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ex of geo-accumulation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5초

통계지표를 활용한 부산지역 조선소 주변 토양 내 중금속 오염조사 연구 (A Geo-statistical Assessment of Heavy Metal Pollution in the Soil Around a Ship Building Yard in Busan, Korea)

  • 최정식;전수경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907-915
    • /
    • 2018
  •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중금속의 사용이 증가할수록, 중금속으로 인한 환경오염과 생물학적 위해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통계 지수는 배경농도 값과의 비교를 통해 중금속 오염농도를 정규화 시킴으로써 토양 오염의 정도를 수치화하고, 단계 별로 오염 정도를 판단 할 수 있어 많이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농축인자(Enrichment factor, EF), 축적 계수(accumulation index), 잠재적 생물학적 위험 지표(potential ecological risk index)등을 이용하여 중공업 근처 토양 내 중금속 오염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중금속의 오염 정도는 정부 가이드라인에 비하여 낮은 수준이었으나, 특정 위치에서 아연, 구리, 납 등의 중금속 오염이 관찰 되었다. 농축인자, 축적계수, 생물학적 위험 지표를 통해 일부 토양 내 중금속 오염이 우려할 수준이며, 주변에 존재하는 인위적 오염원에 의한 오염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대상지의 추가 시료채취 및 추정되는 오염원의 시료 확보 후, 동위원소 분석 및 x-ray 기반 분석을 통해 오염원 추적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황해 동부해역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농도 분포 (Distribution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urface Sediments of the eastern Yellow Sea)

  • 선철인;박건우;박현실;박준건;김성길;최만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23권4호
    • /
    • pp.179-191
    • /
    • 2018
  • 황해 동부해역 표층퇴적물의 중금속 분포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입도, 유기탄소(TOC)와 함께 중금속 원소들(Cu, Pb, Zn, Cd, Cr, Mn, As, Ni, Co, Li, Fe, Al)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일부 정점에서 Pb, Mn, As를 제외하면 모든 중금속 농도의 분포는 입도 및 TOC의 분포와 유사하게 황해 중앙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고, 한국 연안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입도와 중금속 농도간의 관계를 통하여 대부분의 금속은 입도가 세립할수록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일반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일부 정점에서 Pb은 조립질 퇴적물에서의 암석기원(feldspar) 영향, Mn은 생물기원($CaCO_3$) 영향, As는 중광물(pyrite) 특성에 따라 분포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과거에 조사한 자료(2000년)와 비교했을 때, 황해 동부해역에서 지난 15년 동안의 추가적인 중금속 농축은 없었고, 투기해역에 대한 저질환경은 과거에 비해 크게 개선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해역 내 모든 중금속의 농도는 한국과 중국에서 규정하고 있는 최소기준(TEL, MSQ-1)보다 낮았지만, 농축지수(enrichment factor; EF), 농집지수(geo-accumulation index; $I_{geo}$), 생태위해성지수(ecological risk index; ERI)는 Cu, Pb, Zn, Cr이 황해 중앙해역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부산지역 도시하천 표층 퇴적물 오염도 평가에 관한 연구 (Contamination Assessment of Surface Sediments in Urban Rivers, Busan)

  • 곽진숙;손정원;김주인;송복주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296-305
    • /
    • 2021
  • This work investigated heavy metal pollution in surface sediments of rivers in Busan, Korea. Surface sediments were analyzed in order to conduct contamination assessment of organic matter, nutrients, and heavy metal concentrations. Contamination assessment of heavy metals was conducted using geoaccumulation index (Igeo), pollution load index (PLI), and potential ecological risk index (RI). Accumulation of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were affected by water discharged from sewage treatment plant. The concentrations of organic matter and nutrients were found to be greater in points which were close to the sewage treatment plant more than points furthest. The concentrations of Pb, Zn, Cu, Cd, Hg, As, Cr, and Ni were found to be greater in surface sediment more than in the background. The mean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were in the order of Zn (323.5 mg/kg) > Cu (70.5 mg/kg) > Pb (39.8 mg/kg) > Cr (33.4 mg/kg) > Ni (13.5 mg/kg) > As (9.4 mg/kg) > Cd (0.84 mg/kg) > Hg (0.092 mg/kg). The result of geoaccumulation indices indicated that Hg > Cr > Cu > Ni > Zn > As > Pb > Cd were found in order of severe contamination by heavy metals. From PLI and RI analysis, it was evident that the Suyeonggang 2 was the most contaminated river.

무한방향흐름기법을 이용한 산사태 위험도 평가 (Estimation of Landslide Risk based on Infinity Flow Direction)

  • 오세욱;이기하;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0권2호
    • /
    • pp.5-1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전체를 대상으로 공간분포형 습윤지수와 뿌리보강무한사면안정해석 이론을 활용한 광역적인 산사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해석을 수행하기 위해 수치지도와 정밀토양도, 임상도 등을 이용하여 지형 지질학적 매개변수를 추출하고 $10m{\times}10m$ 해상도의 공간분포형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으며, 공간분포형 습윤지수를 생성하기 위한 비 집수면적은 무한방향흐름기법을 적용하였다. 광역적인 산사태 위험도 평가를 위한 안전율은 4개 등급으로 구분하여 도시하였다. 위험도 평가결과, 산사태 위험지역은 봉화와 김천 등 실제 최근의 산사태 발생지역과 유사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산지와 인접한 지역에 unstable 지역이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산사태 기록과 비교해본 결과, 본 해석모형이 합리적인 매개변수의 축적을 통해 광역적인 산사태 위험성을 평가하는 유효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다.

The impact of municipal waste disposal of heavy metals on environmental pollution: A case study for Tonekabon, Iran

  • Azizpour, Aziz;Azarafza, Mohammad;Akgun, Haluk
    • Advances in environmental research
    • /
    • 제9권3호
    • /
    • pp.175-189
    • /
    • 2020
  • Municipal solid waste disposal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sks for environmental contamination which necessitates the development of strategies to reduce destructive consequences on the ecosystem as related especially to heavy metal accumulation. This study investigates heavy metal (i.e., As, Cd, Co, Cr, Cu, Mn, Ni, Pb, Zn) accumulation in the Tonekabon region, NW of Iran that is related to city waste disposal and evaluates the environmental impact in the Caspian Sea coastal region. For this purpose, after performing field studies and collecting 50 soil specimens from 5 sites of the study area, geochemical tests (i.e., inductively coupled plasma mass spectrometry, atomic absorption spectroscopy and x-ray fluorescence) were conducted on the soil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5 sites (named as Sites A1, A2, A3, A4 and A5) and the results were used to estimate the pollution indices (i.e., geo-accumulation index, normalized enrichment factor, contamination factor, and pollution load index). The obtained indices were utilized to assess the eco-toxicological risk level in the landfill site which indicated that the city has been severely contaminated by Cu, Mn, Ni, Pb and Zn. These levels have been developed along the stream towards the nearshore areas indicating uptake of soil degradation. The heavy metal contamination was classified to range from unpolluted to highly polluted, which indicated serious heavy metal pollution in the study area as related to municipal solid waste disposal in Tonekabon.

시화산업단지 강우유출수 내 중금속 오염도 평가 및 오염원 추적 연구 (Characteristics and Assessment of Metal Pollution and their Potential Source in Stormwater Runoff from Shihwa Industrial Complex, Korea)

  • 이지현;정혜령;최진영;나공태
    • 생태와환경
    • /
    • 제53권1호
    • /
    • pp.91-101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특별관리해역인 시화호 유역의 산업단지 하천에 강우 시 비점오염의 형태로 유입되는 중금속의 유출 특성 파악 및 오염원 파악을 하천 토구를 통해 배출되는 강우유출수 내 용존 및 입자성 중금속(Cr, Co, Ni, Cu, Zn, As, Cd, Pb)을 조사하였다. 용존성 Co와 Ni은 강우 초반에 고농도로 유출된 후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대부분의 원소는 조사시기별 강우량 및 유량 변화에 따라 각각 다른 특징을 보였다. 입자성 중금속의 경우, 시간에 따른 부유물질의 농도 변화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강우유출수 내 존재하는 중금속 중 Co, Ni, Zn는 용존 상태로 유출되는 비율이 높았고, Cr, Cu, Pb은 입자상 유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입자 상태로 유출되는 중금속의 인위적 오염도를 평가하기 위해 농집지수를 계산한 결과, Cu, Zn, Cd은 very highly polluted에 해당하는 심각한 오염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지역인 3간선수로 유역 인근의 도로먼지 중 125 ㎛ 이하에서의 중금속 농도와 비교한 결과, 강우유출수 내 Cu, Zn, Cd의 중금속이 금속제조관련 시설에서 절삭 혹은 가공 중에 발생하여 산업시설 표면에 축적되어 있는 금속물질이 강우유출수와 함께 수환경으로 유출된 것을 알 수 있었다. 강우유출수 내 총중금속 평균 유출부하량은 1회 강우 시 Cr 128 g, Co 12.35 g, Ni 98.5 g, Cu 607.5 g, Zn 8,429.5 g, As 6.95 g, Cd 3.7 g, Pb 251.75 g으로 금속제조와 관련된 산업시설이 주로 존재하는 유역의 특성을 잘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시화호 코어 퇴적물 내 미량금속 분포 특성 및 오염 평가 (Distribution and Pollution Assessment of Trace Metals in Core Sediments from the Artificial Lake Shihwa, Korea)

  • 나공태;김은수;김종근;김경태;이정무;김의열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2호
    • /
    • pp.69-83
    • /
    • 2013
  • 시화호 내측 퇴적물 내 미량속의 오염원을 규명, 퇴적물 내 미량금속의 분포 특성 및 오염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화호 유역의 하천수, 반월산업단지 토구 유출수 및 코어 퇴적물 내 미량금속을 분석하였다. 하천수 및 반월산업단지 토구 유출수 내 용존성 미량금속의 평균농도는 시화호 내측 표층수에 비해 6.6~136배 높았으며, 산업단지 유역의 하천이 도심 또는 농업 유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를 보이고 있어 시화호 내측 미량금속의 주요한 오염원은 시화호 유역에 산재하는 하천과 반월산업단지 토구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미량금속의 수직분포는 저층에서 표층으로 갈수록 농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반월산업단지 인근 지역에서 미량금속의 농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농집지수(geo-accumulation index)를 이용한 퇴적물 내 미량금속의 오염도 평가는 산업단지 인근이 다른 조사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염되었으며 특히 Cu, Zn 및 Cd의 오염도가 매우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해저퇴적물의 주의기준(TEL)과 관리기준(PEL)과의 비교를 통하여 퇴적물 내 미량금속 농도가 해양생물에 미치는 영향 및 독성을 파악한 결과, 반월산업단지 인근 지역에서 Cu, Zn, Cd 및 Pb이 PEL을 초과하였으며 Cr과 Ni 역시 외국의 PEL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mPELQ를 이용하여 퇴적물 기준이 존재하는 미량 금속의 종합적인 독성 영향을 평가하였다. mPELQ의 평균은 0.2~2.3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산업단지 인근인 C2와 C3 코어 퇴적물에서의 미량금속 농도가 저서생태계에 대한 독성영향이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테일러스 사면의 습윤지수 산정 및 낙석방호시설 설치 기준 제안 (Wetness Index Estimate and Suggestion of the Criteria of the Rockfall Protective Barrier in Talus slope)

  • 김승현;구호본;백용;김성욱;김인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발표회
    • /
    • pp.592-599
    • /
    • 2004
  • Talus topography is that weathered rock clasts were accumulated dropping in steep slope to action of gravity. Rock fall talus is formed by the accumulation of rock debris falling as individual particles from a cliff. If the collapse is produced in talus slope. it will be possible the loss of manpower and country. Despite correct access about talus is required, domestic research was scientific access about talus short because of short resolution of aerophoto and difficulties of research about huge talus. In this Study, Our research team analgize the wetness index using the geomorphogical data. Lineament through wetness index is simillar with distribution of the talus. An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review and compare fabric data derived from rock fall talus about orientation, distribution and morphology. These deposits tend to have approximately equal amounts of clasts oriented parallel and perpendicular to the dip direction of the slope. And, platy- shaped clasts dominate the proximal and intermediate parts of the talus, wheres blocky-shaped clasts is more common in the distal part. we carry out Rock Fall Simulation. And, We install criteria of the rockfall protective barrier using talus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 PDF

The Effect of Aircraft Traffic Emissions on the Soil Surface Contamination Analysis around the International Airport in Delhi, India

  • Ray, Sharmila;Khillare, P.S.;Kim, Ki-Hyu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6권2호
    • /
    • pp.118-126
    • /
    • 2012
  •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ircraft traffic emissions on soil pollution, metal levels were analyzed for 8 metals (Fe, Cr, Pb, Zn, Cu, Ni, Mn and Cd) from the vicinity of the Indira Gandhi International (IGI) airport in Delhi, India. The texture of the airport soil was observed to be sandy. Among the metals, Cd showed minimum concentration ($2.07{\mu}g\;g^{-1}$), while Fe showed maximum concentration ($4379{\mu}g\;g^{-1}$). The highest metal accumulation was observed at the landing sit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metals and different textures (sand, silt, and clay) as well as with organic carbon (OC). The results indicate that grain size play a major role in OC retention in soil and subsequently helps in adsorption of metals in soil. M$\ddot{u}$ller's geoaccumulation index (I-geo) showed that airport soil was contaminated due to Cd and Pb with the pollution class 2 and 1, respectively. Pollution load index of the airport site was 1.34-3 times higher than the background site.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suggested that source of the soil metal is mainly from natural weathering of soil, aircraft exhaust, and automobile exhaust from near by area. With respect to Dutch target values, the airport soils showed ~3 times higher Cd concentration. The study highlighted the future risk of enhanced metal pollution with respect to Cd and Pb due to aircraft trafficking.

Assessment of heavy metals in sediments of Shitalakhya River, Bangladesh

  • Al-Razee, A.N.M.;Abser, Md. Nurul;Mottalib, Md. Abdul;Rahman, Md. Sayadur;Cho, Namjun
    • 분석과학
    • /
    • 제32권5호
    • /
    • pp.210-216
    • /
    • 2019
  • Concentrations of Cu, Zn, Fe, Mn, Ni and Cr have been estimated in sediments of the Shitalakhya River at Polash-Ghorashal area, Narsingdi, Bangladesh. 36 samples of sediments from nine sampling point at different locations of Shitalakhya River were collected to determine the concentration of Cu, Zn, Fe, Mn, Ni, Cr and the samples were analyzed by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AAS). The obtain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guidelines. The levels of heavy metal concentrations in sediments were found to decrease in the order of Fe > Mn > Zn > Ni > Cu > Cr, respectively.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sediment of Shitalakhya was below the recommended safe limits of heavy metals by WHO, FAO and other international standards. Contamination factor (CF) of Zn and Cu at sampling point Fsd2 show higher (> 1) values due to the influence of external discrete sources like wastage catalysts of ZnO and CuO. Geo-accumulation index values of the study indicate as non-contaminated to moderately contamin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