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oor plants

검색결과 186건 처리시간 0.029초

LED 광질이 관엽식물의 기능성 최적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ED Light Quality Treatment on the Functional Optimization of Foliage Plant)

  • 김명선;채수천;안승원;최원춘;이명원;이국한;류효명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33-640
    • /
    • 2012
  • White light and compound light were found to be the ideal light sources for improving the functionality and ornamental value of indoor plants and reducing the cost of maintenance, but because compound light hinders people from recognizing the original color of plants and makes their eyes easily tired, white light was considered the optimal light satisfying all of the ornamental value, economic efficiency and functionality resulting from plant growth. On the other han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physiological changes before and after treatment on fine dust PM10 and carbon dioxide removal capacity in a closed chamber under an artificial light source, the patterns of carbon dioxide and fine dust removal were similar among the treatment groups according to light condition, but according to plant type, the removal rate per unit leaf area was highest in $Spathiphyllum$ and lowest in $Dieffenbachia$. In the experiment on dust and carbon dioxide removal, the photosynthetic rate was over 2 times higher after the treatment, and the rate increased particularly markedly under compound light and white light, suggesting that the photosynthetic rate of plants increases differently according to light quality. These results show that light quality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hotosynthetic rate of plants, and suggests that plants with a high photosynthetic rate also have a high carbon dioxide and dust removal capacity. In conclusion, the photosynthetic rate of foliage plants increased under white and blue light that affect photosynthesis and the increased photosynthetic rate reduced carbon dioxide and fine dust, and therefore white and compound light were found to be the optimal light sources most functional and economically efficient in improving ornamental value and indoor air quality.

식물-바이오필터에 의한 토양수분 안정화 및 실내 공기질 향상 (Stabilization of Soil Moisture and Improvement of Indoor Air Quality by a Plant-Biofilter Integration System)

  • 이창희;최봄;천만영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3권5호
    • /
    • pp.751-762
    • /
    • 2015
  • 본 연구는 평면형 바이오필터를 설계하여 제작하고 이 바이오필터에 디펜바키아(Dieffenbachia amoena 'Marianne')의 식재 여부에 따라 환기 용량을 제어할 수 있는 토양 수분 안정화 정도를 측정하고 미세먼지, 휘발성 유기화합물 및 포름알데히드(HCHO)와 같은 실내공기 오염물질에 대한 바이오필터의 제거율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디펜바키아의 식재 여부에 관계없이 모두 일정한 상대습도, 온도 및 토양 수분 함량을 나타내었고 이 바이오필터에 식재한 디펜바키아도 정상적으로 생육하였다. 바이오필터에 의한 미세먼지 제거율을 보면,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의 입자 수는 토양만 있는 경우 각각 30%와 2% 이상 제거되었고, 디펜바키아를 식재한 경우도 각각 40%와 4% 이상 제거되었다. 미세먼지(PM10) 무게에 따른 제거율은 토양만 있는 경우 4% 이상, 디펜바키아를 식재한 경우 20% 이상으로 나타났다. 토양만 채운 바이오필터는 xylene, ethylbenzene, toluene,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T-VOCs)를 63% 이상 제거하였으나 benzene은 22% 이상, HCHO는 38% 이상을 제거하였다. 디펜바키아를 식재한 바이오필터는 xylene, ethylbenzene, toluene, T-VOCs를 72% 이상 제거하였고 benzene과 HCHO도 39% 이상 제거하였다. 따라서 식물과 바이오 필터를 결합한 시스템은 미세먼지의 제거보다 휘발성 유기 화합물의 제거에 대한 효과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평면형 바이오필터는 실내 공기질 정화에 매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물과 바이오필터를 결합하였을 때 그 효과는 더욱 큰 것으로 확인하였다.

회귀 자원식물 개발을 위한 Indoor Farm(식물공장) 활용 (Utilizing Indoor Farm (Plant factory) to Develop Rare Resource Plants)

  • 이규하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20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5-5
    • /
    • 2020
  • 일반적으로 식물의 공급방법은 채집과 재배로 나눌 수 있으며, 자원식물은 상용화를 위해는 안정적 공급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재배를 선호하고 있다. 재배방식은 다시 노지재배, 시설재배, Indoor Farm(식물공장)으로 나눌 수 있으며, 우리나라는 시설재배 중 비닐하우스 활용이 활발한 나라로 평가된다. 노지재배에 비해서는 시설재배가 온/습도 관리에 대해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Indoor Farm(식물공장)은 광량, 광질 및 일조시간까지 전체 생육조건의 조절이 가능하지만 초기투자비용 및 운영비용 등으로 인해 경제성이 낮아 아직까지는 상용되고 있지 않다. 자원식물의 경우 부가가치가 높아지는 후방사업으로 발달할 수 있으나, 화장품, 기능식품 또는 의약품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품질을 확보하여야 한다. 자원식물 재배 시 특정 성분의 함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온/습도, 광량, 광질 등 생육환경을 관리할 수 있는 시설재배가 노지재배에 비해 적합하다. 하지만, 일부 자원식물의 경우에는 위도, 일조량 등으로 인해 국내에서는 시설재배로도 적절한 생육조건을 제공할 수 없어서 상업화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이에, (주)넥스트온은 Indoor Farm(식물공장) 전문기업으로서, 기존 자원식물 중 국내에서 시설재배로는 적절한 품질 확보가 불가했던 자원식물 및 특수 생육환경에서만 자생하는 희귀 자원식물의 양산화에 노력하고 있다.

  • PDF

식물을 이용한 실내공기정화용 정보시스템 설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IT System Design for Eco-Amenity)

  • 노용덕;이정훈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3D권7호
    • /
    • pp.971-976
    • /
    • 2006
  • 새집증후군과 같이 실내공기의 오염은 최근에 많은 관심을 갖는 영역중 하나이다. 이 오염을 제거하는 효과적인 방법중의 하나가 친환경적인 식물의 공기정화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다. 이러한 식물들은 잎사귀를 통하여 오염물질을 흡수하며 동시에 음이온을 발생시켜 실내환경을 개선시킨다. 여기서는 건물의 공기오염원에 따른 적절한 식물의 선택, 배치, 및 관리정보를 제공하는 실내공기정화용 정보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스마트 Aquaponix 시스템 설계 (Suppression Design of Smart Room Garden·Aquaculture System using PIC)

  • 최양일;김병준;정희태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50-352
    • /
    • 2018
  • In this paper, we propose a smart indoor garden aquaculture system using PIC. In the proposed smart indoor garden aquaculture system, the aquaphonics system circulates the nutrient solution of the aquarium, the filtrate tank, and the flowerpot. The automated control system that controls the state of the nutrient solution through the various sensors and controls the pump and valve is designed.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of the smart indoor garden aquaculture system proposed in this paper, it was confirmed that the environment suitable for the survival of fish and plants was maintained by monitoring water temperature, DO, pH measured in real time. The water level in aquarium and flower pot was controlled through automatic operation of the Electric vale and pump.

관수주기에 따른 실내녹화용 목본식물 4종의 초기 생육반응 (Initial Growth Responses of Four Woody Plants for Indoor Landscaping according to Irrigation Frequency)

  • 권계정;박봉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28-34
    • /
    • 2017
  • 본 연구는 실내에 많이 사용되는 목본식물인 산호수(Ardisia pusilla), 클루시아(Clusia rosea), 팔손이(Fatsia japonica), 인도고무나무(Ficus elastica)를 대상으로 관수주기에 따른 식물생육 상태를 측정하여 향후 실내 환경개선에 도움이 되는 조경식물의 적절한 관수주기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목본식물 4종을 10cm 포트에 식재하여, 관수주기를 2회/1주, 1회/1주, 1회/2주의 3수준으로 하여 120일 동안 처리한 후, 초고, 생체중, 건조중, SPAD, 엽색, 엽수분포텐셜, 엽록소 형광(Fv/Fm), 광합성율을 측정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평균 토양수분함량은 2회/1주 $48.8{\pm}2.1%$, 1회/1주 $25.2{\pm}4.4%$, 1회/2주 $10.3{\pm}2.4%$ 순으로 나타났다. 2회/1주 관수 시 산호수는 엽수분포텐셜이 높게 나타났고, Fv/Fm이 0.731로 나타나 과습에 대한 스트레스를 보였다. 1회/2주 관수 시 산호수, 팔손이, 인도고무나무의 광합성율은 유의성이 없어 클루시아에 비해 건조에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1회/1주 관수하여 평균 토양수분함량이 25%일 때 본 실험에 사용된 4종 목본식물 모두 실내 생육이 원활한 것으로 나타나 실내조경용으로 이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실내환경 개선을 위한 Ardisia속 식물의 열 성능 평가 (Analysis of Thermal Performance of Ardisia Species Used for Improvement of Indoor Environment)

  • 이나영;한승원;주나리;이종석
    • 화훼연구
    • /
    • 제16권1호
    • /
    • pp.1-6
    • /
    • 2008
  • 본 실험에서는 Ardisia속 자생식물의 온도 및 습도변화에 따른 온열환경을 조사함으로써 자생식물의 이용에 가능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하였다. 가로 2m, 세로 1.3m, 높이 1.8m, 총 부피가 $4.68m^3$의 밀폐된 유리 챔버 내에 온도 조건 변화에 따른 실내공간의 온도 및 습도변화를 측정한 결과, Ardisia속 식물에 의한 실내온도의 변화는 $24^{\circ}C$ 이상의 고온에서는 식물이 없는 상태에 비해 감온 효과가 있었으며 3종의 식물 간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Ardisia속 식물 중에서 백량금이 온도 변화에 따른 습도 변화가 가장 민감하게 일어나 13%의 습도 변화를 보였고 $57.3{\pm}3.1%$로 비교적 높은 습도를 보였는데, 이에 비해 자금우는 8%, 산호수는 9%의 습도 변화를 보였고 자금우와 산호수 모두 대부분의 낮 시간 동안 50~55%의 실내 적정습도 범위를 유지했다. 식물체의 실내 발열체로서의 열성능 평가 결과, 실내 온도를 $28^{\circ}C$에서 $26^{\circ}C$로 감온 시에는 식재에 의한 냉방 효과가 비식재 공간에 비해 7.5~13.6배 높았고, 적정온도 이상의 고온에서는 자금우에 의한 냉방 효과가 백량금과 산호수에 비해 더 좋았으며 적정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실내 저온 조건에서는 비식재 공간이 식물을 배치한 경우보다 높은 열량을 나타내 식물이 저온 조건에서 냉방효율을 낮추므로 적정온도를 유지하는데 효과적이었다. 이로서 Ardisia속 식물은 고온의 실내에서 주위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적정온도를 유지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Genotoxicity of the Herbicide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Higher Plants as Monitoring Systems

  • Enan, Mohamed R.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5권3호
    • /
    • pp.147-155
    • /
    • 2009
  • Higher plants provide valuable genetic assay systems for screening and monitoring environmental pollutants. They are now recognized as excellent indicators of mutagenic effects of environmental chemicals and are applicable for the detection of environmental mutagens both indoor and outdoor.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4-D) is a herbicide commonly used in agriculture. The residues of 2,4-D are present in air, water, soil and edible plants. It constitutes a real hazard to the public health because it's wide spread use in agriculture. Genotoxic effects of 2,4-D on plant cells and potential of higher plants as a biomonitoring system for detecting chemical mutagens are evaluated. It is recommended that higher plant systems have been accepted by regulatory authorities as an alternative biomonitoring system for the detection of possible genetic damage resulting from pollution and the use of environmental chemicals.

  • PDF

형광등과 자연광의 광도에 따른 실내조경식물의 생육반응과 도입 방안 (Growth Responses and Introduction Plan of Interior Landscape Plants under Light Intensity of Fluorescent Light and Sunlight)

  • 최경옥;이상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19-128
    • /
    • 2005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fundamental information of growth response of interior landscape plants under a fluorescent lighting, a sunlight at indoor. Ficus elastica Roxb. vu. decora Hort, Spathiphyllum 'Clevelandii', Codiaeum variegatum Blume var. pictum Mvell. Arg. 'Exalant' and Cordyline terminalis Kunth var. red edge Hort were examined under 100lux, 500lux, 1,000lux and 2,000lux light intensity consisted of fluorescent lighting and sunlight at indoor condition. Result of experiments are as follows; 1. A Ficus elastica Roxb. var. decora Hort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fluorescent lighting than sunlight. A plant growth status showed the best result under 2,000lux light intensity of fluorescent lighting in cases of all conditions. 2. A Spathiphyllum 'Clevelandii' showed the best effective adaptations under law intensity among experimental plants. A Spathiphyllum 'Clevelandii',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fluorescent lighting than sunlight. A plant growth status showed the best result under 1,000lux light intensity of fluorescent lighting in cases of all conditions. 3. It need the best high establishment of fluorescent lighting among experimental plants for good plant growth. A Codiaeum variegatum Blume var. pictum Mvell. Arg. 'Exalant'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fluorescent lighting than sunlight. A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high light intensity in case of same light source. A plant growth status showed the best result under 2,000lux light intensity of fluorescent lighting. 4. A Cordyline terminalis Kunth var. red edge Hort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fluorescent lighting than sunlight. but, A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500lux\sim1,000lux$ than 2,000lux in cases of all intensity of fluorescent lighting. while, A plant growth status was better showed under $1,000lux\sim2,000lux$ in cases of all intensity of sunlight.

지하철역내의 실내조경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is and Improvement Plan of Interior Landscape in the Subway Stations)

  • 방광자;주진희;박혜경;박성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58-266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to find problems, and to present an improvement plan of interior landscape in the subway stationis. Moreoiver, it will presume the possibilties to develop the subway and ways to utilie underground space effectivel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 light intensity was recorded 0-100 Lux as the lowest light and 500 Lux below as the highest in 61 subway stations. An average temperature of 12 $^{\circ}C$and an air humidity of 38% were recorded over a 4 month period from January to April, but includes a drastic variaton between -8.5$^{\circ}C$ and 21.5$^{\circ}C$. Soil acidity of pH 7 below and soil moisture of 1-2 wet degree were apeared in subway stations mostly. Plant forms consisted of artificial flower & flower. Plant species were recorded at a total of 54 species and appeared in the order of Araucaria heteropylla, Ophiophogon jaburan, Aspidistra elatior cv. 'Asahi' and Hedera helix. Plant height was, for the most part, below 0.5m. Plant species that was fined of conditions were Palm, Camellia japonica, Araucaria heterophylla as a high plant, dracaena fragrans, dracaena deremensis cv. Wakneckii as a middle plant, and Ophiopogon jaburan, Hedra helix, ytomium falcatum, Aspidistra elatior cv. Asahi as a low plant. It used to water materials such as small pool, small cascade, water cycles and natural materials such as natural rock, small rock, sand, bark and animal materials such as squirrels, birds, goldfish as an object for plants in the subway stations. From these actual conditions, First of all, It must make up physical environments such as light, temperature humidity, soil for plant growth, and is important to chooce suitable indoor plants and draw up systematic management in the subway environments. Also, it change plants frequently and uses variable objects for subway stationi individuatism, Moreover, indoor plants with strong environmental adaptation abities such as shade tolerance, drought tolerance and cold tolerance need to develope variable species possibly. If these improvements occur, utilization and amenity of subway stationis will increase, according to the use of interior landscap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