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is and Improvement Plan of Interior Landscape in the Subway Stations

지하철역내의 실내조경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방광자 (상명대 환경조경학과) ;
  • 주진희 (상명대 환경자원대학원) ;
  • 박혜경 (상명대 환경자원대학원) ;
  • 박성은 (상명대 환경자원대학원)
  • Published : 1998.10.0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to find problems, and to present an improvement plan of interior landscape in the subway stationis. Moreoiver, it will presume the possibilties to develop the subway and ways to utilie underground space effectivel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A light intensity was recorded 0-100 Lux as the lowest light and 500 Lux below as the highest in 61 subway stations. An average temperature of 12 $^{\circ}C$and an air humidity of 38% were recorded over a 4 month period from January to April, but includes a drastic variaton between -8.5$^{\circ}C$ and 21.5$^{\circ}C$. Soil acidity of pH 7 below and soil moisture of 1-2 wet degree were apeared in subway stations mostly. Plant forms consisted of artificial flower & flower. Plant species were recorded at a total of 54 species and appeared in the order of Araucaria heteropylla, Ophiophogon jaburan, Aspidistra elatior cv. 'Asahi' and Hedera helix. Plant height was, for the most part, below 0.5m. Plant species that was fined of conditions were Palm, Camellia japonica, Araucaria heterophylla as a high plant, dracaena fragrans, dracaena deremensis cv. Wakneckii as a middle plant, and Ophiopogon jaburan, Hedra helix, ytomium falcatum, Aspidistra elatior cv. Asahi as a low plant. It used to water materials such as small pool, small cascade, water cycles and natural materials such as natural rock, small rock, sand, bark and animal materials such as squirrels, birds, goldfish as an object for plants in the subway stations. From these actual conditions, First of all, It must make up physical environments such as light, temperature humidity, soil for plant growth, and is important to chooce suitable indoor plants and draw up systematic management in the subway environments. Also, it change plants frequently and uses variable objects for subway stationi individuatism, Moreover, indoor plants with strong environmental adaptation abities such as shade tolerance, drought tolerance and cold tolerance need to develope variable species possibly. If these improvements occur, utilization and amenity of subway stationis will increase, according to the use of interior landscape.

Keywords

References

  1.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지하철역 환경개선을 위한 실내조경 김선혜
  2. 홍익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식물을 중심으로 한 우리나라 중형 아파트 실내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언주
  3.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지하보도공간의 식재조경에 관한 연구 김승익
  4. 고려대학교 대학원 산업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지하공간 이용 활성화를 위한 개발 및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김창수
  5.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지하공간의 개발 및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김민창
  6.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지하철공간 디자인에 있어서 이용자 중심 접근방법에 관한 연구 권순임
  7.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우리나라 실내조경식물의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박상헌
  8.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호텔 실내조경의 기법과 식물활용에 관한 연구 박세림
  9. 실내조경학 방광자;이종석;원주희
  10. 성균관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지하철 이용승객의 만족도 분석 박종숙
  11.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한국의 지하공간개발 현황과 과제에 관한 연구 윤정균
  12. 한국원예식물도감 윤평섭
  13. 실내조경 이영무
  14.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형건물 실내조경식물의 하자원인에 관한 연구 이월희
  15.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지하철역사를 중심으로 한 지하공간 설계 지침에 관한 연구 조순행
  16. 환경과조경 식물외적 첨경소재의 활용기법 정미숙
  17. 홍익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논문 지하휴게녹지공간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최현원
  18.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지하철역사 내에서의 보행통행 특성에 관한 연구 최근영
  19.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지하철 역사공간의 실내환경디자인 및 환경예술 도입에 관한 연구 홍영란
  20. 한양대학교 환경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도시 지하공간의 효율적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한병하
  21. 지하생활공간개발요소 기술연구 한국건설기술개발연구원
  22. 원예학용어집 한국원예학회
  23. 중앙관상대 지하철본부 자료종합
  24. Indoor plants Brigg, G. B;C. L. Calvin
  25. Interior Landscaping Furuta, T
  26. EXOTICA no.4 Graf, A. 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