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memory file system

검색결과 240건 처리시간 0.028초

낸드 플래시 파일 시스템을 위한 결함 복구 시간 제한 기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rash Recovery Technique with Bounded Execution Time for NAND Flash File System)

  • 강승엽;박현찬;김기만;유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7권6호
    • /
    • pp.330-338
    • /
    • 2010
  • 현재 낸드 플래시 메모리는 다양한 이동형 기기에 활용되면서 급격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다. 사용자들은 더욱 용량이 크고 빠른 기기들을 요구하지만, 현재의 낸드 플래시 파일 시스템은 결함 상황에서 복구 및 초기화 시간이 미디어의 용량에 비례하여 지연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는 기기의 부팅 시간을 지연시켜 사람들의 불편을 초래한다. 우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파일 시스템 초기화 시간이 미디어의 용량과 무관하도록 '작업 영역 기법'을 제안한다. 작업 영역 기법은 한 시점에서 낸드 플래시 메모리의 일부 영역만을 작업 공간으로 정의하고 유지하며 쓰기 명령을 작업 공간 안에서만 수행시킨다. 따라서 결합 상황에서 복구시 검색해야 할 크기를 최근 작업 영역으로 제한하므로써 결함 복구 수행 시간이 낸드 플래시 메모리 용량과 비례하지 않도록 한다. 우리는 이러한 작업 영역 기법을 YAFFS2를 기반으로 구현하였으며 기존 기법들과 초기화 성능을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1기가 낸드 플래시 메모리상에서 결함 복구 수행 시간이 기존의 로그 기반 기법에 비해 25배 가량 단축됨을 확인했다. 이러한 격차는 낸드 플래시 메모리 용량이 늘어날수록 커질 것이다.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TV 셋톱박스의 효과적 파일 시스템 복구 방법에 관한 연구 (Reserach for Filesystem Recovery in Android based SMART TV Settop)

  • 김병준;한경식;손승일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73-775
    • /
    • 2012
  • 모바일 시스템에 비해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TV 셋톱박스의 경우 직접 전원 연결을 통한 시스템 전원을 공급받기 때문에 갑작스러운 전원차단으로 인한 메모리기반 파일시스템의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init의 중복 실행을 통해 스마트TV OS 프레임워크가 시작되기 전에 해당 파일 시스템의 손상 유무를 판단하여 시스템 체크를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 PDF

휴대용 멀티미디어 기기에서 메타데이터 활용을 강화한 파일 시스템 구조 (A File System Architecture for Enriched Metadata in Portable Multimedia Devices)

  • 윤현주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1-8
    • /
    • 2007
  • In this paper, we developed a file system architecture for portable multimedia devices. To enhance user convenience, the information about the stored files should be easily retrieved and organized. We defined NMD (Networked MetaData), which can organize the files in networked fashion by attaching user-defined attributes and relation between files. The NMD is stored in flash memory to utilize its nonvolatile property and low-power consumption, while multimedia files are stored in hard disk, an inexpensive mass storage. The experimental implementation showed that this architecture was able to save about 10% power compared to the hard disk NMD-store.

  • PDF

반복성을 고려한 파일 액세스 패턴 수집 기법 (File Access Pattern Collection Scheme based on Repetitiveness)

  • 황보준형;석성우;서대화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8권12호
    • /
    • pp.674-68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액세스 패턴의 반복성을 이용하여 비교적 적은 메모리 공간을 사용하는 SIC (SiZe-Interval-Count) 선반입 기법을 제안한다. 최근에 연구되어진 지식기반의 선반입 기법은 응용프로그램의 액세스를 예측하여 정확한 선반입을 수행하는 기법이다. 이들 기법은 응용프로그램의 액세스 패턴을 기록하고, 기록된 액세스 패턴정보를 이용하여 다음에 요청될 블록을 예측하게 된다. 하지만 이 기법은 많은 메모리 공간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제안된 선반입 기법에서는 "SIC 액세스 패턴 정보"를 이용하여 반복적인 액세스 패턴을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이를 이용하여 응용프로그램의 다음에 요청될 블록을 정확하게 예측한다. 본 논문의 선반입 기법은 일반 파일시스템에 비해 최고 40%의 응답속도 향상을 가져오며, 기존의 지식기반 선반입 기법에 비해 뛰어난 메모리 효율성을 보여준다.

  • PDF

MRAM 기반 SSD 파일 시스템의 에너지 효율적 서브페이징 (Energy-Efficient Subpaging for the MRAM-based SSD File System)

  • 이재열;한재일;김영만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69-380
    • /
    • 2013
  • The advent of the state-of-the-art technologies such as cloud computing and big data processing stimulates the provision of various new IT services, which implies that more servers are required to support them. However, the need for more servers will lead to more energy consumption and the efficient use of energy in the computing environment will become more important. The next generation nonvolatile RAM has many desirable features such as byte addressability, low access latency, high density and low energy consumption. There are many approaches to adopt them especially in the area of the file system involving storage devices, but their focus lies on the improvement of system performance, not on energy reduction. This paper suggests a novel approach for energy reduction in which the MRAM-based SSD is utilized as a storage device instead of the hard disk and a downsized page is adopted instead of the 4KB page that is the size of a page in the ordinary file system.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energy efficiency of a new approach is very effective in case of accessing the small number of bytes and is improved up to 128 times better than that of NAND Flash memory.

로그 구조 파일 시스템의 파일 단편화 해소를 위한 클리닝 기법 (An Efficient Cleaning Scheme for File Defragmentation on Log-Structured File System)

  • 박종규;강동현;서의성;엄영익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6호
    • /
    • pp.627-635
    • /
    • 2016
  • 로그 구조 파일 시스템에서는 쓰기 작업을 처리할 때 새로운 블록들이 순차적으로 할당된다. 그러나, 다수의 프로세스가 번갈아가며 동기적 쓰기 작업을 요청할 경우, 파일 시스템 상에서는 각 프로세스가 생성한 파일이 단편화될 수 있다. 이 파일 단편화는 읽기 요청을 처리할 때 다수의 블록 I/O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읽기 성능을 저하시킨다. 게다가, 미리 읽기 기능은 한 번에 요청되는 데이터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성능 저하를 더욱 심화시킨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파일 단편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로그구조 파일 시스템의 새로운 클리닝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로그 구조 파일 시스템의 클리닝 과정 중 유효 데이터 블록을 아이노드 번호 순으로 정렬함으로써 한 파일의 데이터 블록들을 인접하게 재배치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클리닝 기법이 클리닝 전에 비해 약 60%의 파일 단편화를 제거하였고, 그 결과로 미리 읽기 기능을 적용했을 때 읽기 성능을 최고 21%까지 향상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파일 유형과 크기에 따른 적응형 중복 제거 알고리즘 설계 (Design of Adaptive Deduplication Algorithm Based on File Type and Size)

  • 황인철;권오영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2호
    • /
    • pp.149-157
    • /
    • 2020
  • 오늘날 사용자의 데이터 증가에 따른 데이터 중복으로 인해 다양한 중복 제거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개인 스토리지에 대한 연구는 미진하다. 개인 스토리지는 고성능 컴퓨터와는 다르게 CPU와 메모리의 자원 사용을 줄이면서 중복 제거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 스토리지에서 중복 제거율을 적절히 유지하며 부하를 낮추기 위해 파일의 타입과 크기에 따라 FSC(Fixed Size Chunking)와 WFH(Whole File Chunking)를 선택적으로 적용하는 적응형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한 파일 시스템은 LessFS에 비해 최초 파일 Write 시에는 Write 소요 시간은 1.3배 이상 높았으나 메모리의 사용은 3배 이상 감소하였고, Rewrite 시는 LessFS에 비하여 Write 소요시간이 2.5배 이상 빨라지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플래시메모리 파일시스템을 위한 안전한 파일 삭제 기법 (Secure Deletion for Flash Memory File System)

  • 선경문;최종무;이동희;노삼혁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3권6호
    • /
    • pp.422-426
    • /
    • 2007
  • 휴대전화, MP3플레이어 및 PMP, USB 메모리 저장장치와 같은 개인용 멀티미디어 및 저장용 이동기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이동기기에 저장되는 데이타에 대한 안전성이 요구되고 있다. 요구되는 안전성 중 한 가지는 안전한 파일 삭제인데, 이것은 파일의 내용이 완전히 삭제되어 악의적으로 복구될 수 없도록 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기기의 저장매체로써 주로 사용되는 플래시 메모리에서 어떻게 안전한 삭제를 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한다. 이를 위하여 0으로 덮어쓰기와 가비지 컬렉션을 이용하는 두 가지 안전한 파일 삭제 정책을 고려하였으며, 각 정책들이 플래시 메모리 파일 시스템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두 가지 정책들의 장점을 취한 적응적인 파일 삭제 기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크기가 작은 파일들에 대해서는 0으로 덮어쓰기 기법을, 크기가 큰 파일들에 대해서는 가비지 컬렉션기법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실제 실험 구현 및 결과를 통해 제안된 기법들이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파일을 삭제할 수 있음을 보인다.

안드로이드 덱스클래스로더 실행흐름 변경을 통한 원본 앱 노출 방지 기법 (A Hiding Original App Method by Altering Android DexClassLoader Execution Flow)

  • 조홍래;최준태;하동수;신진섭;오희국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7권6호
    • /
    • pp.1271-1280
    • /
    • 2017
  • 런타임 실행 압축 기술을 이용하는 안드로이드 패커(packer) 서비스는 덱스클래스로더(DexClassLoader)를 이용하여 원본 어플리케이션으로 전환한다. 하지만 덱스클래스로더의 API 인터페이스는 로드할 덱스(Dalvik EXcutable)의 경로와 컴파일 된 파일의 경로를 입력 받으므로 원본이 파일시스템에 드러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해당 API를 패커 서비스에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안전하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덱스클래스로더 API의 컴파일 흐름과 로드 흐름을 변경하여 해결하였다. 이 변경된 실행 흐름으로 인해 컴파일 된 파일을 암호화하여 파일 시스템에 두거나 메모리에만 존재하도록 하고, 이후 로드할 때 복호화 또는 치환을 하여 원본 앱 전환을 가능하게 한다. 제안하는 기법을 통해 원본 파일이 파일시스템에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패커의 안정성이 올라갈 것이라 예상한다.

뉴메모리를 이용한 고성능 및 호환성을 위한 I/O 변환 계층 기술 (I/O Translation Layer Technology for High-performance and Compatibility Using New Memory)

  • 송현섭;문영제;노삼혁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2권4호
    • /
    • pp.427-433
    • /
    • 2015
  • 컴퓨팅 시스템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빠른 데이터 처리가 요구되고, 이를 위한 고성능 저장 장치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차세대 메모리인 뉴메모리는 고성능 저장장치에 활용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뉴메모리는 비휘발성을 가지고 있으며,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에 가까운 접근 속도를 가지고 있어서, 업계 및 학계로 하여금 새로운 저장장치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를 받고 있다. 본 연구는 뉴메모리를 저장장치로 활용하기 위한 기술로 NTL (New memory Translation Layer)을 제시한다. NTL은 기존의 디스크 파일시스템을 뉴메모리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높은 호환성을 제공하며, 블록 단위가 아닌 바이트 단위로 입출력 데이터를 처리하여 높은 데이터 처리량을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NTL의 설계에 대해 서술하며, NTL을 통해 얻는 성능 이점을 보여주기 위한 실험 결과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