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bred line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4초

Characterization and Utilization of the Clubroot Resistant Genes in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 Hatakeyama, Katsunori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및 임시총회
    • /
    • pp.33-33
    • /
    • 2015
  • Clubroot disease is the major threat to the production of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in Japan. Although the breeding of the clubtoot resistant (CR) cultivars is one of the most efficient ways to control this disease, the CR cultivars do not always have effects due to the breakdown of resista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breeding strategy to accumulate multiple CR genes in a single cultivar effectively. We have identified two incomplete dominant CR loci, Crr1 and Crr2, which are originated from the European CR turnip Siloga.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marker-assisted selection (MAS) for CR breeding, the inbred line with Crr1 and Crr2 was crossed with parental lines of the existing CR $F_1$ cultivar of Chinese cabbage, followed by 5 times of MAS and backcrossing. The $F_1$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the resulting parental lines improved the clubroot resistance as expected and had the same morphological characters as the original $F_1$ cultivar. We have shown that the Crr1 locus comprised two loci: Crr1a, which by itself conferred resistance to the mild isolate; and Crr1b, which had a minor effect, but was not required for Crr1a-mediated resistance. Further genetic analysis suggested that Crr1b was necessary to acquire resistance to the more virulent isolate in combination with Crr2.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Crr1a encoding TIR-NB-LRR class of R protein revealed that there were at least 4 alleles in Japanese CR cultivars of Chinese cabbage. PCR analysis with Crr1a-specific markers demonstrated that the functional alleles were predicted to be present in European CR turnips, Debra and 77b besides Siloga, whereas rarely in Japanese CR cultivars, indicating that Crr1a is an useful source to improve the resistance of Chinese cabbage cultivars.

  • PDF

옥수수 5-methyltryptophan 저항성 돌연변이주(MR1)의 Anthranilate Synthetase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hranilate Synthetase from a 5-methyltryptophan Resistant Mutant(MR1) in Maize)

  • 강권규;노일섭;이효연;신동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52-58
    • /
    • 1995
  • 옥수수의 5-methyltryptophan 저 항성 돌연변이 주(MR1)로부터 anthranilate synthetase(AS)와 tryptophan synthetase(75)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대조구 식물로써 사용한 옥수수 품종 당진의 순계와 저항성주에 있어서 AS와 75의 효소 활성은 5-MT를 포함하지 않은 MS기본배지에서 생장시켰을 때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25mg/L의 5-MT를 포함한 MS배지에서 생장한 MR1에 있어서 AS의 활성은 대조구보다 2배 높았다. 또한, 4mg/L의 L-tryptophan을 처리 했을때의 AS의 활성은 50% 저해 되었다. MR1의 조추출물로부터 대조구와 동일한 활성저해율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약 4배의 아미노산이 필요하였다. MR1의 75활성은 대조 식물보다 4배가 더 높았다. 그리 하여 tryptophan synthetase B subunit (TSB)를 encoding하는 유전자를 cloning하여 염기배열을 결정 하였다. TSB유전자는 상이한 기관으로부터 cloning된 TSB와 높은 상동성을 보였으며, 모든 발육단계에서 발현하였다. 띠orthern hybridization분석에서 MR1의 TSB발현량은 대조식물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옥수수에 있어서 Peroxidase 8의 변이 (Variation of Peroxidase 8 in Maize, Zea mays, L.)

  • 최봉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74-378
    • /
    • 1983
  • 옥수수에 있어서 다형현상에 관한 연구의 일환으로 Peroxidase 8에 대하여 수평전기 영동법에 의한 변이를 본 결과 중심주의 Peroxidase 8은 옥수수의 계통이나 품종에 따라 Fast, Slow, Fast/slow 밴드를 보여 주어 Peroxidase 8은 단일유전인자에 의하여 좌우된다고 생각되며 특히 본 연구에서 동일한 자식계통에 있어서도 상이한 밴드의 패턴을 보여주었는데 이는 사용한 계통이 동질접합체가 되지 못하였거나 혼종된 것이 아닌가 생각되어진다. 그러나 대가 자식계통의 옥수수는 Fast나 Slow의 단일 밴드패턴을 보여주었는데 반하여 단교잡 내지는 합성품종은 여러 가지 형태의 패턴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Peroxidase 8은 대개 초엽(중심주)이나 목화되지 않은 조직에서 흔히 관찰되나 Peroxidase 3와도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특히 옥수수 줄기의 절에서 관찰되는 Peroxidase 3과 8의 패턴으로 보아 이 두 효소는 서로 상반되는 작용을 한다고 생각한다.

  • PDF

Introgression of Sex-Limited Larval Markings to a Productive Multivoltine Strain of Silkworm Bombyx mori L.

  • Rao, D. Raghavendra;Singh Ravindra;Basavaraja H.K.;Kariappa B.K.;Dandin S.B.;Rufaie S.Z. Haqu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3권1호
    • /
    • pp.7-14
    • /
    • 2006
  • A breeding programme was initiated during 2001 to introduce sex-limited larval markings to a productive multivoltine breed - BL67 from an inbred sex-limited line, MY1 (SL) maintained at Central Sericultural Research and Training Institute, Mysore. Introgressive hybridization, recurrent backcrossing for six generations followed by sib-mating resulted in synthesis of a new multivoltine silkworm breed BL67 (SL) with sex-limited larval markings. The new breed was studied for combining ability by crossing with eight bivoltine breeds viz., $NB_4D_2,\;CSR_2,\;CSR_2 (SL),\;CSR_2,\;CSR_4,\;CSR_8,\;CSR_{18}\;and\;CSR_{19}$. General combining ability effects of the new breed showed its superiority over the popular Pure Mysore by expressing significant GCA effects for six out of twelve characters whereas the results are on par with the original multivoltine breed. The hybrid $BL67(SL){\times}CSR2(SL)$ excelled in several quantitative characters such as pupation rate (90.2%), cocoon weight (1.97 g), cocoon shell weight (40 cg), cocoon shell ratio (20.3%), filament length (918 m), denier (2.96), raw silk percentage (14.96%) and neatness (90 p). Studies on cocoon size variability revealed that the cocoons of $BL67(SL){\times}CSR2(SL)$ were found comparatively uniform showing less standard deviation of 6.55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3.91 %. The suitability of newly developed breed for easy grain age operation and commercial exploitation with promising hybrid have been discussed.

한국잔디 신품종 '밀록' 개발 (Development of New Cultivar 'Millock' in Zoysiagrass)

  • 최준수;양근모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0
    • /
    • 2006
  • 본 실험은 한국잔디 신품종 '밀록'(특허출원: 10-2005-0110051)의 개발에 관한 것으로, 국내외에서 수집한 한국잔디류중 우수계통 MJ8를 선발 한 후, 인공자식을 통하여 변이를 확대하였으며, 이들 중에서 품질이 우수한 계통(MJ8S-9)을 선발한 것이다. 신품종 '밀록'은 밀도가 기존의 한국잔디류와 비교해 가장 높았고, 또한 녹색도가 높아 우수한 잔디 품질을 보이며, 녹병에 대한 저항성이 높았다. 형태적 특성으로 엽폭은 4.2rnm로 중엽형이며, 잎 각도는 52.5도로 넓어 광합성 효율이 높다. 지면으로부터 최하위 엽의 잎몸 기부까지의 길이가 1.9cm로 짧아 낮게 깎을 수 있는 특성을 갖고 있다. 또한 '밀록'은 지상 포복경의 색이 황록색이며, RAPD 분석에서 특이밴드를 갖고 있어 다른 잔디류와 식별성이 높은 영양 번식형 신품종이다.

Identification of QTLs controlling somatic embryogenesis using RI population of cultivar ${\times}$ weedy soybean

  • Choi, Pilson;Mano, Yoshiro;Ishikawa, Atsuko;Odashima, Masashi;Umezawa, Taishi;Fujimura, Tatsuhito;Takahata, Yoshihito;Komatsuda, Takao
    • Plant Biotechnology Reports
    • /
    • 제4권1호
    • /
    • pp.23-27
    • /
    • 2010
  • Quantitative trait loci (QTLs) controlling ability of somatic embryogenesis were identified in soybean. A frame map with 204-point markers was developed using an RI population consisting of 117 $F_{11}$ line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cultivar 'Keburi' and a weedy soybean 'Masshokutou Kou 502'. The parents differed greatly in their abilities of somatic embryogenesis using immature cotyledons as explants. The ability of somatic embryogenesis was evaluated in five different experiments: the $F_{11}$ (evaluated in 1998) and $F_{15}$ (2002) generations cultured on basal media supplemented with $40\;mg\;l^{-1}$ 2,4-D (2,4-D1998 and 2,4-D2002), $F_{14}$ (2001) generation on medium with $40\;mg\;l^{-1}$ 2,4-D and high sucrose concentration [2,4-D2001 ($30\;g\;l^{-1}$ sucrose)], and the $F_{11}$ (1998) and $F_{12}$ (1999) generations on medium with $10\;mg\;l^{-1}$ NAA (NAA1998 and NAA1999). The RILs showed wide and continuous variations in each of the five experiments. In the composite interval mapping analysis, 2 QTLs were found in group 8 (D1b + W, LOD = 5.42, $r^2$ = 37.5) in the experiment of 2,4-D1998 and in group 6 (C2, LOD = 6.03, $r^2$ = 26.0) in the experiment of 2,4-D2001 (high concentration sucrose). In both QTLs, alleles of 'Masshokutou Kou 502' with high ability of somatic embryogenesis contributed to the QTLs. For the other three experiments, no QTL was detected in the criteria of LOD >3.0, suggesting the presence of minor genes.

옥수수 이면교잡에 의한 등숙기간의 유전 분석 (Inheritance of Grain Filling Duration in Corn)

  • 차선우;박상일;정승근;박승의;김석동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626-631
    • /
    • 1997
  • 옥수수의 숙기가 서로다른 8개의 자식계통과 이들간의 이면교배에 의하여 생산된 28개 $F_1$을 공시하여 등숙기간의 유전분석을 실시하였던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초기등숙기간에서는 상가적 효과가 큰 부분우성으로 추정되었으며 유효등숙기간은 비대립 유전자의 상호작용이 없는 초우성으로 추정되었다. 2. 총등숙기간과 흑색층 출현일수는 상가적 효과가 비상가적 효과보다 큰 부분우성으로 추정되었다. 3. 유전자 분포상태는 유효등숙기간과 총등숙기간에서 양친들 중 FR25는 열성유전자의 관여도가 크게 나타났으며 YUBC208은 열성유전자로서의 관여도가 크게 작용하였다. 4. 유효등숙기간과 총등숙기간에 관여하는 유효 유전자수는 최소한 5개 정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콩에서 Microsatellite 마커를 이용한 양적형질 유전자의 분석 (Quantitative Trait Loci for Stem Length in Soybean Using a Microsatellite Markers)

  • Kim, Hyeun-Kyeung;Kang, Sung-Taeg;Kong, Hyeun-Jong;Park, In-Soo
    • 생명과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39-344
    • /
    • 2004
  • 콩에서 경장과 연관된 DNA 표지인자를 개발하여 품종육성에 활용함으로서 육종효율 증진에 기여하고자 수행하였다. 본 시험은 육성된 큰올콩과 신팔달콩의 RIL 계통 및 SSR marker를 이용하여 유전자지도를 작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경장과 관련된 양적형질 유전자좌(QTt)를 탐색하였다. 시험재료로 이용된 큰올콩과 신팔달콩은 경장이 각각 30.57 cm와 49.75 cm로 매우 큰 차이를 보였다. 경장과 연관된 QTL은 개별마커들과의 분산분석 결과, 연관군 F, J, N 및 O에서 전체변이의 37.83%를 설명할 수 있는 4개의 QTL을 탐색하였다. 특히, 연관군 J와 O에서 각각 14.25%와 10.68%를 설명할 수 있는 주요 QTL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경장 관련 QTL중 연관군 J와 O에서 확인된 주요 QTL은 품종 육성과정에서 경장 관련 선발 마커로서 활용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Genetic Mapping of a Resistance Locus to Phytophthora sojae in the Korean Soybean Cultivar Daewon

  • Jang, Ik-Hyun;Kang, In Jeong;Kim, Ji-Min;Kang, Sung-Taeg;Jang, Young Eun;Lee, Sungwo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6권6호
    • /
    • pp.591-599
    • /
    • 2020
  • Phytophthora root and stem rot reduce soybean yields worldwide. The use of R-gene type resistance is currently crucial for protecting soybean production. The present study aimed to identify the genomic location of a gene conferring resistance to Phytophthora sojae isolate 2457 in the recombinant inbred line population developed by a cross of Daepung × Daewon. Singlemarker analysis identified 20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associated with resistance to the P. sojae isolate 2457, which explained ~67% of phenotypic variance. Daewon contributed a resistance allele for the locus. This region is a well-known location for Rps1 and Rps7. The present study is the first, however, to identify an Rps gene locus from a major soybean variety cultivated in South Korea. Linkage analysis also identified a 573 kb region on chromosome 3 with high significance (logarithm of odds = 13.7). This genomic region was not further narrowed down due to lack of recombinants within the interval. Based on the latest soybean genome, ten leucine-rich repeat coding genes and four serine/ threonine protein kinase-coding genes are annotated in this region, which all are well-known types of genes for conferring disease resistance in crops. These genes would be candidates for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the resistance in further studies. The identified R-gene locus would be useful in developing P. sojae resistant varieties in the future.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provide foundational knowledge for researchers who are interested in soybean-P. sojae interaction.

Apoptosis 관련 Bcl-2유전자의 도입을 통한 곰팡이 저항성 형질전환 상추의 육성 (Fungal pathogen protection in transgenic lettuce by expression of a apoptosis related Bcl-2 gene)

  • 서경순;민병환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8권3호
    • /
    • pp.209-214
    • /
    • 2011
  • 본 실험에서는 상추 연산홍에 apoptosis 관련 유전자인 Bcl-2 유전자를 도입하여 내병성 상추의 육성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형질전환을 수행하였다. 상추의 자엽조직을 NPTII-35S Promoter와 Bcl-2 유전자가 삽입된 Agrobacterium GV 3101과 공동배양 한 후 0.1 mg/L NAA, 0.5 mg/L BAP, 100 mg/L Kanamycin, 300 mg/L Lilacillin이 첨가된 MS 배지에서 식물체가 유기되었다. Kanamycin 내성을 가진 식물체들을 PCR, Southern blot 분석을 통해 Bcl-2 유전자가 안정적으로 식물체 genome 안에 삽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00개의 형질전환식물체가 확인되었으며 T1식물체를 채종하였다. T1 종자를 파종하여 Sclerotinia sclerotiorum. 균주를 접종하여 내병성 검정을 실시하였고 그 중 2개의 line에서 내병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인간의 apoptosis에 관련하는 유전자가 식물체 내에서 안정된 발현을 통하여 내병성을 증가시켰음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