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2O3

검색결과 30,744건 처리시간 0.074초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의 가정환경에 대한 연구 (FAMILY ENVIRONMENT OF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소준현;신윤오;조수철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44-51
    • /
    • 1996
  • 저자들은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의 가정환경을 알아보기 위하여, 동반된 정신과적 질환이 없는 pure ADHD군, 동반된 정신과적 질환이 있는 comorbid ADHD군 및 대조군에 한국형 가정환경 척도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군의 어머니가 시행한 가정환경척도 부분별 소척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표현력 소척도, 성취지향성 소척도 및 조직화 소척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사후검증결과 표현력 소척도, 도덕적-종교적 강조 소척도 및 조직화 소척도에서 pure ADHD군 및 comorbid ADHD군이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아버지가 시행한 가정환경척도에서는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군과 대조군사이에 조직화 소척도만이 가정환경척도의 부분별 소척도에서 유의하게 낮았고, 사후검증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comorbid ADHD군이 조직화 소척도가 낮았다. 3) pure ADHD군과 comorbid ADHD군 사이에는 가정환경의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아의 부모 모두가 그들의 가정에서 조직화의 정도가 떨어진다고 인식하나 ADHD환아의 어머니는 아버지보다 가정환경중 표현력, 성취지향성, 도덕적-종교적 강조의 측면이 떨어진다고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향후 이러한 주의력결핍 ${\cdot}$ 과잉운동장애아의 가족내의 특성이 원인으로 작용하는지, 아니면 환아의 주의력 결핍과 과잉운동에 대한 결과로 이러한 가정환경이 나타나는 것인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답토양유형중(畓土壤類型中) 보통답(普通畓)의 특성연구(特性硏究) (Study on Some Characteristics of the Well Adapted Paddy Soils in Korea)

  • 문준;엄기태;이경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6
    • /
    • 1987
  • 답토양(畓土壤) 6개유형중(個類型中) 가장 넓은 분포면적(分布面積)을 가진 보통답(普通畓)의 특성(特性)과 토지이용(土地利用) 및 토양생성(土壤生成)에 대(對)하여 조사연구(調査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보통답(普通畓)의 분포면적(分布面積)은 전체답면적(全體畓面積)의 33%에 해당(該當)되며 그중(中) 곡간(谷間) 및 선상지(扇狀地)에 54% 그 외(外)는 하해혼성평탄지(河海混成平坦地)와 하성평단지(河成平坦地)에 분포(分布)한다. 2. 보통답(普通畓)의 토양배수(土壤排水)는 대부분(大部分) 약간(若干) 불량(不良)으로 글라이화(化)된 식질(埴質) 및 식양질계(埴壤質系)로 물리성(物理性)이 양호(良好)한 편이고 토심(土深) 및 지하수위(地下水位)가 깊우며 토양(土壤)의 잠재생산능력은 높은 편이다. 3. 전체보통답(全體普通畓)의 이화학적특성(理化學的特性)을 보면 점토함량(粘土含量)은 표토(表土)와 심토(心土)가 많은 편(便)이며 토양반응(土壤反應)은 약(弱)한 산성(酸性)이었다. 유기물함량(有機物含量)은 표토(表土)는 있는 편(便)이나 심토(心土)는 적었다. 염기치환용량(鹽基置換容量)은 높고 치환성염기(置換性鹽基)는 표토(表土) 6.62, 심토(心土) 7.74 me/100 g 정도(程度)였다. 염기포화도(鹽基飽和度)는 높았으며 유효인산(有效燐酸)은 우리나라 답토양평균치(畓土壤平均値)인 60 ppm 보다는 다소(多少) 하회(下廻)하였다. 4. 생성원인(生成原因)은 제사기신층(第四期新層)에 속(屬)하지만 현세충적층인 것으로 보여지며 미농무성(美農務省)의 구분류체계(舊分類體系)에 의(依)하면 대부분(大部分) Low humic gley soils에 해당(該當)되고 F. A. O분류안(分類案)에 의(依)하면 Gleysols에 속(屬)하며 일본(日本)의 시비개선사업(施肥改善事業)에서는 토양군(土壤群)은 회색토양(灰色土壤), 토양아군(土壤亞群)은 회갈색토양(灰褐色土壤)이다. US soil taxonomy(Subgroup)에 의(依)하면 Typic 및 Fluventic Haplaquepts에 속(屬)한다.

  • PDF

제주도(濟州道)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조림지(造林地)의 영양환경(營養環境)에 관(關)한 연구(硏究) III. 토양(土壤)의 K 공급력(供給力)과 지위(地位) (Nutrient Environments of Japanese Cedar(Cryptomeria japonica) Forests in Cheju Island III. Potassium Supplying Capacity in Soils of Different Site Quality)

  • 진현오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30-235
    • /
    • 1993
  • 제주도(濟州道)에 분포(分布)하고 있는 18~30년생(年生) 삼나무 임분(林分)(11개소(個所))의 표층토(表層土)를 이용(利用)하여 각형웅별(各形熊別)(수용성(水溶性), 치환성(置換性), 비치환태(非置換態)) K의 공급력(供給力)과 임지생산력(林地生産力)과의 상호관계(相互關係)를 구명(究明)하기 위(爲)해 수행(遂行)한 연구결과(硏究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0.01N-HCl 연속추출법(連續抽出法)에 의(依)한 지위별(地位別) 유효태(有效態) K적산량(積算量)은 지위(地位) 상(上), 지위(地位) 하(下)의 토양(土壤)에서 각각 0.6, 0.4me/100g 전후(前後)의 값을 나타냈다. 2. 0.01N-HCl 유하량(流下量) $6{\ell}$까지의 유효태(有效態) K 적산량(積算量)에 대(對)한 $1{\ell}$째의 K 추출량(抽出量)의 비율(比率)은 지위(地位) 상(上), 하(下) 모두 80%이상 추출(抽出)되어 화산회(火山灰) 토양(土壤)이 가지는 약(弱)한 K 흡착력(吸着力)의 특징(特徵)을 보였다. 3. 공시토양(供試土壤)의 대부분(大部分)이 지위(地位)에 관계(關係)없이 치환성(置換性) K과 수용성(水溶性) K에서는 같은 값을 보였으며, 치환성(置換性) K과 유효태(有效態) K 간(間)에는 지위(地位) 하(下)의 토양(土壤)에서는 같은 값을 보이고 있지만, 지위(地位) 상(上)의 토양(土壤)에서는 유효태(有效態) K가 치환성(置換性) K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어 토양(土壤)의 K 공급력(供給力)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4. 유효태(有效態) K과 치환성(置換性) Ca($0.83^{**}$) 및 치환성(置換性) Mg($0.84^{**}$) 간(間)에 모두 1% 수준(水準)의 높은 정(正)의 상관관계(相關關係)가 인정(認定)되었다.

  • PDF

감압잔사유 수첨분해반응의 생성물 분석방법 비교 (Comparison of Analytical Methods of Products in Hydrocracking of Vacuum Residue)

  • 권혁민;김한나;웬후이친;김도경;김도완;오승훈;신은우
    • 청정기술
    • /
    • 제17권1호
    • /
    • pp.56-61
    • /
    • 2011
  • 감압잔사유를 고압 회분식 반응기에 넣고, 상용 Ni-Mo/$Al_2O_3$ 촉매를 이용하여 $450^{\circ}C$, $500^{\circ}C$에서 수첨분해하였다. 그리고 반응 생성물을 단증류 혹은 GC-SIMDIS 방법으로 각각 분석하였다. 먼저 수첨분해반응에서는 두 온도 조건 모두 촉매 반응뿐만 아니라 열분해 반응도 같이 일어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온도가 증가할수록 전환율이 증가하고, 생성물 중 가솔린 및 납사 비율이 높아졌다. 생성물 분석 결과, $500^{\circ}C$ 반응에서는 단증류와 GC-SIMDIS 분석 결과의 차이가 없었지만, $450^{\circ}C$ 반응에서는 단증류에서는 디젤이, GC-SIMDIS에서는 vacuum gas oil이 주 생성물로 드러났다. 이는 $450^{\circ}C$ 반응에서의 단증류 분석은 단증류에 의한 열분해 반응으로 인해 생성물의 선택도가 정확하지 않음을 알려준다.

Azotobacter vinelandii에서의 생물학적 질소고정 작용 메카니즘 (Mechanism of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in Azotobacter vinelandii)

  • 김용웅;한재홍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8권3호
    • /
    • pp.189-200
    • /
    • 2005
  • 생물학적 질소고정과정의 연구는 학문적으로나 산업적으로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본 총설에서는 공업적 질소고정과 비교되는 생물학적 질소고정의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고, Azotobacter vinelandii에서 연구되고 있는 생물학적 질소고정효소의 특징을 다룬다. 생물학적 질소고정과정은 다양한 생명체에서 일어나며, 최근에는 미생물인 A. vinelandii에 그 작용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가 집중되어 있다. 공기중의 질소를 암모니아로 변환시키는 질소고정은 화학적으로 환원 반응에 해당하므로 전자의 공급이 필요하다. 생물학적 질소고정을 담당하는 질소고정효소는 촉매반응을 위해 생물학적인 환원력을 사용하여 전자를 공급받아, Fe 단백질의 $Fe_4S_4$ cluster와 MoFe 단백질의 P-cluster를 거쳐 질소 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FeMo-cofactor로 전달한다. 이러한 전자전달의 과정과 수소이온의 전달 과정은 질소고정효소의 반응 메커니즘 이해에 매우 중요한 과정이며, FeMo-cofactor와 질소분자의 상호작용은 생물학적 질소고정 메커니즘의 중심에 있다. 질소고정 작용 메커니즘의 연구에는 X-선 단백질 결정학, EPR과 $M{\ddot{u}}ssbauer$ 등의 다양한 분광학적 방법과, 효소의 기질과 저해제의 상호작용을 연구하고 mutant와 비교하는 생화학적 접근방법, 그리고 FeMo-cofactor의 모델 화합물을 합성하여 연구하는 화학적 방법 등이 적용되었다. 이들 분야의 최근 연구결과를 소개하며, 마지막으로, 다양한 연구 결과에 바탕하여 새로운 질소고정효소의 작용 기작이 제안하였다.

Effect of ECQ on Iodoacetamide-Induced Chronic Gastritis in Rats

  • Lee, Se Eun;Song, Hyun Ju;Park, Sun Young;Nam, Yoonjin;Min, Chang Ho;Lee, Do Yeon;Jeong, Jun Yeong;Ha, Hyun Su;Kim, Hyun-Jung;Whang, Wan Kyun;Jeong, Ji Hoon;Kim, In Kyeom;Kim, Hak Rim;Min, Young Sil;Sohn, Uy Do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7권5호
    • /
    • pp.469-477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 of extract containing quercetin-3-O-${\beta}$-D-glucuronopyranoside from Rumex Aquaticus Herba (ECQ) against chronic gastritis in rats. To produce chronic gastritis, the animals received a daily intra-gastric administration of 0.1 ml of 0.15% iodoacetamide (IA) solution for 7 days. Daily exposure of the gastric mucosa to IA induced both gastric lesions and significant reductions of body weight and food and water intake. These reductions recovered with treatment with ECQ for 7 days. ECQ significantly inhibited the elevation of the malondialdehyde levels and myeloperoxidase activity, which were used as indices of lipid peroxidation and neutrophil infiltration. ECQ recovered the level of glutathione,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SOD), and expression of SOD-2. The increased levels of total NO concentration and iNOS expression in the IA-induced chronic gastritis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treatment with ECQ.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ECQ has a therapeutic effect on chronic gastritis in rats by inhibitory actions on neutrophil infiltration, lipid peroxidation and various step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generation.

열 피로에 미치는 알루미늄 양극산화 제조방법의 융합연구 (Convergent Study of Aluminum Anodizing Method on the Thermal Fatigue)

  • 강수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5호
    • /
    • pp.169-173
    • /
    • 2016
  • 알루미늄의 양극산화는 황산법, 수산법과 황산과 수산을 활용한 혼산법 등이 있다. 산업체에서 만들어지는 양극산화는 황산법으로 전해액속의 황산농도가 15~20 wt %이다. 연질 양극산화피막을 생성할 경우는 전해액의 온도가 $20{\sim}30^{\circ}C$ 범위에서 생산되고 있으며, 생산 전압은 직류전압으로 13~15 V 이내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경질 양극산화피막을 생성할 경우는 전해액의 온도가 $0{\sim}-5^{\circ}C$에서 생산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황산법과 수산법을 이용하여 $50{\mu}m$ 두께의 양극산화피막(알루미나)를 제작하였다. 황산법과 수산법에 의해 시편을 제조하여 열 피로시험을 수행하였다. 황산법과 수산법의 균열발생온도는 $500^{\circ}C$$600^{\circ}C$이었다. 황산법의 균열발생온도는 수산법의 균열발생온도보다 낮았다. 시험결과 수산법의 열 피로는 황산법의 열 피로 특성보다 좋았다. 그 이유를 알루미늄과 알루미나의 열팽창계수와 제조온도로 설명하였다. 고온에서 사용되는 양극산화제품의 제조방법을 여기서의 융합 연구를 통해 제안 가능하게 되었다.

TNBS로 유발된 마우스 대장염모델에서 설파살라진, 육계와 시호 복합 추출물의 항염증 및 세포 자멸 개선효과 (Anti-inflammatory and apoptosis improving effects of sulfasalazine and Cinnamomi cortex and Bupleuri radix mixture in TNBS-induced colitis mouse model)

  • 김경조;신미래;김수현;김수지;이아름;권오준;길기정;노성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227-234
    • /
    • 2017
  • 염증성 장 질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설파살라진은 고용량 및 장기 섭취 후 다양한 부작용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TNBS로 유발된 마우스 대장염 모델에서 설파살라진, 육계와 시호 복합 추출물의 항염증 및 세포 자멸 개선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은 정상군, TNBS 대조군, Sulfasalazine (30 mg/kg)군, Sulfasalazine (60 mg/kg)군, Sulfasalazine (30 mg/kg)+육계 및 시호 혼합 (30 mg/kg)군, 총 5개의 군으로 나누었으며, 7일간 경구투여 하였다. 염증 및 세포 자멸 단백질은 western blot을 통해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SCB 투여는 염증 단백질 및 세포 자멸과 관련된 단백질의 억제에 유의한 효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설파살라진, 육계와 시호 복합 추출물은 염증과 세포 자멸의 억제를 통해 염증성 장 질환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염증성 장 질환의 치료 대안 가능 물질로 사료되는 바이다.

표지시간 변화에 의한 $^{99m}Tc$과 적혈구 표지효율 (Labeling Efficiency of $^{99m}Tc$-Labeled RBC Due to Labeling Time Change)

  • 동경래;김호성;최성관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0권3호
    • /
    • pp.259-263
    • /
    • 2007
  • 본 연구는 $^{99m}Tc$과 방사성 의약품인 적혈구(Erythrocyte)의 표지를 이용하여 신속한 핵의학적 검사를 시행해야 하는 환자들에게 표지효율 저하를 방지하여 영상의 정보를 더욱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변형 체외 표지법을 이용한 방법에서 Stannous chloride($SnCl_2$) 양, 표지시간, 적혈구 농도, 헤모글로빈(Hb) 수치에 따른 변화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간혈관종 검사와 위장관출혈 검사를 시행한 전체 55명의 환자 중 정상으로 판명된 15명은 정상군, 이상소견으로 판명된 40명은 환자군으로 분리한 후, 환자군 중 적혈구 농도가 정상보다 낮은 환자와 헤모글로빈이 낮은 환자들의 표지시간 변화에 따른 표지효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정상인의 경우 Tin의 양이나 표지시간이 표지효율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자의 경우에는 표지시간(Incubation time)이 30분보다 60분이 표지효율이 높게 측정되었다. 따라서 적혈구 농도, 헤모글로빈수치, 헤마토크리트 수치가 낮은 환자를 검사할 때 표지시간을 30분보다는 60분에서 시행하여 표지효율을 높여 보다 정확하고 좋은 영상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화학증착 탄화규소 휘스커에 의한 다공성 알루미나 필터의 기공구조 개질 및 특성 평가 (Pore Structure Mod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orous Alumina Filter with Chemical Vapor Infiltration (CVI) SiC Whisker)

  • 박원순;최두진;김해두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518-52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다공성 알루미나 기판의 기공 형상 개질을 통해서 필터의 집진 효율, 성능 및 내구성 향상을 위한 공정에 대해서 다루었다. 탄화규소 휘스커를 통한 기공 개질을 위해서 모재의 표면뿐만 아니라 기공 내부에까지 균일한 탄화규소 휘스커를 얻고자 화학 기상 침착법(Chemical Vapor Infiltration: CVI)을 사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증착 온도와 증착 위치 및 입력 기체비와 같은 공정 조건의 변화에 따라 증착 경향에 확연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시 말해 첫째, 시편의 관찰 위치가 표면에서 내부로 들어갈수록 “반응 기체의 고갈 효과”로 인해 휘스커가 점점 세선화 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두 번째로 증착 온도에 따라서 debris, whisker, film등과 같이 증착물의 형상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형상의 변화는 여러 가지 물성의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데 그 중에서, film이 증착 되는 경우에는 기판의 강도가 박 115.7% 가량 현저하게 증가하는 반면에 비표면적과 기체 투과율은 감소하게 되지만, 휘스커의 경우에는 강도가 95%, 비표면적은 33.5% 정도가 증가하며 기체 투과율 감소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따라서 다공성 알루미나 기판 내부 기공에 휘스커를 증착 하면 필터로 인한 압력 저하를 최소화하면서 기공의 크기보다 작은 미세 분진들을 걸러 낼 수 있게 되므로 차세대 필터 재료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