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ustrial Education Teacher

검색결과 294건 처리시간 0.033초

국민학교 가정과 교과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Subject Education of Home Economics in the Elementary School)

  • 전정희;김용미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87-99
    • /
    • 1989
  • This paper is aimed to improve the current curriculum in the Korean elementary school’s practical course, which covers both industrial fields and Home Economics. Specially inveotigated here are teacher’s attitude toward the practical course and the degree of difficulty in teaching each content of the practical course in the 4th and 5th grade in the elementary school in term’s of teacher’s sex and localing. Since two heterogeneous subjects, industrial fie인 and Home Economics, are integrated into one subject named the practical course, the teaching of the practical course is not specialized. Besides, the teaching is implemented inefficiently, owing to the teacher’s misunderstanding of the practical course. In this respect, as a way of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practical course in elementary school, the authors suggest some proposals. (1) The curriculum of practical course should be divided into two course, industrial fields and Home Economics (2) All students should be completed Home Economics as a required course (3) A system of full-time teacher for Home Economics subject should be introduced. Concurrently, the curriculum of the practical course in Teacher’s College be modified.

  • PDF

중등교사 임용시험 전기·전자·통신 과목의 출제방안 연구 (Research of a plan setting Secondary School Teacher Recruitment Test of Electricity·Electronics·Communication Subject)

  • 김진수;노태천;유병로;은태욱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8-154
    • /
    • 2006
  • 지식기반사회에서 학교 교육의 질은 국가 발전의 핵심 요소이다.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교육을 실제로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자질 향상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질 높은 교육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능한 교원을 선발하고 임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대 변화와 질 높은 교육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 교사를 선발하는 임용고시의 중요성이 강조된다. 특히 공업계고등학교의 전기 전자 통신 과목의 임용시험은 기존의 세 분야 교과가 통합되면서 임용시험 문제 출제의 기준이 모호하여 전문교과 평가의 질적 저하가 우려된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전기 전자 통신 과목의 교원 양성기관에 대한 교육과정과 제7차교육과정 및 기출문제를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기초로 출제영역 비율 및 배점과 내용요소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내용은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검증한 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전기 전자 통신 과목의 임용시험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 영역에서 출제되며 출제 비중은 교과교육학이 20%, 교과내용학이 80%로 한다. 둘째, 교과교육학의 하위영역은 '공업교육일반', '공업교육과정', '공업교수법', '실기지도법', '실습장조직관리', '공업교육평가', '산학협동교육', '직업 및 진로지도'로 구성한다. 셋째, 교과내용학은 공통전문, 기초전문, 응용전문으로 구성하고, 공통전문분야는 출제 비중이 7.4%, 기초전문분야는 20%, 응용전문 분야는 크게 전기분야, 전자분야와 통신분야로 나누며 각 영역의 출제 비중은 21.3%, 21.3%, 10%로 한다.

유비쿼터스 시대의 교사양성체제에 대한 예비교사 요구 분석 (Needs Analysis for Teacher Education System in Ubiquitous Era)

  • 박정환;박형성;정동욱;강순미;문창배;조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64-27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교육의 중요성에 기초하여 교원양성 과정의 내실화와 u-러닝 시대의 교육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교사를 양성하는 새로운 교사양성체제에 대한 요구 분석에 있다. 이러한 현장의 다양한 요구를 기반으로 u-러닝 시대 교사의 교육철학과 리더십, 교육내용에 대한 인식,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의사소통) 방식의 이해와 실천이 바탕이 되는 측면에서 교사양성체제를 보완 할 수 있을 것이다.

u-Learning 시대의 교사양성 체제 모형 연구 (A Study on a Model of Teacher Education System in u-Learning)

  • 박정환;정동욱;박형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1호
    • /
    • pp.3308-3314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u-Learning 시대에 교육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는 교원양성체제의 모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현재의 교원양성체제를 고찰하였다. 둘째, 교원양성체제에 활용될 수 있는 유비쿼터스 기술을 분석하였다. 셋째, 기술 분석을 토대로 교원양성체제 구성요소 간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유비쿼터스 기능을 탐색하였다. 마지막으로 u-Learning 시대의 교원양성 체제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필요성, 요구사항 등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u-Learning 시대에 적합한 교원양성체제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는 교원양성체제 모형은 u-Learning 시대를 주도할 교사 양성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한·중 사범대학의 교육과정과 개혁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for University of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and Reform between China and Korea)

  • 박성일;이재철;박정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139-4147
    • /
    • 2014
  • 본 연구는 한 중 사범대학들의 교육과정을 비교하고, 개혁동향을 고찰하였다. 문헌분석의 방법으로 4개 대학(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한국교원대학교, 호남사범대학교, 연변대학교)의 요람, 연구논문, 보고서들을 참고하여 세부영역별로 비교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 중 양국은 모두 목적지향형의 교원양성방식을 취하며, 기본적인 편성 운영 체제가 유사했지만, 중국의 경우 학점이수와 과목선택권 측면에서 폐쇄적인 경향이 두드러졌다. 또한, 모두 교육학과 교육실습에 해당하는 학점배분이 부족하여 향후 예비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해 이의 증치가 필요했고, 학생들의 교육과정 개혁요구를 적시에 수용할 수 있는 자체적인 상설기구의 설립이 필요했다. 양국 사범대학들의 개혁은 교육과정의 문제를 양적인 문제가 아닌 질적인 문제로 바라보고, 학생들의 자주적인 발전과 평생학습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향후 양국 사범대학의 교육과정 개정에 효과적인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공업교원양성교육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초임 교사의 인식 (The Novice Teacher's Perception of Good College Instructional Practice in the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 함승연
    • 공학교육연구
    • /
    • 제13권6호
    • /
    • pp.72-79
    • /
    • 2010
  • 공업에 관한 전문교과 이론뿐만 아니라 실습 교육을 담당하는 공업계 교사를 양성하는 공업교원양성교육은 보통교과 교원양성교육과는 차별화된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공업교원양성교육에서 좋은 수업에 대한 의문을 가지고, 대학에서 공업교육양성교육의 기억이 비교적 뚜렷하고 현직 공업계 고등학교 교사로서 교직 경험이 3년 이내인 초임 교사를 대상으로 면접법을 실시하였다. 공업교원양성교육은 사범대학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거나 부전공 및 복수전공을 통하여 교원자격을 취득하거나, 공과대학 등에서 교직과정을 이수하거나, 교육대학원 등에서 교사 자격증을 취득하는 세 가지 형태로 이루어지고 있어서 공업교원양성교육에서 좋은 수업을 세 가지 경우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사범대학에서의 좋은 수업은 공업계교사가 되어서 학교 현장에 많은 도움이 되는 실질적인 실습수업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과대학의 교직과정 이수에서의 좋은 수업은 소수의 교직이수자를 배려한 공학 전공 수업, 교과목에 타당한 교직과목 수업,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실습교육 등이 좋은 수업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대학원에서의 좋은 수업이란 학부 전공이 다른 학생들의 전공을 고려한 수업, 교원임용고사에 도움이 되며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실질적인 실습 위주의 수업 등으로 나타났다.

  • PDF

수산·해운전문계열 교사자격증 표시과목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Improvement for Indication Subject of Fisheries and Maritime High School Teacher's Certificate)

  • 김삼곤;차철표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3권2호
    • /
    • pp.221-233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made to suggest the improvement for problems of indication subject of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 teacher's certificate issued by the operation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2000. After analyzing the integrated indication subjects related with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 among the middle school teacher's 24 subjects of industrial worl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can be arranged as followed. Firstly, the subjects of fisheries & Maritime high school teacher's certificates are fishing industry, aquiculture, sailing, engine and freezing and new subjects are ocean shipping and ocean logistics. Because the teacher's certificate was changed to integrated indication subjects, there were problems of teacher cultivation, teacher hiring, etc. So, in the actual field of school, teacher cultivating university and related department are necessary to strengthen high-quality majoring education/subjects and practical education as well as need to establish teacher cultivating system by teacher cultivating organization's evaluation system and teacher cultivating education program related by differentiation and easiness of majoring characterization. Secondly, teacher cultivating for new departments and new subjects can apply related major system, free major system, etc. Thirdly, if professional high schools find majoring areas whose content is same one another and introduce common indication subject system, it will be helpful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s,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etc. of professional area.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교사역량이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 Competency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on Curriculum-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 박규리;안완식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4호
    • /
    • pp.145-155
    • /
    • 2023
  • 본 연구는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교사역량이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2022년 4월1일~4월 30일까지 경기도, 충청도, 대전 등에 있는 사범대학교 재학 중인 체육교육 전공자들을 대상으로 비확률 표집인 유의표집방법(pur-posive sampling)을 이용하여 표본추출 후 연구 참가자 400명을 표집으로 조사하여 최종 340명을 대상으로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첫째, 교사역량은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역량은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과전공만족은 진로결정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사역량과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 간에는 인과적 관계가 형성 되었다. 체육교육전공 대학생들의 교사역량이 교과전공만족 및 진로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함으로써 향후 예비체육 교사들의 진로결정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능력 중심 교육의 가치가 공업계 고등학교 교육의 운영 개선에 주는 시사점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Industrial High 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Value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 김희필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3-44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lans to improve the industrial high school through the inquiry of Competency-Based Education(CBE). The suggestions are as followings: (1) Sele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educational contents of industrial high school must be based on job analysis. (2) Instructional objectives must be defined as a performance objective and enabling objectives. (3) Instruction must be individualized in method, the instructional contents must be organized in the unit of module. (4) Evaluation system must be not knowledge based but performance-based. (5) Physical Environment of work shop must be organized based on facilities, equipments and machines abstracted by job analysis. (6) Competency-Based Teacher Education(CBTE) program is required to train competent teachers in practice.

Research on the Critical Factors Affecting Taiwan Secondary School Teachers' Initial Acquisition of Formal Teaching Position

  • Tien, Shiaw-Wen;Chiu, Chung-Ching;Tsai, Chih-Hung;Chung, Yi-Chan;Chang, Ya-Chin
    • International Journal of Quality Innovation
    • /
    • 제8권3호
    • /
    • pp.123-155
    • /
    • 2007
  • This research treated the secondary school teachers as the research scale and the research targets included the following: secondary school (employ unit), center of teacher education, and qualified teachers. In terms of these three groups of people, the topics of exploration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suitable teachers, perception of evaluation standard during the process of teacher examination and the relationship among teacher examination systems. The research was managed by two phases: the first phase referred to literature reorganization, expert interview, the qualities and conditions of suitable teachers, important evaluation standard during the process of teacher examination and teacher examination system used; the second phase included questionnaire survey, employ school acquisition, the perception of centers of teacher education and qualified teachers toward the suitability condition and examination evaluation standard in the first phase and teacher examination system used.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as to the perception of suitable teachers, through data collection, there were six factors reorganized. The levels of their importance were as follows: education devotion, teaching capacity, class management, capacity to guide special students, capacity to communicate with the parents and the will to undertake administrative works. Noticeably, employee unit and centers of teacher education apparently valued class management more, compared with trained teachers; as to evaluation standard of examination, the analytical result found out that the perception of three groups were different in terms of the views toward educational works, written examination data, candidate's age, club experience at school and capacity to use multimedia support teaching materials. This research further proposed six suggestions for centers of teacher education and trained teachers: (l) employ schools considerably valued educational devotion; (2) trained teachers tended to neglect the importance of class management; (3) employee unit considerably cared about the new teachers' competence to use multimedia support teaching materials; however, trained teachers did not have the same view; (4) employee unit considerably cared about new teachers' views toward educational works as well as the candidates' ages; (5) generally speaking, trained teachers neglected the importance of club experience at school; (6) the data revealed that written examination data was not relatively important in terms of teache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