집과 경계설정 (Industrial Clusters and Their Boundaries: A Case Study for Plants in the Cincinnati metropolitan Area)

  • 이보영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69-184
    • /
    • 2000
  • 미국의 씬씨내티 대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인자분석 및 Hot Spot 분석에 의해 산업 군집과 그것의 경계가 확인되어졌다. 전통적 투입 산출 접근법이 비공간적 산업 군집을 추출하는 반면 이 연구는 전통적 접근을 GIS 기법과 결합하여 경계를 설정한다. 투입 산출 산업 군집의 결과를 선도산업 부문과 결합하여 5개 선도 산업 군집을 추출하였는데 그것은 음식료품, 화학, 금속, 금속제품, 기계공업 부분이다. 그리고 Hot Spot 기법을 이용하여 연구지역의 산업 군집을 Arcview에 통합하여 시각화하였다. 산업 군집의 공간적 결합정도와 공간적 한계를 결정하는 것은 경제의 공간구조의 효율성을 측정하는 부가적 접근이 될 수 있다. 산업 군집과 산업의 공간적 군집 접근은 하나의 공장이나 기업의 수준보다 집계적인 차원에서 산업의 공간적 배열의 새로운 모형 개발 기초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독일의 지역산업 클러스터 정책: 바이에른주의 사례 연구 (Regional Industrial Cluster Policy in Germany: A Case Study of the State Bavaria)

  • 안영진;구지영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514-530
    • /
    • 2022
  • 세계적으로 산업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산업 클러스터의 육성이 다양하게 추진되고 있다. 이 연구는 세계적 경쟁 속에서도 안정적 산업 성장을 보여주고 있는 독일에서 지역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연계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이끌고 있는 바이에른주의 지역산업 클러스터의 형성과 발전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먼저 지역산업 클러스터를 이론적으로 개관하고, 뒤이어 독일 바이에른주를 사례로 지역산업 클러스터 정책의 전개 과정과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이 연구는 바이에른주의 지역산업 클러스터의 형성과 구성 체계를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이 연구는 독일 바이에른주의 지역산업 클러스터의 주요 특성과 성공 요인을 고찰하고자 한다.

지역산업클러스터 사례연구 : 클러스터 평가지표와 정책과제 (A Case Study of Regional Industry Clusters : Clusters Estimate Index and Policy)

  • 원구현
    • 산학경영연구
    • /
    • 제18권2호
    • /
    • pp.197-223
    • /
    • 2005
  • 21세기 산업 클러스터 정책이 지역경제 활성화의 핵심 수단으로 부상하면서 정책 대상으로서의 클러스터 도출(identification) 및 확인(mapping) 연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단위의 클러스터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클러스터 지향적 정책과제(focused cluster policy)의 도출하고, 지역산업 클러스터의 네트워크를 파악함에 있어서 타 클러스터와의 비교 및 시계열별 비교, 정책목표의 달성정도 평가를 위하여 클러스터 평가지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산업클러스터 사례분석은 클러스터 유형화분석과 네트워크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요약하면, 클러스터를 개발하려는 시도는 다른 지역에서 성공한 클러스터를 모방하기보다는 경쟁우위와 전문성을 토대로 추진되어야 하고, 산업정책과 다른 산업클러스터 정책을 개발해야하고, 시장지향적인 클러스터 생태계를 구축해야 하며, 각 지역 여건 및 산업특성에 적합한 혁신체제를 구축과 혁신창출의 인프라를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 PDF

한국 조선산업 연구: 산업클러스터 특화분석 중심으로 (The Study of Industrial Clusters in the Busan, Ulsan, Koungnam as Southeast Area of Korea Analysed by the Location Quotient(LQ) Analysis Method)

  • 이상윤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599-621
    • /
    • 2011
  • 본 연구는 부산 울산 경남의 동남권 지역에 집중되어 위치한 조선 산업에서 산업클러스터의 존재여부를 도출하고 그 위상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정책추진에 있어 주요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입지계수(LQ: location quotient)를 활용한 특화도 분석을 통하여 부산 울산 경남의 동남권지역의 산업클러스터 여부를 실증적으로 확인했다. 이는 산업클러스터의 구체적인 발전전략을 세우기에 앞서 먼저 산업클러스터를 확인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분석결과 이 동남권의 입지계수의 값은 1.25보다 작은 결과가 도출되어 이 지역의 조선산업은 아직 특화되지 못했음이 밝혀졌고, 부산 울산 경남지역 각각의 경우도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 지역의 조선 산업이 아직 특화되지 못했음이 분석되었다. 한편 이러한 분석을 통해 앞으로 세 지역 중 어떤 곳과 조선관련 산업 중 어떤 업종이 각각 전국 대비 가장 특화될 가능성이 높은지도 밝혀졌다.

  • PDF

한국의 산업클러스터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Industrial Cluster in Korea)

  • 정병순;박래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9-43
    • /
    • 2007
  • 본 연구는 산업클러스터를 식별하기 위한 방법론을 탐색하고, 이에 기초하여 한국의 산업클러스터를 식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0년 I/O자료를 활용하여 상관계수행열표가 일차적으로 분석되고, 다시 이를 요인분석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산업클러스터를 도출하는 방법을 취하였다. 분석의 결과, 요인으로 도출된 37개 가운데 분류가 불분명한 5개 요인을 제외한 32개 요인이 최종 산업클러스터로 식별되었다. 이를 식별한 산업클러스터는 다시 산업코드 간 전환과정을 거쳐 표준산업분류체계에 의한 산업클러스터로 재구성함으로써 정책에의 적용 가능성을 향상시켰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개 사례연구에 기초하거나 정성적 분석에 기초한 그간의 클러스터 연구와 비교하여 보다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연구의 수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산업집적지의 구조변화와 클러스터 발전방향 (Cluster policies, cluster evolution, and the transformation of old industrial regions)

  • 데이비드 새들러
    • 산업클러스터
    • /
    • 제2권1호
    • /
    • pp.1-13
    • /
    • 2008
  • 지역경제의 성공에 있어 산업클러스터의 중요성에 대한 증대된 인식에도 불구하고, 구산업지구에 대한 클러스터 정책의 효과성에 대해서는 그다지 많은 관심이 모이지 못했다. 이들 지역 중 상당수에서는 아직 산업클러스터가 작동하고 있거나 재도약을 위한 새로운 전략이 모색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구산업지구에서 대한 산업클러스터 정책의 효과성을 산업클러스터의 진화적 성격에 대한 이해로부터 찾으려 한다. 이를 위하여 유럽 구산업지구의 변환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고, 어떻게 클러스터 정책이 주요한 정책수단으로 등장하게 되었는지 살펴본다. 본 연구는 또한 영국의 북동지 역에서 어떻게 철강산업의 공급체인이 형성되었는지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론은 클러스터 형성 과정에서의 정책적 개입의 타이밍을 어떻게 잡을 것인지를 보여주는 자료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