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3초

동일채널간섭이 존재하는 홈 네트워크에서의 성능 평가 (Performance Evaluation of a Wireless Home Network in the Presence of Co-Channel Interference)

  • 노재성;예휘진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8권4호
    • /
    • pp.491-497
    • /
    • 2007
  • 무선 홈 응용을 실현하는데 있어서 근거리 네트워킹 기술의 중요성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와 IEEE 802.11b 표준은 무선 홈 응용 구축을 위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술들이다. 하지만 두 표준은 동일한 무허가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무선 스펙트럼 대역을 공유하기 때문에 심각한 간섭을 피할 수 없으며, 두 기술을 사용하는 이종 디바이스가 아주 근접하여 있을 경우에 시스템 성능은 심각하게 손상을 받는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가우시안 FSK 블루투스 시스템은 전자기기 사이의 무선 연결성을 위한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의 표준이다. 본 논문에서는 가우시안 FSK 블루투스 시스템에서 동일채널간섭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성능 평가 요소는 무선 채널에서의 SIR, 간섭 지수 $\rho$, 그리고 BER 등이며 이를 기반으로 성능을 평가하였다. 가우시안 FSK 블루투스 시스템의 성능 평가에서 다양한 소스로 부터의 동일채널간섭의 영향은 IGA(Impulsive Gaussian Approximation) 방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다양한 채널상태를 나타내기 위하여 Eb/No, $\rho$와 SIR 값에 따라서 블루투스 시스템의 성능을 분석하여 결과 그래프에 나타내었다.

  • PDF

저 손실 레디알 전력 결합기와 수냉 시스템을 이용한 고전력 증폭기 구현 (Implementation of a High Power Amplifier using Low Loss Radial Power Combiner and Water Cooling System)

  • 최성욱;김영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319-324
    • /
    • 2018
  • 본 논문은 RF 전력 반도체를 사용한 고출력 전력증폭기를 구현한 것으로 기존의 플라즈마 발생 장치에 사용되는 마그네트론 방식의 고출력 증폭기 문제점인 낮은 효율과 짧은 수명, 유지 보수의 어려움 그리고 높은 운용비용 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구현된 고출력 전력증폭기는 2.45 GHz ISM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에서 공간 결합방식을 이용한 저 손실, 고출력 레디알 결합기와 반도체로 3 kW급 출력을 얻기 위해서 300 W 급 전력 증폭기 16개의 증폭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증폭기는 개별적인 증폭기에 수냉 방식의 구조를 적용하여 고출력에 따른 발열문제를 극복하였다. 소형 시스템으로 구성된 이 전력증폭기는 원하는 출력에서 50%의 높은 효율을 얻었다.

Facilitating Conditions in Adopting Big Data Analytics at Medical Aid Organizations in South Africa

  • VELA, Junior Vela;SUBRAMANIAM, Prabhakar Rontala;OFUSORI, Lizzy Oluwatoyin
    • 산경연구논집
    • /
    • 제13권11호
    • /
    • pp.1-10
    • /
    • 2022
  • Purpose: This study measures the influence of facilitating conditions on employees' attitudes towards the adoption of big data analytics by selected medical aid organizations in Durban. In the health care sector, there are various sources of big data such as patients' medical records, medical examination results, and pharmacy prescriptions. Several organizations take the benefits of big data to improve their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A survey research strategy was conducted on some selected medical aid organizations. A non-probability sampling and the purposive sampling technique were adopted in this stud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using version 23 of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facilitating condition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employees' attitudes in the adoption of big data analytic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empirical and scientific contributions of the facilitating conditions issues regarding employee attitudes toward big data analytics adopt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add to the body of knowledge in this field and raise awareness, which will spur further research, particularly in developing countries.

IoT 기반 재난예방 및 안전 모니터링 기술 (IoT Based Disaster Mitigation and Safety Monitoring Technologies)

  • 명승일;이혜선;이학준;이강복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3권1호
    • /
    • pp.101-110
    • /
    • 2018
  • Based on the main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ndustries including the smart home, transportation, agriculture, factory, energy, and medical care industries are rapidly developing. Disaster management technologies and services based on state-of-the-art convergence technologies are being widely applied for the purposes of public safety. State-of-the-art scientific technologies including the Internet of Things (IoT) are expected to offer alternative solutions to pending issues of disaster and safety. Particularly in disaster management, a "prevention activity"to avoid and control disasters in advance is essential, and thus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monitoring technologies based on hyper-connected intelligence are fundamental for society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IoT technologies are being actively applied and utilized in various fields to prevent social and natural disasters. In this article, we introduce the development trends of disaster prevention and safety monitoring technologies based on IoT technologies.

보행 비정상성의 평가를 위한 보행분석 시스템의 구현 (Construction of a Gait Analysis System for Evaluating Gait Abnormalities)

  • 정민근;김상호;김태복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9-50
    • /
    • 1991
  • The movement of human beings - walking, running, jumping and climbing, etc. - have long been of scientific interest. In particular, the science of human walking is called gait analysis. Various instruments have been developed to assist in the study of human gait. Recently gait analysis techniques are used in medical research to investigate the abnormalities of pathological gait. In this study, we constructed a comprehensive gait analysis system consisting of a walkway, a force platform, foot-switches and an ExpertVision motion analysis system. Time-distance gait parameters and vector diagrams can be analyzed by a special application program called Force Analysis System(FOANAS). Using quantitative discrimination of this system, the gait characteristic parameters of normal and pathological gait is facilitated.

  • PDF

무선 이동통신 기술에 기반한 의료 정보 전송 프로토콜 구현 (Implementation of a Medical Information Transmission Protocol Based on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

  • 정희창;한민수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9-24
    • /
    • 1998
  • 의료 정보 전달 시스템은 이동 중에 있는 환자의 감시용 센서에서 발생하는 의료 정보를 의사나 간호원이 상주하고 있는 사무실로 전송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종합 분석 처리하는 기능을 가지며, 사무실에 설치된 중앙 센터 기지국, 복도나 입원 환자실에 설치된 중계 기지국과 환자의 이동 단말기로 구성된다. 기존의 의료 정보 전달 시스템은 환자 데이터를 중앙 센터로 송신하는 단방향 통신이며, 데이터 전송속도는 9.6Kbps이고, 전용망으로 구성된다. 본 논문에서는 의료 정보 전달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도록 양방향 통신 프로토콜 구현 방안을 제안하고 수치 해석과 실험을 통하여 제시된 방안의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의예과 교육의 역사적 발전과 교육과정 편성 방향 고찰 (A Study of the Historical Development and Directions of Premedical Education)

  • 정한나;양은배
    • 의학교육논단
    • /
    • 제19권3호
    • /
    • pp.115-120
    • /
    • 2017
  • Despite the importance of how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is organized, the basic direction of the curriculum has not been evaluated at a fundamental level. In order to explore the basic directions of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this study examined medical education as a university education, the historical basis of premedical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Historically, as medical education was incorporated into the university education system, premedical education developed based on basic science and liberal arts education. Accordingly, the direction of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began to split into two approaches: one believing in a basic science-based education intended to serve as the foundation of medical training, and the other believing in a liberal arts-based education intended to cultivate the qualities of a doctor. In recent years, however, the binary division in the direction of premedical education has ceased to exist, and the paradigm has now shifted to an agreement that premedical education must cultivate the basic scientific competence required for learning medical knowledge as well as the social qualities that a doctor should have, which are cultivated through the liberal arts. Furthermore, it has been asserted that the direction of premedical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the qualities that will be required in the future.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underway, the role of doctors is now being re-examined. This means that today's medical education must change in a future-oriented way, and the direction of the premedical education curriculum must be on the same page.

Fingerprinting 무선측위 알고리즘을 이용한 영역 기반의 주파수 간섭 관리 기법 (Location-based Frequency Interference Management Scheme Using Fingerprinting Localization Algorithms)

  • 홍애란;김광열;양모찬;오선애;정홍규;신요안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C권10호
    • /
    • pp.901-908
    • /
    • 2012
  • 미래의 지능형 공장 환경은 관리자가 M2M (Machine-to-Machine) 통신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공장 안의 기기들의 동작 상태와 환경을 인지하고 관리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하지만, 공장 안에서 사용하는 통신 프로토콜인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ZigBee, Bluetooth 등은 동일한 ISM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상호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Fingerprinting 무선측위 기술을 이용하여 영역 기반으로 주파수를 할당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일반적인 기법이 가지고 있는 측위 성능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k-NN (Nearest Neighbor) 알고리즘을 적용하고 또한 이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기법도 제안한다. 모의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된 무선측위 알고리즘이 다른 기법들보다 측위 성능의 오차가 감소하였으며, 궁극적인 목표로 하고 있는 채널 간섭율 또한 향상되었기에 주파수의 간섭을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아울러 지속적인 위치 추정을 통하여 공장 환경 내 안전도 보장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의료용 무선 중계 시스템용 이중 대역 인체 부착형 안테나 설계 (Design of a Dual-Band On-Body Antenna for a Wireless Medical Repeater System)

  • 권결;탁진필;최재훈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239-246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MICS(Medical Implant Communication Service, 402~405 MHz)와 ISM(The Industrial, Scientific and Medical, 2.40~2.485 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의료용 무선 중계 시스템을 위한 이중 대역 인체 부착형 안테나를 제안하고, 인체의 영향을 고려한 안테나 성능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제안된 안테나는 ISM 대역에서 동작하는 윗면의 패치와 MICS 대역에서 동작하는 바닥면의 패치로 구성되어 있다. 안테나가 실제 인체에 착용되어 사용되는 상황을 고려하고, 인체가 안테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모의 인체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과 측정을 수행하였다. 제안된 안테나의 반사 손실은 MICS 대역과 ISM 대역에서의 요구 대역폭을 만족하였고, 측정된 최대 이득은 MICS 대역과 ISM 대역에서 각각 -12.47 dBi, 1.71 dBi이었다. 제안된 안테나의 방사 패턴은 MICS 대역에서 인체 내부 지향성, ISM 대역에서 인체 외부 지향성을 가지며, 반사 손실 특성은 인체의 영향에 매우 둔감하므로 의료용 무선 중계 시스템용 인체 부착형 안테나로 활용되기에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2×2 배열 패치 안테나 구조를 갖는 렉테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ctenna Using 2×2 Array Patch Antenna)

  • 김선웅;최동유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35-146
    • /
    • 2014
  • In this paper, an antenna has been proposed for the operation of mobile devices such as Zigbee. The presented rectenna operates at ISM (Industrial Scientific Medical) band of 2.45 GHz and consists of $2{\times}2$ array patch antenna and Villard voltage double rectifier circuit for high conversion efficiency. $2{\times}2$ array patch antenna is fabricated in FR4 substrate having thickness of 1.6mm and dielectric constant of 4.7. The proposed $2{\times}2$ array patch antenna resonates at 2.56GHz with return loss of 38.36dB, VSWR of 1.0244, and its impedance is matched to $50{\Omega}$. The fabricated rectenna has maximum conversion efficiency of 59.8% at an input power lever of 15dBm and load resistance of $500{\Ome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