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omethacin

검색결과 546건 처리시간 0.029초

순기화중탕이 Indomethacin으로 유발된 위궤양에 미치는 영향 (Prevention effect of Sunkiwhajung-tang, a prescription, on the gastric ulcer induced by indomethacin in rats)

  • 김상찬;이동언;권영규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26-337
    • /
    • 2003
  • In order to evaluate the prevention effect of Sunkiwhajung-tang (SWT) which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prescription for the treatment of digestive disease in Korea on the gastric ulcer induced by indomethacin in rats, the changes of number and size of ulcerative lesions, parietal, chief, Grimelius and Serotonin-positive cells in the peri-ulcerative tissues were detected with histological examinations of ulcerative and peri-ulcerative lesions after oral injections of SWT extracts (125, 250 and 500 mg/kg, respectively). SWT prevented to a great extent the expected indomethacin-induced elevation in hemorrhagic ulcerative lesions, the number and size of ulcerative lesions, and the number of parietal cell, chief cell, Grimelius-positive cells and Serotonin-positive cells in the peri-ulcerative lesions in a dose 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provide a story evidence that SWT produced an protective effect on gastric ulcer induced by indomethacin. Determination of the specific mechanisms involved in the protective effect of SWT on the gastric ulcer will require additional study.

PROTECTIVE EFFECT OF TAURINE ON INDOMETHACIN-INDUCED GASTRIC MUCOSAL INJURY

  • Miwon Son;Kim, Hee-Kee;Kim, Won-Bae;Junnick Yang;Kim, Byong-Kak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2-92
    • /
    • 1995
  • It has been suggested that oxygen-derived free radicals have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acute gastric ulceration induced by NSAIDs and ischemia-reperfusion. Taurine is hypothetized to exert its protective effect on NSAIDS-induced gastric injury by its antioxidant properties, Protect ive effect of taurine on indomethacin-induced gastric mucosal lesion and its protective mechanism were investigated. Intragastric administration of 25 mg/kg of indomethacin induced hemorrhagic lesions on the glandular stomach in rats, Pretreatment with 0.25 g/kg of taurine for 3 days significantly reduced the gastric lesion formation and Inhibited the elevation of lipid peroxide level In gastric mucosa. Both resting and FMLP-induced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of rat peritoneal neutrophils increased immediately after treatment of indomethacin. 5-20mM of taurine inhibited chemiluminescence of neutrophils activated by indomethacin and/or FMLP. Human neutrophils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significantly adhered to confluent monolayer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HUVEC) after coincubation with aspirin or indomethacin. Also taurine prevented neutrophil adhesion induced by these drugs to HUVEC in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tective effect of taurine against NSAIDS-induced gastric mucosal Injury is due to its antioxidant effect, which inhibits lipid peroxidation and neutrophil activation.

  • PDF

Protective Effect of Taurine on Indomethacin-induced Gastric Mucosal Injury

  • Son, Miwon;Kim, Hee-Kee;Kim, Won-Bae;Yang, Junnick;Kim, Byong-Ka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19권2호
    • /
    • pp.85-90
    • /
    • 1996
  • It has been suggested that oxygen-derived free radical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physiology of acute gastric ulceration induced by NSAIDs and ischemia-reperfusion. Taurine is hypothetized to exert its protective effect on NSAIDs-induced gastric injury by its antioxidant properties. Protective effect of taurine on indomethacin-induced gastric mucosal lesion and its protection mechanism were investigated. Intragastric administration of 25 mg/kg of indomethacin induced hemorrhagic lesions on the glandular stomach in rats. Pretreatment with 0.25 or 0.5 g/kg of taurine one day before or for 3 days significantly reduced the gastric lesion formation and inhibited the elevation of lipid peroxide level in gastric mucosa. The luminol-dependent chemiluminescence of rat peritoneal neutrophils increased immediately after treatment of FMLP or indomethacin. Taurine (5-20 mM) inhibited chemiluminescence of neutrophils activated by FMLP. Human neutrophils (polymorphonuclear leukocytes) significantly adhered to the confluent monolayer of human umbilical vein endothelial cells (HUVEC) after coincubation with indomethacin. This neutrophil adhesion induced by indomethacin to HUVEC was prevented by taurine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rotective effect of taurine against NSAIDs-induced gastric mucosal injury is due to its antioxidant effect, which inhibits lipid peroxidation and neutrophil activation.

  • PDF

향사육군자탕(香砂六君子湯)의 Indomethacin 유발 위점막 손상에 대한 효과 (The Effects of Hyangsayukgunja-tang Extract on Indomethacin-Induced Gatric Mucosal Lesions)

  • 백태현;공경환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89-599
    • /
    • 2001
  •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yangsayukgunja-tang extract on indomethacin-induced gastric mucosal lesions of mice. Methods: To evaluate the effects of Hyangsayukgunja-tang extract and Misoprostol, the morphology of gastric mucosa, and the distribution of mucose cells, PNA(Peanut Agglutinin), ICAM(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 and apoptotic cells were observed. Hyangsayukgunja-tang extract and Misoprostol were intragastric injected to the test groups at hour 72 before and just before indomethacin treatment(HYT-J, HYT-72, M-J, M-72), while the INDO group was injected only with indomethacin and the control group was subcutaneously injected only with saline. Results: The gastric mucosal lesions incresed in the fundus and body of INDO group, but softened in HYT group and M group, the effects were more excellent in the HYT-72, M-72 groups than the HYT-J, M-J groups and in the HYT group than M group. The disappearance of surface and neck mucose cells were shown in INDO group, but softened in HYT group and M group. The mucosal configuration of HYT-72 group was the same as control group. The numerical increase of PNA positive reaction in cytoplasm of perietal cells were appeared in INDO group. The PNA positive reaction in HYT group and Miso-group were shown in surface mucous cells and microvilli of apical surface in chief cells as control group, and were the same as control group in all mucosa of HYT-72 group. The distribution of ICAM positive cells, increased in INDO group, but decreased in M-72 group, and were the same as control group in HYT-72 group. The apoptotic cells, increased noticeably in gastric mucosa of INDO group, decreased in HYT group and M group, and decreased noticeably in HYT-72 group. Conclusions: Hyangsayukgunja-tang extract had excellent effects on indomethacin-induced gastric mucosal lesions.

  • PDF

소 부신수실 크롬친화성 세포에서 Nicotine의 장기간 자극으로 유발된 Proenkephalin A mRNA의 증가 및 $[Met^{5}]-enkephalin$의 분비 증가가 Lipoxygenase 경로에 의해 매개됨 (The Increases of Proenkephalin A mRNA Levels and the Secretion of $[Met^{5}]-Enkephalin$ Induced by Long-term Stimulation with Nicotine are Mediated by a Lipoxygenase Pathway in Bovine Adrenal Medullary Chromaffin Cells)

  • 서홍원;김영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37-244
    • /
    • 1993
  • 소 부신수실 크롬친화성 세포(BAMC)에서 $[Met^5]-enkephalin$ (ME)의 분비와 Proenkephalin A (proENK) mRNA의 함량에 대한 nicotine의 영향과 이에 대한 indomethacin, nordihydroguaiaretic acid(NDGA) 및 captopril의 작용을 연구하였다. 10 uM Nicotine으로 BAMC 세포를 장기간 자극시 proENK mRNA의 함량과 배양액으로의 ME 분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BAMC 세포를 NDGA(lipoxygenase 억제제, 10 uM), indomethacin (cyclooxygenase 억제제), captopril (angiotensin 변환효소 억제제)만으로 처리시에는 ME 분비와 proENK mRNA의 함량에 영향이 없었다. Nicotine에 의한 ME 분비와 proENK mRNA 함량의 증가는 NDGA에 의하여 억제되었다. 그러나 indomethacin과 captopril은 nicotine의 작용에 대하여 아무 영향이 없었다. 이들 결과는 nicotine에 의한 ME 분비와 proENK mRNA 함량의 증가가 부분적으로 lipoxygenase 경로에 의해 매개되며, cyclooxygenase 및 내재성 renin-angiotensin 경로는 관련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 PDF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에서 예방적 indomethacin 투여효과 (Effect of prophylactic indomethacin in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 이보련;김수진;구수현;전가원;장윤실;박원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9호
    • /
    • pp.959-965
    • /
    • 2006
  • 목 적 :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환자 치료의 질적, 양적 성장으로 인해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의 생존률은 많은 향상을 보였음에도 불구하고 동맥관개존증 및 뇌실내출혈과 연관된 이환율 및 사망률은 높은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에서 동맥관개존증과 뇌실내출혈을 예방하기 위한 시도된 약물 중 indomethacin의 예방적 투여에 대한 효과와 부작용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6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삼성서울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재태연령 29주, 출생체중 1,000 g 미만의 초극소 저출생체중아 8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조사하였다. Indomethacin을 생후 6시간 이내에 24시간 간격으로 0.1 mg/kg를 투여받은 예방군 28명과 대조군 56명으로 분류하여 두 군의 인구학적 및 주산기 인자, 동맥관개존증과 뇌실내출혈의 발생율 및 합병증과 사망률에 대해서 비교하였다. 결 과 : 인구학적 및 주산기 인자로서 재태연령과 출생체중은 각각 예방군에서 $25.1{\pm}1.3$주, $746{\pm}132g$이었으며 대조군에서는 $25.2{\pm}1.6$주, $738{\pm}142g$으로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그 외에 성 비, 부당경량아, 쌍생아의 비율, 1분 및 5분 아프가 점수, 분만 방법,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산전 스테로이드 투여, 호흡곤란증후군의 유무, 융모양막염의 여부에서도 두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Indomethacin의 예방효과가 있을 것이라 기대했던 동맥관개존증과 3도 이상의 고도의 뇌실내출혈의 발생 비율에서는 두 군간에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첫 번째 치료적 indomethacin이 투여된 빈도는 예방군에서 더 많았고 indomethacin 투여된 시간은 예방군에서 유의하게 늦었다. 사망률은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고 합병증과 관련된 인자로 폐출혈, 기흉, 기관지폐이형성증, 미숙아 망막증, 괴사성 장염의 발생에서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자발성 회장 천공의 발생은 대조군에서는 없었던 반면에 예방군에서는 10.7%로 나타났고, 괴사성 장염에서 천공된 경우를 합한 경우에도 예방군에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또한 완전장관영양에 도달한 시기는 예방군에서 $31.5{\pm}17.1$일이었고, 대조군에서는 $22.1{\pm}7.6$일로 예방군에서 유의하게 늦었다. 태변이 배출되는 데까지 걸린 기간과, 위장관 출혈의 발생빈도, 신 기능의 손상 정도의 평가에서는 두 군간의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초극소 저출생체중아에서 출생 후 저용량 indomethacin을 예방적으로 사용하여 뇌실내출혈이나 동맥관개존증의 비율을 감소시키진 못하였고, 오히려 장관 천공의 비율을 증가시키고 장관영양의 진행이 늦어지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흰쥐에서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된 위염에 대한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의 보호효과 (Protective effect of Litsea japonica fruit flesh extract on indomethacin-induced gastritis in rats)

  • 박성환;박인재;윤지현;최구희;김현정;서윤희;조주현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1017-102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의 흰쥐모델에서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되어지는 위염에 대한 억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 투여그룹(LJF-HE-L, LJF-HE-M, LJF-HE-H)에서 염증길이와 위액량이 control 그룹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결과를 얻었다. 또한 위액량의 유의적인 감소효과로 위산분비가 억제되어 공격인자 작용이 약해지는 원인과 펩신의 활성도를 낮추는 원인으로 인하여 위염발생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의 위산 분비 억제 기능은 gastrin 및 histamine에 의해 발현되는 CCK-2r와 H2r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gastrin 및 histamine에 의한 위산 생성 단계를 조절하여, proton pump인 H+/K+ ATPase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키며, 그 결과로 인하여 위산 분비를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그리고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은 점액을 증가시켜 위 점막을 보호하는 PGE2의 함량을 높여, 위 점막 보호 기능을 나타내고 있으며, 더불어 염증성 cytokine인 TNF-${\alpha}$와 IL-$1{\beta}$의 생성을 낮춰주어 염증 매개반응을 저해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까마귀쪽나무열매추출물(LJF-HE)이 인도메타신으로 유발되어지는 위염에 대한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PVM 및 FBRM 기반 인라인 모니터링을 통한 indomethacin-saccharin 공결정의 생성 메커니즘이해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Indomethacin-Saccharin Co-crystal Formation Using In-line Monitoring System based on PVM and FBRM)

  • 김바울;조민용;최광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5권2호
    • /
    • pp.180-189
    • /
    • 2017
  • 난용성 약물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안정성을 향상하기 위한 제약 공결정은, 미국 FDA가 지난 2016년 8월에 공결정을 solvate의 특별한 경우라고 정의를 수정하면서, 개량신약의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할 것으로 추측된다. 본 연구에서는 모델 조합으로 잘 알려진 indomethacin-saccharin 공결정을 반용매 방법으로 제조할 때, 인라인 모니터링 기법을 적용하여, 반용매의 주입속도에 따른 indomethacin 준 안정상의 일시적인 생성 및 indomethacin-saccharin 공결정의 생성을 관찰하고 메커니즘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그간 인라인 모니터링을 위해서 매우 다양한 분석도구가 연구되어 왔는데, 본 연구에서는 PVM (particle vision measurement)와 FBRM (focused beam reflectance measurement)를 조합하여 공결정화 공정에서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공결정화 결과물의 오프라인 분석은 PXRD (powder x-ray diffraction)와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반용매의 주입 속도에 따라서 공결정이 생성되는 경로에 분명한 차이가 있음을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상관 관계의 이해를 통해서 제약학적 특성이 더욱 일정하고 품질이 보증된 indomethacin-saccharin Co-crystal을 얻는 조건을 확립하였다. 본 연구결과, PVM과 FBRM을 조합한 인라인 모니터링은 제약 공결정 제조공정에서 활용성이 매우 높은 기술이라고 할 수 있다.

혈관 반응성에 대한 Cyclooxygenase 억제제 효과와 Cyclooxygenase 발현 변화 (Effects of Cyclooxygenase Inhibitors on Vascular Reactivity and Alterations of Cyclooxygenase Expression)

  • 이기영;박진우;엄은아;강영진;이광윤;최형철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36-44
    • /
    • 2006
  • 진통과 해열작용을 가진 NSAIDs는 소화기계에 대한 부작용 때문에 COX-2 선택성 억제제로 대체되고 있다. 그러나 COX-2 선택적 억제제는 심혈관계에 대한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어 혈관 평활근에 대한 직접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혈관 반응성에 미치는 celecoxib와 aspirin, indomethacin의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COX-1, COX-2 단백질 발현에 대한 indomethacin과 NO 공여제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Phenylephrine 유발 수축반응에서 전처치 된celecoxib, indometacin, aspirin 순서로 혈관 반응성을 증가시켜, cyclooxygenase를 억제하면 혈관 수축성물질에 대한 반응성이 커질 수 있음을 나타낸다. 이중 cyclooxygenase에 대해 비가역적으로 강한 억제를 나타내는 aspirin이 제일 강한 효과를 나타내어 여기에 대한 연구는 더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혈관평활근 세포의 COX-2 단백질 발현은 indomethacin과 SNP, NOR-3 처치에 의해 증가되었으며, LPS를 이용하여 혈관염증을 유발 시키는 경우 혈관평활근 세포의 COX-2 단백질 발현이 증가되었고, 이 상태에서 SNP $100{\mu}M$ 전처치로 COX-2 단백질 발현을 감소되었으며, NOR-3 $100{\mu}M$은 COX-2 단백질 발현을 증가시켰다. LPS 유도 nitrite 생성에서 NOR-3는 SNP 보다 더 많은 nitrite를 생성시켰다. 이는 혈관의 수축반응에서 aspirin은 강한 상승작용을 유발하고, 혈관평활근 세포의 COX-2 발현은 NO 공여제, 혈관염증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을 나타낸다.

  • PDF

Indomethacin으로 유발된 백서의 위점막 손상에 대한 시호계지탕의 효과 (Effect of Sihogeji-tang Extract on Indomethacin-Induced Gastric Mucosal Lesions in Rats)

  • 김보람;허경;임성우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477-487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ihogeji-tang on indomethacin-induced gastric mucosal lesions in rats. Methods : Experimental ra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The normal group had no inflammation elicited. The control group was rats administered water after elicitation of gastro-inflammation. The sample group were administered sihogeji-tang after gastro-inflammation elicitation. Results : In the common morphology and histochemical change, the control group were observed to have various injuries by hemorrhagic erosion, while the sample group had noticeably fewer injuries than the control. In the immunohistochemical change, the distribution of HSP-70, PCNA treated with sihogeji-tang noticeably increased over the control group. The distribution of NF-kB, COX-2 treated with sihogeji-tang noticeably decreas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05) Conclusions : Sihogeji-tang had significant effects on indomethacin-induced gastric mucosal lesions in ra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