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plane permeability

검색결과 52건 처리시간 0.032초

다공질 사암의 층리에 따른 국부적 공극특성 변화와 수리 이방성 특성 (A Study of Locally Changing Pore Characteristics and Hydraulic Anisotropy due to Bedding of Porous Sandstone)

  • 양화영;김한나;김경민;김광염;민기복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3권3호
    • /
    • pp.228-240
    • /
    • 2013
  • 퇴적암에서 나타나는 이방성은 층리에 의한 영향이 크며, 암석의 수리적 특성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층리가 발달한 다공질 사암을 대상으로, 층리구조에 의해 발생한 공극구조 이방성이 사암의 수리 이방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암의 공극구조 이방성 파악을 위해 X-ray CT(computed tomography)를 이용하여 내부 공극률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층리방향에 따른 수리이방성은 층리면과 수평면이 이루는 각도를 $0^{\circ}$에서 $90^{\circ}$까지 $15^{\circ}$간격으로 코어링한 샘플을 제작하여 투수실험을 통해 파악하였다. 투수실험 결과 층리면과 투수방향이 수직인 경우 투수율이 가장 작은 값을 나타낸 반면, 층리면과 투수방향이 평행일 때 가장 높은 투수율을 나타내었으며, 평균 수리이등방비($k_{90^{\circ}}/k_{0^{\circ}}$)가 1.8로 층리에 따른 수리 이방성이 확연하게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사암의 수리이방특성은 층리에 의해 공극특성이 서로 다른 층상구조가 형성되기 때문임을 확인하였다.

차단 주파수 이상에서 평형 조건을 만족하는 CRLH 직각 도파관 (CRLH Rectangular Waveguide with Balanced Condition above Cut-off Frequency)

  • 김동진;이정해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2권9호
    • /
    • pp.912-918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도파관의 차단 주파수 이상에서 평형 조건을 만족하는 CRLH(Composite Right-/Left-Handed) 직각 도파관이 설계되었다. 제안된 CRLH 도파관 구조는 특정 주파수에서 음의 유효 투자율 특성을 나타내는 하나의 단락 스터브와 음의 유효 유전율을 구현하는 두 개의 꼬인 형태의 H-plane 아이리스로 구성된다. 도파관 내부에 삽입된 꼬인 형태의 H-plane 아이리스는 단락 스터브와 아이리스 사이의 상호 작용을 최소화하여 RH(Right-Handed) 대역과 LH(Left-Handed) 대역의 밴드 갭을 조절하는 직렬 및 병렬 공진 주파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평형 조건을 만족하는 CRLH 도파관의 설계가 가능하다. 설계된 CRLH 도파관 구조의 해석을 위하여 교차 결합된 등가 회로가 제시되었고, 시뮬레이션 및 측정 결과로 부터 차단 주파수 이상에서 RH 대역과 LH 대역 사이에 밴드 갭이 존재하지 않는 평형 조건의 CRLH 전송선 특성을 확인하였다.

PRACTICAL MODELLING OF STONE-COLUMN REINFORCED GROUND

  • Tan By S.A.;Tjahyono S.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6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 /
    • pp.291-311
    • /
    • 2006
  • The acceleration of consolidation by stone columns was mostly analysed within the framework of a basic unit cell model (i.e. a cylindrical soil body around a column). A method of converting the axisymmetric unit cell into the equivalent plane-strain model would be required for two-dimensional numerical modelling of multi-column field applications. This paper proposes two practical simplified conversion methods to obtain the equivalent plane-strain model of the unit cell, and investigates their applicability to multi-column reinforced ground. In the first conversion method, the soil permeability is matched according to an analytical equation, whereas in the second method, the column width is matched based on the equivalence of column area. The validity of these methods is tested by comparison with the numerical results of unit-cell simulations and with the field data from an embankment case history. The results show that for the case of linear-elastic material modelling, both methods produce reasonably accurate long-term consolidation settlements, whereas for the case of elasto-plastic material modelling, the second method is preferable as the first one gives erroneously lower long-term settlements, where plastic yielding of stone column are ignored.

  • PDF

부분적으로 페라이트 재질을 갖는 접지면상에서 모노폴안테나의 FDTD 해석 (FDTD Analysis of a Monopole Antenna on the Ground Plane with Ferrite Material Locally)

  • 임계재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2권6호
    • /
    • pp.32-37
    • /
    • 2003
  • 휴대폰 안테나로부터의 전자파 인체영향을 저감시키기 위해, 접지면으로 작용하는 휴대폰 본체표면에 부분적으로 페라이트 재질을 부가하여 인체두부 방향으로의 복사 전기장세기를 저감시켰다. 페라이트의 재질특성(유전율, 투자율, 도전율)이 주어졌을 때, 구조(두께, 부가부위)의 변화에 따른 영향을 모노폴안테나 모형에 적용함으로써 1.7 GHz 대역 PCS 휴대폰 설계시 인체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해석방법으로는 물질의 유전을 및 도전율, 투자율 특성을 고려한 FDTD 수치해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DPF의 배기가스 유동 및 포집에 관한 다차원 모델링 연구 (Study on Multi-Dimensional Simulation of the Flow and Filtration Characteristics in Diesel Particulate Filters)

  • 김동균;윤천석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3호
    • /
    • pp.60-68
    • /
    • 2010
  • In order to understand the flow and filtration characteristics in a wall-flow type DPF(Diesel Particulate Filter), 0-D, 1-D, and 3-D simulations are preformed. In this paper, three model are explained and validated with each other. Based on the comparisons with 1-D and 3-D results for the steady state solution, 3-D CFD analysis is preferable to 1-D for the prediction of wall velocity at the inlet and exit plane. Because PM loading process is transient state phenomena, the combination of full 3-D and time dependent simulation is crucial for the configuration of wall channels. New coupling technique, which is the connection between calculated permeability from 0-D lumped parameter model and UDF(User Defined Functions) of main solver, is proposed for the realisti

피스톤 스커트의 코팅두께 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ating Thickness Prediction of a Piston Skirt)

  • 전상명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84-9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how to be formed the wet film thickness during the low friction coating process for a piston skirt with application to the theory of screen printing. In other words, the general expressions predicting the pressure under a blade and the volume of coating fluid passing through the blade edge are derived. Using these expressions, the coating thickness on a piston skirt during a sample blade coating process can be quantitatively assessed.

플라즈마 블라스팅을 이용한 유류오염토양의 투수성과 정화효율 개선을 위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to Improve Permeability and Cleaning Efficiency of Oil Contaminated Soil by Plasma Blasting)

  • 장현식;김기준;송재용;안상곤;장보안
    • 지질공학
    • /
    • 제30권4호
    • /
    • pp.557-575
    • /
    • 2020
  • 유류오염 토양의 투수성 및 정화효율을 개선하기 위하여 고전압 아크 방전에 의한 플라즈마 블라스팅을 토양에 적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고전압 발생장치를 새로 제작하였고, 실트질 모래인 토양시료, 토양시료에 소석회를 혼합한 시료와 토양시료에 시멘트를 혼합한 세 종류의 토양시료를 다져서 소형 토조와 대형 토조를 제작한 후 각각의 토조내에서 플라즈마 블라스팅을 시행하여 유체확산의 범위와 투수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플라즈마 블라스팅이 시행된 토양시료에서는 플라즈마 블라스팅이 시행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유체의 확산 부피가 약 11~71% 증가하였다. 낮은 전압하에서 플라즈마 블라스팅이 시행되면 토양 내에서는 구조적 취약면(다짐면)을 따라 수평적 확산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나 높은 전압에 의한 플라즈마 블라스팅은 토양 내에 구형의 입체적인 확산을 발생시켰다. 플라즈마 블라스팅은 투수성 또한 증가시켰으며, 소석회 및 시멘트가 혼합된 토양에서 더욱 뚜렷하게 관찰되어, 플라즈마 블라스팅이 시행된 시료들은 대조군 시료에 비해 투수계수가 450~1,052% 범위로 증가하였다. 플라즈마 블라스팅이 1회만 실시된 토양시료의 투수계수는 방전 전압이 높아질수록 증가하였으나 동일한 전압으로 여러 번의 블라스팅이 시행된 토양시료의 투수계수는 증가하거나 감소하였다. 토양시료에 경유를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오염시킨 토양시료에 플라즈마 블라스팅을 실시하여 정화효율을 측정하였다. 플라즈마 블라스팅이 시행되면, 방전지점 근처의 토양에서는 평균 393%, 방전지점으로부터 20 cm 이상 이격된 하부 토양에서는 평균 239% 정도의 정화효율이 개선되었으나 방전 전압과 정화효율은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위의 결과는 플라즈마 블라스팅이 토양의 투수성과 정화효율을 상당히 개선하므로, 유류오염 토양의 원위치 정화에 효율적으로 이용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도파관 래칭 이상기의 고차 모드 해석 (Analysis of Higher Order Modes of Waveguide Latching Phase Shifter)

  • 신동만;윤상원;박동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1145-1151
    • /
    • 1989
  • New method to calcul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dominant and higher order modes of waveguide latching phase shifters are presented. Due to the tensor permeability, E and H fields inside the ferrite are expanded in terms of the LSE and LSM eigenmodes of the dielectric-slab-loaded waveguide. The equivalent coupled transmission line equations on the transverse plane are derived to obtain the dispersion characteristics and the E and H field distributions. Numerical results at X-band are compared with those published previously. The derived field distributions can be used to suppress the higher order modes of the latching phase shifters, so that the phase shift from the dominant mode only contributes the performance of the phase shifters.

  • PDF

Influence of complex geological structure on horizontal well productivity of coalbed methane

  • Qin, Bing;Shi, Zhan-Shan;Sun, Wei-Ji;Liang, Bing;Hao, Jian-Feng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9권2호
    • /
    • pp.145-154
    • /
    • 2022
  • Complex geological conditions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mining of coalbed methane (CBM), which affects the extraction efficiency of CBM. This investigation analyzed the complicated geological conditions in the Liujia CBM block of Fuxin. A geological model of heterogeneities CBM reservoirs was established to study the influence of strike direction of igneous rocks and fault structures on horizontal well layout. Subsequently, the dual-porosity and dual-permeability mathematical model was established, which considers the dynamic changes of porosity and permeability caused by gas adsorption, desorption, pressure change. The results show that the production curve is in good agreement with the actual by considering gas seepage in matrix pores in the model. Complicated geological structures affect the pressure expansion of horizontal wells, especially, the closer to the fault structure, the more significant the effect, the slower the pressure drop, and the smaller the desorption area. When the wellbore extends to the fault, the pressure expansion is blocked by the fault and the productivity is reduced. In the study area, the optimal distance to the fault is 70 m. When the horizontal wellbore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coal seam igneous rock, the productivity is higher than that of parallel igneous rock, and the horizontal well bore should be perpendicular to the cleat direction. However, the well length is limited due to the dense distribution of igneous rocks in the Liujia CBM block. Therefore, the horizontal well pumping in the study area should be arranged along the direction of igneous rock and parallel plane cleats. It is found that the larger the area surrounded by igneous rock, the more favorable the productivity. In summary, the reasonable layout of horizontal wells should make full use of the advantages of igneous rock, faults and other complex geological conditions to achieve the goal of high and stable production.

무인항공기용 경량화 직접메탄올연료전지 스택 개발을 위한 복합소재 분리판 제작 및 성능 평가 (I) (Evaluation and Fabrication of Composite Bipolar Plate to Develop a Light Weight Direct Methanol Fuel Cell Stack for Small-scale UAV Application (I))

  • 강경문;박성현;김진수;지현진;주현철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134-142
    • /
    • 2012
  • A bipolar plate is a major component of a fuel cell stack, which occupies 50~60% of the total weight and over 50% of the total cost of a typical fuel cell stack. In this study, a composite bipolar plate is designed and fabricated to develop a compact and light-weight direct methanol fuel cell (DMFC) stack for a small-scale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pplication. The composite bipolar plates for DMFCs are prepared by a compression molding method using resole type phenol resin as a binder and natural graphite and carbon black as a conductor filler and tested in terms of electrical conductivity, mechanical strength and hydrogen permeability. The flexural strength of 63 MPa and the in-plane electrical conductivities of 191 S $cm^{-1}$ are achieved under the optimum bipolar plate composition of phenol : 18%; natural graphite : 82%; carbon black : 3%, indicating that the composite bipolar plates exhibit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hydrogen permeability to be applied in a DMFC stack. A DMFC with the composite bipolar plate is tested and shows a similar cell performance with a conventional DMFC with graphite-based bipolar pla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