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ium-Tin Oxide (ITO)

검색결과 835건 처리시간 0.039초

Indium Tin Oxide (ITO) Thin Film Fabricated by Indium-Tin-Organic sol with ITO Nanoparticle at Low Temperture

  • Hong, Sung-Jei;Chang, Sang-Gweon;Han, Jeong-In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6년도 6th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1334-1338
    • /
    • 2006
  • In this work, indium tin oxide (ITO) thin film was fabricated by indium-tin-organic sol including ITO nanoparticle. ITO nanoparticle showed ultrafine size about 5 nm and (222) preferred crystal structure. Also, ITO sol-gel thin film showed good optical transmittance over 83% and electrical resistance less than $7\;{\times}\;10^3\;{\Omega}$.

  • PDF

Indium-tin oxide (ITO) 나노 입자 용액을 이용한 직접 ITO 나노 패턴 제작 기술 (Direct indium-tin oxide (ITO) nano-patterning using ITO nano particle solution)

  • 양기연;윤경민;이헌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247-247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indium-tin oxide (ITO) 나노 입자 용액을 이용하여 간단한 공정을 통해 ITO 나노 패턴을 직접적으로 제작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300nm급 ITO 나노 dot 패턴을 제작하는데 성공하였으며 이를 glass 표면에 구현하는데 성공하였다.

  • PDF

산소 플라즈마로 처리한 ITO(Indium-Tin-Oxide)에 대한 일함수 변화 (Changes in Work Function after O-Plasma Treatment on Indium-Tin-Oxide)

  • 김근영;오준석;최은하;조광섭;강승언;조재원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71-175
    • /
    • 2002
  • Indium-Tin-Oxide(ITO)에 대해 산소 플라즈마 처리를 한 후 일함수에 대한 변화를 $\gamma$-집속 이온빔을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ITO의 표면이 산소 플라즈마 처리를 보다 많이 경험할수록 표면저항이나 일함수는 높아졌다. Auger 전자 분광법을 이용해 표면의 화학적 분석을 해본 결과 산소는 증가한 반면 주석은 감소하였다. 표면 일함수와 표면 저항의 증가는 ITO 표면에서의 산소와 주석의 변화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전기화학 증착법을 이용한 그래핀 개질 Indium Tin Oxide 전극 제작 및 효소 전극에 응용 (Fabrication of Graphene-modified Indium Tin Oxide Electrode Using Electrochemical Deposition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Enzyme Electrode)

  • 왕설;시키;김창준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62-69
    • /
    • 2022
  • 그래핀은 부피에 비해 표면적이 넓고 뛰어난 기계적 물성과 전기전도성을 가지며 생체적합성이 우수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기화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indium tin oxide (ITO) 글래스 슬라이드 표면에 산화그래핀을 증착·환원시킨 전극을 제작하였고 그래핀으로 표면 개질된 ITO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산화그래핀의 증착과 환원에 순환전압전류법을 사용하였다. 주사전자현미경과 에너지 분산형 X-선 분광법을 사용하여 그래핀이 코팅된 ITO 표면을 관찰하였다. 순환전압전류법과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을 사용하여 제작된 전극들의 전기화학 특성을 평가하였다. 사이클 수와 주사 속도는 산화그래핀 증착과 환원도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으며 제작된 전극의 전기화학 특성도 달랐다. ITO 전극에 비하여 그래핀으로 표면 개질된 ITO는 전극 계면에서의 전하 전달 저항이 낮았고 더 많은 전류를 생산하였다. 그래핀으로 표면 개질된 ITO 표면에 고정화된 포도당 산화효소는 포도당을 산화시키며 성공적으로 전자들을 생성하였다.

Selective Laser Direct Patterning of Indium Tin Oxide on Transparent Oxide Semiconductor Thin Films

  • Lee, Haechang;Zhao, Zhenqian;Kwon, Sang Jik;Cho, Eou Sik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6-11
    • /
    • 2019
  • For a wider application of laser direct patterning, selective laser ablation of indium tin oxide (ITO) film on transparent oxide semiconductor (TOS) thin film was carried out using a diode-pumped Q-switched Nd:YVO4 laser at a wavelength of 1064 nm. In case of the laser ablation of ITO on indium gallium zinc oxide (IGZO) film, both of ITO and IGZO films were fully etched for all the conditions of the laser beams even though IGZO monolayer was not ablated at the same laser beam condition. On the contrary, in case of the laser ablation of ITO on zinc oxide (ZnO) film, it was possible to etch ITO selectively with a slight damage on ZnO layer. The selective laser ablation is expected to be due to the different coefficient of thermal expansion (CTE) between ITO and ZnO.

분무열분해법(Spray Pyrolysis)에 의한 주석산화물이 도핑된 $In_2O_3$(ITO: Indium Tin Oxide)의 분말 제조에 대한 연구 (The Studies on synthesis of $SnO_2$ doped $In_2O_3$ (ITO: Indium Tin Oxide) powder by spray pyrolysis)

  • 김상헌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94-702
    • /
    • 2014
  • 마이크론 크기를 가지는 ITO(indium tin oxide) 입자들은 인듐과 틴의 수용성 전구체들과 유기 첨가제를 분무 열분해하여 얻었다. 유기 첨가제로서는 에틸렌글리콜과 시트르산을 이용하였다. 분무 열분해 시 에틸렌글리콜과 시트르산과 같은 유기첨가제를 첨가하지 않고 얻어진 ITO 입자들은 구형이며 속이 꽉찬 형태를 가지는데 비해 유기 첨가제를 첨가하여 분무 열분해를 하면 얻어지는 ITO 입자들은 유기 첨가제의 양이 증가 할수록 껍질이 얇고 다공성이 증대된 중공 입자가 얻어진다. 유기첨가제를 첨가하지 않고 분무 열분해를 통해 얻어지는 마이크론 크기를 가지는 ITO는 $700^{\circ}C$에서 두 시간 동안의 후소성과 24 시간동안의 습식 볼밀링에 의해 나노 크기의 ITO로 전환되지 않으나, 유기첨가제를 첨가하고 분무 열분해를 통해 얻어지는 마이크론 크기를 가지는 ITO는 $700^{\circ}C$에서 두 시간 동안의 후소성과 24 시간 동안의 습식 볼밀링에 의해 나노 크기의 ITO로 쉽게 전환되었다. 응집된 나노 크기의 ITO의 일차 입자의 크기를 Debye-Scherrer 식에 의해 계산하였고 ITO 입자를 압축하여 만든 펠렛의 표면저항을 측정하였다.

Comparison of transparent conductive indium tin oxide, titanium-doped indium oxide, and fluorine-doped tin oxide films for dye-sensitized solar cell application

  • Kwak, Dong-Joo;Moon, Byung-Ho;Lee, Don-Kyu;Park, Cha-Soo;Sung, Youl-Moo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6권5호
    • /
    • pp.684-687
    • /
    • 2011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photovoltaic performance of transparent conductive indium tin oxide (ITO), titanium-doped indium oxide (ITiO), and fluorine-doped tin oxide (FTO) films. ITO and ITiO films are prepared by radio frequency magnetron sputtering on soda-lime glass substrate at $300^{\circ}C$, and the FTO film used is a commercial product. We measure the X-ray diffraction patterns, AFM micrographs, transmittance, sheet resistances after heat treatment, and transparent conductive characteristics of each film. The value of electrical resistivity and optical transmittance of the ITiO films was $4.15{\times}10^{-4}\;{\Omega}-cm$. The near-infrared ray transmittance of ITiO is the highest for wavelengths over 1,000 nm, which can increase dye sensitization compared to ITO and FTO. The photoconversion efficiency (${\eta}$) of the dye-sensitized solar cell (DSC) sample using ITiO was 5.64%, whereas it was 2.73% and 6.47% for DSC samples with ITO and FTO, respectively, both at 100 mW/$cm^2$ light intensity.

Indium Zinc Tin turnary Transparent Conducting Oxide에서의 dopant 첨가에 따른 전기적 특성 (Electrical properties of Indium Zinc Tin tummy Transparent Conducting Oxide which doped impurities)

  • 서한;박정호;최병현;지미정;김세기;주병권;홍성표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9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3-183
    • /
    • 2009
  • 본 연구에선 ITO에 사용되는 Indium의 양을 줄이기 위해 ITO와 유사한 성질을 보이는 조성인 Indium - Zinc - Tin Turnary compound를 연구하였다. 각 조성은 Indium - Zinc - Tin Turnary compound를 기본으로 하여 Zinc site에 이종원소인 Al2O3와 Ga2O3를 doping함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특성을 살며보았다. 분석에 사용한 Ceramic pellet은 일반적인 Ceramic process를 거쳐 제작되었다. 각 조성의 전기적 특성은 TCR meter와 Hall effect analys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X-ray diffraction measurements(XR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를 이용하여 결정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졸-겔 공정에 의해 제조된 ITO (Indium-Tin-Oxide) 박막의 표면처리 (Surface Treatment of ITO (Indium-Tin-Oxide) thin Films Prepared by Sol-Gel Process)

  • 정승용;윤영훈;연석주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313-318
    • /
    • 2007
  • ITO (Indium-tin oxide) thin films have been prepared by a sol-gel spinning coating method and fired and anneale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450-600^{\circ}C$. The XRD patterns of the films indicated the main peak of (222) plane and showed higher crystallinity with increasing an annealing temperature. The surface of the ITO thin films were treated with 0.1 N HCl 20% solution at room temperature. The effects of surface treatment on electrical properties and surface morphologies of the ITO films were investigated with the results of sheet resistance and FE-SEM, AFM images. The samples, subsequently treated with acidic solution for 40 sec showed the sheet resistance of $0.982\;k{\Omega}/square$. The surface treatment using acidic solution diminished the RMS (root mean square) value and the residual carbon content of the ITO films. It seemed that the acid-cleaning of the ITO thin films lead to the decrease of surface roughness and sheet resist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