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vidual Tooth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4초

건강증진과 관련된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Association of Health-related Behaviors with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 노원환;김석범;강복수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23권2호
    • /
    • pp.157-174
    • /
    • 1998
  • 인구사회학적 변수가 건강생활양식 실천도와 건강증진관련 행위의 실천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1993년 6월 1일부터 2개월간 경주시에 거주하는 주민 1,903명을 대상으로 사전에 훈련된 조사원이 가구방문을 통하여 면접조사표에 의거 직접 면접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내용은 인구학적 및 사회경제적 특성, 상병 및 의료이용양상, 그리고 건강증진과 관련된 행위(남자 24개, 여자 26개 항목)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별로 건강생활양식 실천도가 높은 경우한 남자의 고연령군, 유배우 기혼자와 사별한 자, 종교거 없는 사람, 아파트 및 연립주택 거주자, 남자의 저소득층과 여자의 고소득층, 공무원 및 사립학교 교직원 의료보험 가입자, 고학력자, 전문관리직 종사자, 만성질환 이환자 및 처체증자 등이었다. 건강증진 관련행위의 실천율에 있어 남자는 흡연, 음주, 청량음료음용, 육류섭취, 식염섭취 및 건강 진단율이 여자에 비해서 높았으며 여자는 과일 채소섭취율, 양치질수행률 및 우유음용률이 남자보다 높았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실천율이 높아지는 건강증진 관련행태로는 과일 채소섭취, 규칙적 식사, 아침식사, 식염섭취, 의사방문, 혈압측정 및 단골의사 보유였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실천율이 낮아지는 것으로는 안전벨트착용, 양치질수행, 커피음용, 차음용, 청량음료음용, 우유음용 및 간염예방 접종이었다. 월평균 가구소득이 증가할수록 실천율이 높아지는 건강관련 행태로는 규칙적인 운동, 안전벨트 착용, 양치질수행, 커피음용, 차음용, 우유음용, 과일 채소섭취, 육류섭취, 건강진단, 간염예방접종 및 자궁암 검진이었으며, 반대로 소득이 낮을수록 실천율이 높은 것으로는 흡연을, 규칙적인 식사, 아침식사 및 유방암자가검진이었다. 생산직 및 농 어 축산업에 종사하는 사람은 다른 작업군에 비해 흡연율, 음주율, 의사방문율 및 단골의사 보유율이 높았고 안전벨트착용률, 양치질수행률 및 간염예방접종률은 낮았다. 판매 서비스직종의 경우는 커피음용률, 육류섭취율, 식염섭취율, 자궁암 검진율이 다른 직업군에 비해 높았던 반면, 충분한 수면을, 규칙적인 식사율, 아침식사율, 혈압측정률, 건강진단율은 낮았다. 사무직 및 전문 관리직이 다른 직업군에 비해 규칙적인 운동, 맨손체조, 안전벨트착용, 양치질수행, 차음용, 청량음료음용, 우유음용, 혈압측정, 건강진단, 간염예방접종 실천율은 높았으며, 식염섭취율과 자궁암 검진율은 낮았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규칙적인 운동, 맨손체조, 안전벨트착용, 양치질수행, 커피음용, 차음용, 우유음용, 육류섭취, 간염예방접종 및 보조제 복용행위의 실천율이 높았으며, 음주율, 아침식사율 및 식염섭취율은 낮았다. 초졸 이하 군에서는 흡연율, 규칙적인 식사율, 의사방문율, 혈압측정률 및 단골 의사보유율이 높았다. 만성질환에 이환된 사람은 흡연, 음주, 규칙적인 운동, 맨손체조, 규칙적인 식사, 아침식사, 육류 섭취, 식염섭취, 의사방문, 혈압측정, 건강진단, 단골의사보유, 보조제 복용 등의 실천율이 높았으며, 만성질환에 이환되지 않은 사람은 안전벨트착용, 양치질수행, 충분한 수면, 커피음용, 차음용, 청량음료음용, 우유음용, 과일 채소섭취율, 간염예방접종, 자궁암 검진, 유방암 자가검진 등의 실천율이 높았다. 정상체중군에서는 흡연, 음주, 안전벨트착용 등의 실천율이 높았고, 과체중군에서는 규칙적인 운동, 맨손체조, 육류섭취, 식염섭취, 혈압측정, 건강진단, 단골의사보유율이 높았으며, 저체중군에서는 양치질수행, 우유음용, 보조제 복용률이 높았다. 결론적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건강생활양식 실천도와 건강증진 관련행위의 실천양상이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주민의 참여를 촉진시키고 건강관련행위의 실천을 권장하는 전략으로는 주민의 사회경제적인 특성을 고려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전개되어야 한다.

  • PDF

설측 브라켓 부착을 위한 기준평면 설정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of the bracket positioning plane in lingual orthodontics)

  • 김선화;박수병;양훈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30-44
    • /
    • 2006
  • 교정치료 영역에서 성인들의 심미적인 요구도가 증가되면서 설측 교정치료는 여러 가지 단점에도 불구하고, 가장 심미적이라는 이유로 많은 주목을 받아왔지만 실제 치아이동을 결정지을 수 있는 브라켓을 부착하는 기준평면의 위치에 대해서는 거의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실제 브라켓이 부착되는 평면의 상하 평행이동이나 기울기 변화에 따라 치아이동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는지 알아보고, 바람직한 전치부 치체이동을 얻기 위해서 힘의 적용점을 어디에 두어야 하는지, 그리고 전치부에 어느 정도의 모멘트를 부여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3차원 유한요소법을 이용하여 치아 변위 및 응력분포를 비교 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설측 브라켓 부착평면을 치은연쪽으로 평행이동 혹은 회전이동 시키고 견인하였을 경우, 절단연쪽으로 이동시켰을 때와 비교했을 때 비조절성 설측 경사이동이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상하악 전치부 치아들의 설측경사 양상은 지속되었으며, 이러한 양상은 견치 브라켓의 hook 길이를 증가시켜도 계속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설측 중심평면에 브라켓을 부착하고 각 치아별로 모멘트를 부여하였을 경우 설측 방향으로 개개 치아들의 치체이동이 발생하여 설측 교정치료 시 효과적인 전치부 치아의 후방견인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노인요양시설 노인의 건강상태, 신체적, 정신적 기능, 사회적 지지에 따른 삶의 질 예측요인-D 광역시를 중심으로- (Prediction of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at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ccording to Health States, Physical and Cognitive Functions, and Social Supports-Focused on D Metropolitan City)

  • 김종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656-4667
    • /
    • 2015
  • 본 연구는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과 건강상태, 신체적 기능, 정신적 기능, 사회적 지지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일부 도시 지역에서 요양시설에 거주하는 만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대상은 260명 이었고,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set, ANOVA, pearson correlation과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매우 취약한 대상군인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은 입주기간과 수면상태가 만족스러운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높은 경우, 치아 부자유함이 없는 경우, 건망증이 없는 경우, 우울이 낮을수록, 인지기능이 좋을수록,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 평균이 높게 나타났다. 삶의 질과의 상관관계에서는 수면상태(r=-.20, p<.001)와 주관적 건강상태(r=-.24, p<.001), 우울(r=-.30, p<.001), 사회적 지지(r=.30, p<.001)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 예측 요인으로는 사회적지지(${\beta}=.30$, p<.001), 우울(${\beta}=-.25$, p<.001), 주관적 건강상태(${\beta}=-.22$, p<.001), 입소기간(${\beta}=-.22$, p<.001), 수면상태(${\beta}=-.12$, p=.025)가 삶의 질과 밀접하게 관련되고 예측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요양시설 노인들의 삶의 질은 여러 요인이 관련되어 있으며, 삶의 질에 대한 간호중재 및 관리는 신체적 활동이나 질병관리와 함께 정신적, 사회적 접근이 필요하며 노인의 개별적 이해를 중점으로 전인적 접근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난치성 치주염의 질환진행 예견 인자에 관한 분석 (ANALYSIS ON THE PREDICTOR OF DISEASE PROGRESSION IN REFRACTORY PERIODONTITIS)

  • 이해준;최상묵;정종평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3권1호
    • /
    • pp.109-126
    • /
    • 1993
  • Refractory periodontitis manifest progressive attachment loss in a rapid and unrelenting manner regardless of the type or frequency of therapy appli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a evaluate the 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cytokines in GCF and periodontopathic microflora with disease activity of refractory periodontitis. Selection of patients with refractory periodontitis (7 males, 3 females) were made by long term clinical observation including conventional clinical history and parameters. Teeth that showed pocket depth greater than 6mm were selected as sample teeth. Subjects were examined at baseline and after 3 months. Prior to baseline test, individual acrylic stent was fabricated. Reference grooves were made on each sample tooth site. Pocket depth and attachment loss were measured by Florida Probe. Gingival index was measured at 4 sites each sample teeth. Disease activity was defined as attachment loss of ${\ge}$ 2.1mm, as determined by sequential probing and tolerance method. The pattern and amount of alveolar bone resorption was observed with quantitative digital subtraction image processing radiography. Morphological analysis of subgingival bacteria was taken by phase contrast microscopy. Predominant cultivable bacterial distribution and frequency were compared between disease-active and disease-inactive site using immunofluorescence microscopy and selective microbial culturing. Levels of $interleukin-l{\beta}$, 2, 4, 6 and $TNF-{\alpha}$ in GCF and blood serum sample were quantified by ELISA. In active sites, P. intermedi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compare with inactive site. $IL-1{\beta}$, IL-2, IL-6 and $TNF-{\alpha}$ in GCF were increased in active sites and IL-2 in serum was increased in active patients significantly. Alveolar bone loss in active site was correlated with $IL-1{\beta}$, IL-2 in GCF. And loss of attachment in active site was correlated with IL-2 in GCF.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IL-2 in serum, $IL-1{\beta}$, IL-2, IL-6 and $TNF-{\alpha}$ in GCF, P, intermedia might be used as possible predictors of disease activity in refractory periodontitis before it is clinically expressed as attachment loss and quantitative alveolar bone change.

  • PDF

구강환경과 구취와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oral environment and halitosis)

  • 이영옥;이태용;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125-139
    • /
    • 2009
  • Objective :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halitosis prevention and establish a device to efficiently eliminate halitosis an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halitosis. Methods : Oral examination on the Gingival index, CPITN, Tongue Plaque index, and OHI-S as well as halitosis measurement among 293 rural residents. Results : Gingival index was high at mild on female and at moderate on male(p=0.025). Sorting the result by age, mild was 54.1% in the 40s, and moderate was 49.5%, 42.0% and 70.0% each in the 50s, 60s, and the 70s(p=0.005). The need for dental plaque management was 100%. The need for scaling was high with 78.3%, 93.0%, 89.9%, and 90.0% each for the 40s, 50s, 60s, and 70s. The need for complex periodontal treatment was also high with 32.4%, 47.5%, 48.7% and 60.0%, each for the 40s, 50s, 60s, and 70s(p=0.050). The highest bad condition for OHI-S was 69.5%, and good being 18.9%, and very bad being 11.6%. For moderate tongue plaque index was 74.4% as the highest. As the level of education increased, the slight tongue plague was increased, but in contrast, the moderate and higher tongue plague index was decreased(p=0.010). OG under 50ppm was 61.1% on male and OG over 50ppm was 50.9% on female(p=0.041). In OG over 50ppm, CPITN was 52.1% and 41.9% in scaling and complex periodontal treatment group(p=0.018). OHI-S, in bad and very bad condition with OG, over 50ppm, was 48.7% and 46.9%(p=0.019). The higher tongue plague index showed significant amount of increase at OG and EG above 50ppm(p=0.006). $NH_3$, as the tongue plaque index increased, the wider range of distribution was shown(p=0.000). As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 there have been selected females and tongue plaque index as factors affecting OG. There have been selected age and tongue plaque index as factors affecting EG and there have been selected females as factors affecting on $NH_3$. Conclusions : With the aforementioned results in mind, the status of halitosis among rural residents is considered to bare a close relation with oral environments. we have to focus on correct tooth brushing methods and tongue brushing, with using tongue cleaner to remove fur of tongue plaque. Also, in order to analyze exactly the factors of individual halitosis, we need continuous and systematic study.

  • PDF

상악 치아군의 저항중심의 위치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 해석 (Finite-element investigation of the center of resistance of the maxillary dentition)

  • 정광모;성상진;이기준;전윤식;모성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83-94
    • /
    • 2009
  • 최근 골내 고정 형태의 temporary anchorage device (TAD)를 많이 이용하게 되면서 다양한 위치로부터 그리고 강한 교정력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에 따라 치아군의 이동양상을 예측하고 치료계획을 세우기 위하여 다양한 치아군의 저항중심의 위치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이용하여 상악 4전치, 6전치 그리고 상악 전 치열에서 3차원적 저항중심의 위치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상악 전치열 14개 치아와 치근막 및 치조골의 3차원 유한요소모델을 제작하였고, 각 치아군별로 치관부를 협측, 설측 호선, 설측 splint wire로 고정하여 개별 치아이동을 최소화하고 적용된 힘이 치아에 고루 분산되도록 하였다. 상악 중절치 절단연의 중점에서 연장된 와이어 빔에 수직, 수평으로 100 g 또는 200 g의 힘을 가하여 치아의 변위를 해석하고, 각 치아군에 속한 치아들이 최대한 평행이동 되는 힘의 적용부위를 저항중심으로 정의하였다. 연구결과 상악 4전치군의 저항중심은 상악 중절치 절단연으로부터 치근방향 13.5 mm, 후방 12.0 mm, 상악 6전치군은 상악 중절치 절단연으로부터 치근방향 13.5 mm, 후방 14.0 mm에 위치하였으며 상악 전치열군의 저항중심은 상악 중절치 절단연으로부터 치근방향 11.0 mm, 후방 26.5 mm에 위치하였다. 본 유한요소 실험모델을 이용하여 얻은 결과는 교정치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Electrognathography를 이용한 측두하악장애환자의 저작양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hewing Patterns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by Electrognathography)

  • Moon-Gyu Kim;Kyung-Soo Han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0권2호
    • /
    • pp.291-306
    • /
    • 1995
  • Mandibular movement is composed of border movement and functional movement. Border movement such as maximal mouth opening, hinge opening ad lateral eccentric movement has good reproducibility, but functional movement such as chewing, swallowing and speech has also reproducibility. Especially for chewing movement, individual reproducibility has been confirmed by many studies. Study of chewing pattern is still in controversy. In new approach for raising the diagnostic value, numeric parameters and morphologic characteristics could be used for evaluation of chewing pattern.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chewing pattern in controls and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Sixty-three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unilaterally affected subjects or bilaterally affected subjects. Then unilaterally affected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closed lock group, disk displacement with reduction group, and degenerative joint disease group. For recording of chewing pattern, subjects were asked to chew one piece of presoftened chewing gum on both sides, and the chewing movement was recorded with the Electrognatho- Graphy(Bio-Research Associates Inc., U.S.A.). Tooth contact pattern for occlusal stability (Total left-right statistics )was also recorded with T-Scan(Tekscan Co., U.S.A.). The dta related to chewing pattern and total left-right statistic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SAS/stat program.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patient group, mean value of A-P distance and the ratio of A-P distance to vertical distance were larger than control group, but the value of lateral distance in affected side and the closing velocity in unaffected side were smaller than that of control group, respectively. 2. In case of unilateral affected patients, chewing pattern of other side had tendency to restricted movement and slow velocity in closed lock group or degenerative joint disease group than control group or disk displacement with reduction group. 3. In bilateral degenerative joint disease patients, contralateral side had tendency to large range of motion and slow chewing velocity than preferred chewing side. 4. The patients with restricted mouth opening below than 35mm had higher value of total left-right statistics than patient group mouth opening above 35mm. Also closed lock group had higher total left-right statistics than disk displacement with reduction group, degenerative joint disease group and control group. 5. There was some difference in morphologic characteristics of chewing pattern between in control group and in affected side of unilateral patient group, but no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unaffected side of unilateral patient group. 6.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vertical distance and A-P distance, between vertical distance and chewing velocity, between A-P distance and chewing velocity, and between opening velocity and closing velocity in unilateral affected patients.

  • PDF

임상검사 및 설문조사를 통한 청소년의 치주상태 연구 (Clinical Assessment and Survey of Periodontal Condition among Adolescents)

  • 김태형;이대우;김재곤;양연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27-236
    • /
    • 2016
  • 치주질환은 3대 구강질환으로 성인 대상으로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청소년의 경우 치주질환이 증가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청소년의 치주상태에 대한 관심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치주상태와 치주질환 유병률을 조사하고 그 기여요인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전주시 10세, 13세, 16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임상 검사 및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주질환 유병률과 치태지수는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관찰되었고(p < 0.05), 13세에서 가장 높은 치주질환 유병률(73.3%)과 치태지수가 관찰되었다(p < 0.05). 치아별 치태지수의 경우 하악 중절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예상위험요인과 관련한 설문조사에서 13세의 구강 위생관리가 가장 부족하게 나타났다. 스케일링을 받은 환자에서 치태지수가 높게 관찰되었으며(p < 0.05), 스트레스가 많은 청소년에게서 치석 침작 및 치태지수가 증가하였다(p < 0.05).

무치악 환자에서 치은의 색조 개선을 통해 심미성을 향상 시킨 총의치 수복 증례 (Esthetically improved complete denture by gingival shade alteration: a case report)

  • 임수현;김지환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3호
    • /
    • pp.239-245
    • /
    • 2014
  • 총의치 보철은 잔존 자연치가 완전히 소실된 환자를 위한 상, 하악의 상실된 관련 구조물과 자연치의 수복을 포함한다. 보철치료의 궁극적인 목적중에 심미적 그리고 기능적인 회복이 포함된다. 최근에는 고령의 환자들에도 심미적인 요구가 크게 증가되고 있기에 총의치 보철치료에 있어서도 이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총의치 보철치료에서도 자연 치아와 유사하게 보이기 위해 치아 마모 정도 및 배열, 치경부 치은의 퇴축, 착색, 치은의 색조 개선 등을 표현하려는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져 왔다. 본 61세 여환은 5년 전 개인치과에서 제작한 의치가 부러지고 잘 맞지 않는다는 주소로 본원 보철과 내원하였고 상악 총의치 및 하악의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제작하기로 계획하였다. 환자는 기본적인 저작기능의 회복을 고려하고 있었지만, 그보다는 자연스럽고 심미적인 총의치 제작에 최우선 순위를 두고 있었다. 심미적이며 자연스러운 형태를 표현하기 위하여 Aesthetic Color Set Easy system$^{(R)}$ (Candulor dental GmbH, Wangen, Germany)을 활용하여 치은의 다양한 색조를 재현한 총의치를 제작하였다. 보철물 시적이 완료되었고 총의치의 기능적인 면이 회복되었을 뿐만 아니라 환자의 심미적인 요구까지 충족시킬 수 있었다. 적절한 심미적 재료의 선택과 더불어 개개인에 적합한 특성을 잘 표현할 수 있다면 환자와 치과의사 모두에게 만족감을 주는 총의치 보철치료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구치부 반대교합의 조기치료에 대한 치험례 (EARLY TREATMENT OF THE POSTERIOR CROSS-BITE: A CASE REPORT)

  • 이은미;강동균;김태완;김영진;남순현;김현정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357-366
    • /
    • 2008
  • 구치부 반대교합은 유치열기와 혼합치열기에서 종종 나타나는 부정교합으로서, 유병율은 $7{\sim}23%$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이는 상악 치아의 협측 교두가 대합되는 하악 치아의 협측 교두의 설측에 교합하는 상태이며, 하나의 치아 또는 한 치아군에서 나타날 수 있다. 구치부 반대교합의 경우, 보통 자발적 교정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발견되는 즉시 치료해주는 것이 추천된다. 치성이나 기능성의 경우 성장함에 따라 골격성으로 이행하여 악골의 변형을 초래하고 교정적인 수단으로 개선이 불가능한 상태로 악화될 가능성도 있으므로 조기에 치료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이러한 반대교합의 치료 방법으로는 하악의 변위를 유발하는 조기접촉을 제거하기 위한 교합조정, 협소한 상악궁의 확장, 치열궁내 비대칭을 치료하기 위한 개개 치아의 배열 등의 방법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유치열기와 초기 혼합치열기 아동에서 구치부 반대교합이 관찰되어 치아의 선택적 삭제와 상악궁의 확장으로 반대교합을 교정한 후 정기적 검진시 양호한 결과가 관찰되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