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ore retail

검색결과 419건 처리시간 0.022초

The Effect of Customer-to-Customer Interactions on the Preference of Fashion Purchase Environment

  • Chung, Ihn-Hee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12호
    • /
    • pp.1497-1506
    • /
    • 2011
  • This study identifies the effect of customer-to-customer interactions on the preference of fashion purchase environment. An empirical study surveyed male and female consumers 25 years of age and older in Daegu, Korea, in August 2011. A total of 338 responses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chi-square analysis of SPSS 19.0. The results identified the effects of the number, gender, age, attractiveness, and taste of other customers in fashion retail settings. In addition, differences in the effect of customer-to-customer interactions according to consumer attributes were also verified. The sample of this study preferred a shopping condition of many shoppers in the store, the same gender shoppers in the store, the same aged shoppers in the store, an attractive shopper in the store, and a shopper having the same taste in the store. Female consumers showed a preference for a store environment with many shoppers and the same gender shoppers to a store of no shoppers and different gender shoppers compared to male consumers. Aged consumers and fashion-involved consumers liked to shop with more attractive persons than less attractive persons. Fashion-innovative consumers wanted to enter a store where the other customers have similar tastes.

백화점 수퍼마켓의 머천다이징을 고려한 실내디자인 지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terior Design Guidelines in consideration of Merchandising of Department Store Supermarket)

  • 박성준;최상헌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22-2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tails of the overall interior design of the department store supermarket retail space, interior design and development, seeks to help change. In this study, a range of research the department store supermarket located in the major department store. Since 2012, new construction or renewal has been done in a department store, was investigated by selecting a total of five locations of two places in the premium supermarket. Conclusions are as followings ; First, In-store merchandising strategies, store configuration strategy, product mix strategies, and the layout plan considering the advanced strategies. Secondly, the interior guidelines are, (1)VP should be planned as an expression of a company or brand management strategies to visualize a concept image of product planning stages of merchandising to entering the store to induce curiosity to customers. (2)PP is by planning purposes, the use of lighting, directing structure, color harmony, by utilizing such as props and small parts must be able to attract attention. (3)IP is the customer to organize displa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display items to facilitate fraud, and the fixture plan in association with it, the customer selects a product must induced to purchase.

소매점내 상점절도 행위와 그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oplifting Behavior and Its Influencing Factors in the Retail Shop)

  • 노정구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2권2호
    • /
    • pp.315-338
    • /
    • 2013
  • 경제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상점절도와 같은 생계형 범죄의 발생률이 크게 높아지고 있다. 상점절도(shoplifting)란 백화점이나 대형마트, 슈퍼마켓 등의 소매점내에서 발생하는 절도행위를 말한다. 상점절도의 경제적 사회적 위험성에도 불구하고 아직 상점절도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소매점내 상점절도 태도와 그 영향요인을 분석한 연구로서 이 분야에 대한 학술적 연구의 기초를 제공하고, 상점절도행위의 감소 내지방지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기존 연구들에서 상점절도 행위나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경제적 동기, 친구관계, 자극추구성향, 경험적 동기, 강박구매성향이 독립변수로 사용되었으며, 상점절도 태도를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부산시내 4년제 대학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실증분석 결과 친구 관계와 강박구매성향이 상점절도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경제적 동기, 자극추구성향, 경험적 동기는 상점절도 태도와는 유의적인 관련성을 발견할 수 없었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가 주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PDF

백화점 쇼핑경험 가치가 브랜드자산 및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Shopping Experience Values at Department Stores and Their Effects on the Brand Asset and the Store Loyalty)

  • 김준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2호
    • /
    • pp.151-162
    • /
    • 2014
  • 1990년대 중반 국내 유통시장 개방 이후 우리나라 소매업의 가장 큰 변화중의 하나는 외국계 할인점의 등장과 백화점의 급성장이라 할 수 있다. 할인점과 백화점은 우리나라 소매시장의 주류를 이루어온 재래시장이나 슈퍼마켓 중심으로 형성되어 온 유통산업구조 변화를 가지고 왔다. 소매업이 단순히 물건을 구매하는 장소개념에서 즐거움, 행복등 다양한 가치를 제공하는 공간으로 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론적 실증적 연구를 통해 백화점 쇼핑경험가치가 백화점 브랜드나 이미지에 그리고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는데 있다. 특히 독립변수인 쇼핑 경험가치를 심미성, 유희성, 소비자이익, 서비스 우수성으로 구분하여 내생변수인 브랜드인지도, 브랜드이미지와 최종변수인 점포충성도에 유의적인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국내에 거주하면서 백화점 이용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252명을 설문 조사하여, 235명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증분석은 SPSS 17.0K와 AMOS 17.0을 이용하여 공분산 구조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쇼핑 경험가치중에서 소비자 이익을 제외한 변수에서 인지도와 이미지에 정의 영향관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점포 충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연구를 통해서 백화점 고객들은 단순히 상품을 구매하기 위해서 백화점을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즐거움과 행복이라는 가치를 얻기 위해서 백화점을 이용하고, 어떤 측면에서 이런 면들이 백화점 이미지나 인지도, 충성도에 더 큰 영향을 준다고 할 수가 있다.

판매원 브랜드 관계, 고객 지향성 및 고객 점포 충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alesperson Brand Relationships, Customer Orientation, and Customer Store Loyalty)

  • 최순화
    • 유통과학연구
    • /
    • 제16권11호
    • /
    • pp.57-64
    • /
    • 2018
  • Purpose - As the importance of salesperson attitudes and behaviors enhancing customer perception and loyalty have increased, many retail companies put emphasis on internal marketing activities. The issue also has captured the interest of academics, but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tends to be limited to investigating antecedents of salesperson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Based on the consumer-brand relationship concept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salesperson-brand relationships on customers' service evaluation and store loyalty.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I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it is hypothesized that salesperson brand identification influences salespersons' brand trust and affect, which are the two dimensions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s. Salespersons' brand trust and affect are expected to increase salespersons' customer orientation, which in turn influences customers' service evaluations and store loyalty. To test this hypotheses a set of data collected from department stores in Seoul is utilized. Results - First, it was found that salesperson brand identification is a significant antecedent to salespersons' brand trust and affects, the two dimensions of salesperson brand relationships. Second, salespersons' brand trust and affect were found to enhance salespersons' customer-oriented behaviors. Third, salespersons' customer orientation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s' service evaluation. When a salesperson makes more effort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fulfilling customer needs, customers evaluate the salesperson's service more positively. Finally, customers' service evalu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customers' store loyalty. Conclusions -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t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based on the theory of consumer-brand relationships, the concept of salesperson-brand relationships was introduced and found to be an effective motivator of salespersons' customer oriented attitudes and behaviors. Therefore, the two dimensions of brand relationships, brand trust and affect, should be considered as the critical factors both in developing theoretical research and improving long-term company performance. Also, internal marketing activities should focus on maximizing employees' brand identification. That is, retail companies need to put emphasis on sharing their brand values and personality with internal customers to strengthen the brand relationships with salespersons and to enhance customer responses.

유니클로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이미지가 멀티채널 브랜드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NIQLO's online and offline brand images on the purchase intention as a multichannel brand)

  • 김지연
    • 복식문화연구
    • /
    • 제21권1호
    • /
    • pp.42-56
    • /
    • 2013
  • Nowadays the advantages of multichannel retailing strategy in fashion business have been widely discussed, but empirical research on fashion retail has been limite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some ideas on multichannel retailing strategy to fashion retailers through the case of UNIQLO.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each 100 female customers in their 20s, 30s, 40s living in seoul among UNIQLO customers. The survey was consisted of measurement items for UNIQLO's online store image and offline store image, customer satisfaction, purchase intention, and demographic attributes. The online survey was found that 30.3% of UNIQLO's multichannel customers bought a product from offline store using online shopping mall as a search channel, on the other hand, 20.7% of UNIQLO's multichannel customers bought a product from online store using offline store as a search channel. Factors of the online shopping mall image were consisted of shopping convenience, product information, price policy, trust. And factors of the offline store image were consisted of trust and store, product information, service. Some factors of online store and offline store image had impact on multichannel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also had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of UNIQLO product. Some suggestion for the future of multichannel research in fashion retailing was given.

Personalize the Brick'n Mortar

  • Kim, Chan-Young;Melski, Adam;Caus, Thorsten;Christmann, Stefan;Thoroe, Lars;Schumann, Matthias
    • 한국경영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정보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88-1095
    • /
    • 2008
  • 온라인 시장의 매출 성장률은 오프라인 시장을 크게 앞지르고 있으며 그 원인은 상점의 개인화를 통한 쇼핑 시간 절약, 상대적 편이성으로 알려져 있다. 온라인 상점의 개인화는 인터넷, 웹 테크놀로지가 제공하는 고객 쇼핑 행태에 관한 다양하고 상세한 고객의 쇼핑 데이터의 사용으로 가능하다. 과거에는 오프라인 상점에게 이와 같은 데이터가 제공될 수 없었으나, 최근 확산되고 있는 RFID 기술은 오프라인 상점에게 상점의 개인화라는 새로운 기회와 가능성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오프라인 상점이 온라인 상점과의 상대적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그들 상점의 개인화에 사용할 수 있는 BRIMPS (BRIck-and-Mortar Personalization System)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대형할인점 진입에 따른 재래시장에의 영향 및 재래시장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mpact of the Large Discount Store Entry on Conventional Market and on the Methods of Revitalization of Conventional Market)

  • 박성용;이상호;오태현
    • 산학경영연구
    • /
    • 제14권
    • /
    • pp.95-128
    • /
    • 2001
  • LG-mart, E-mart 같은 대형할인점의 중소도시에의 진입은 백화점 또는 소형규모의 할인점 같은 다른 유통형태의 진입때 보다 중소소매상점, 재래시장등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자금력, 판매력, 구매력, 수요기반 등이 훨씬 열악한 중소도시의 상인들에게는 생존의 문제이다. 이들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법적인, 행정적인 규제와 보호만 하는 것은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이 아닐 수 도 있다. 소비자들은 그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구매하지, 중소소매상점, 재래시장 등의 어려움 때문에 구매하지 않기 때문이다. 고객의 욕구와 필요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소매업태는 장기적으로 생존할 수 가 없다. 대형할인점의 진입에 따른 재래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유통구조에서, 소비자의 입장에서 제품과 구매장소와의 연관성, 경쟁관계 등을 조사함으로써 유통시장의 현주소를 파악하고, 장기적인 측면에서 재래상가의 활성화방안을 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최종소비자 입장에서 유통구조의 현황을 분석해보고, 이에 관련된 정책의 정당성을 소비자 입장에서 분석해본다.

  • PDF

우리나라 종합소매업의 경영성과에 관한 비교 연구 - 백화점, TV홈쇼핑, 온라인쇼핑몰 업태를 대상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nagement Performance of General Retail Companies in Korea: For Department store, TV home­shopping, Internet & Mobile shopping)

  • 구경모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1-50
    • /
    • 2019
  • 우리나라 종합소매업은 과거 10여년 동안 소매시장의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경영활동에 힘을 쏟아왔다. 본 연구는 이러한 종합소매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판매채널의 시장, 소매업태, 그리고 사업기간이라는 요인의 영향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경영성과지표는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5가지 지표(안정성, 수익성, 성장성, 활동성, 생산성)를 사용하였다. 사용하는 연구 변수는 판매채널시장 요인, 소매업태 요인, 사업기간 요인이고 이들 변수가 소매기업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분산분석(ANOVA, MANOVA)를 이용하였다. 더불어 소매기업전략의 의사결정에 참고하기 위해 업태 요인과 사업기간 요인의 상호작용효과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에서 시장 요인과 업태 요인은 경영성과 지표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온라인 시장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소매업이 성장성, 활동성이 오프라인 시장의 소매업에 비해 높은 성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우리나라 의류상품 소매유통구조의 변화요인과 방향 (제1보) (Factors and Directions of the Change of the Apparel Retail Structure in Korea (Part I))

  • 고선영;이은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11호
    • /
    • pp.1495-1506
    • /
    • 2006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formation and the change of apparel retail structure historically with the viewpoint that the retail structure is affected by the process of economic development. This study was done by literature research method an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e following. The tailor and seamstress shops, the first clothing shops in Korea, were replaced by ready-made shops, because mass production system which had developed with the industrialization of Korea increased the advantage of economy of scale compared to handicrafts individual one. After that, the production system of apparel industry had been efficient continuously, while retail system had not. The retailing of famous brand apparel conducted by exclusive franchise store caused supplier oriented markets where the opinion and the desire of consumers were not reflected. While the retailing of the unknown brand apparel handled by small retail stores were inefficient. As the apparel industry matured in 1990s, various types of new stores appeared such as specialty stores, discount stores, TV home shopping, internet shopping, outlet malls, and big fashion stores in Dongdeamoon. These new stores have features of seeking profits in mass merchandising. As these large retail stores grow, the apparel retail structure of Korea is changing from a fragmented market to a vertically integrated one. This change is shown by the decrease of stores per inhabitants. With the change of environment, the apparel retail system which has lagged behind comparatively is expected to develop into more efficient system based on the large capital investment which raise the advantage of economy of sca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