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Home Childcare Providers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3초

전자그림책의 활용실태와 인식: 아이돌보미와 유아교육과 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Actual Utilization and Recognition of Electronic Picture Books: Ba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In-Home Childcare Providers and ECE Students)

  • 오연주;김애경;한유미
    •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and Management
    • /
    • 제28권4호
    • /
    • pp.1-11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related to electronic picture books an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high-quality in-home child care service programs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and actual conditions of electronic picture book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16 in-home childcare workers from the one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 who participated in the workshop on electronic picture books and 161 students from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wo Universities as a comparison group.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recognition of ICT competencies and satisfaction with electronic picture books. Second, both groups viewed electronic picture books are effective in preparing for the information age and very positive in providing electronic picture books. Third, the valuation of electronic picture books in both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paper picture books.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valuing e-picture books by ICT compet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the job performance of in-home child providers, which will be expanded in the future, by examining ICT competencies, e-picture book actual utilization, and recognition between the in-home childcare providers and ECE students.

유아의 가정환경과 또래유능성의 관계에서 언어발달의 역할 (The Role of Language Development in the Relation from Home Environment to Peer Competence of Young Children)

  • 장영은;성미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1-18
    • /
    • 2015
  • 본 연구는 가정환경과 만 3세 유아의 언어발달, 그리고 또래유능성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즉, 유아의 가정환경이 바람직할 때 보다 나은 언어능력의 발달이 가능하며, 이는 어린이집 상황에서 보다 나은 긍정적 또래관계, 그리고 부정적 또래관계의 감소를 예측할 것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한국아동패널에 참여하고 있는 유아 8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4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고, 구조방정식 모델링 기법이 적용되었다. 분석 결과, 가정환경과 유아의 어휘능력은 긍정적인 또래관계와 부정적인 또래관계 행동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유아 언어발달은 가정환경과 또래유능성을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밝혀져 유아의 사회적 관계 형성에 언어발달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영아무상보육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태도 분석 (An Analysis on Childcare Teachers' Attitudes Towards Free Childcare for Infants)

  • 김기화;양성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23-142
    • /
    • 2016
  • 본 연구는 영아의 어린이집 이용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태도를 탐색하고, 이들의 보육신념을 분석하여 영아무상보육에 대한 보완 및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영아반 보육교사 26명이며, 자료수집을 위해 개별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아반 보육교사들은 취업모의 어린이집 이용을 불가피한 것으로 여기지만 전업주부의 어린이집 이용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영아무상보육 이후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아의 양적팽창과 함께 어머니들이 주양육자로서 수행해야하는 역할을 공보육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아졌다고 지적하였다. 보육교사들은 영아기에 적합한 양육환경에 대한 신념을 밝히면서, 영아의 주양육자로서 어머니가 수행해야하는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와 보육교사 간의 양육 파트너십이 양질의 보육에 필수적임을 설명하고, "제2의 어머니"로서 영아반 보육교사의 정체성을 피력하였다. 본 연구는 영아무상보육 시행 이후 서비스 제공의 핵심 주체인 보육교사들이 보육현장에서 경험한 변화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개선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에 대한 보육시설 종사자의 인식연구 (A Study on the Child Care Providers' Perception on the Seoul-Type Child Care Accreditation System)

  • 김영옥;최인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1-20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을 통과한 보육시설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시설장 69명과 보육교사 240명, 총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빈도분석, ${\chi}^2$ 검증을 이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시설장과 교사 모두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 시행의 주요 목적은 보육서비스에 대한 효과적인 질관리 시스템 마련이며, 서울형 어린이집의 인증 대상으로 가장 적합한 시설은 민간보육시설이고 다음은 가정보육시설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을 준비하는 것이 보육시설 평가인증에 비해 쉽다는 응답이 높았으며,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을 통해 국 공립과 민간보육시설 사이의 선호도 차이가 해소될 것을 시설장과 교사 모두 기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서울형 어린이집의 운영체계에서 시설장은 맞춤보육서비스 평가 시 '계획서만 제출'하는 방식을, 교사는 '맞춤보육서비스 실시 후 평가'를 가장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심보육서비스와 클린운영 영역에서는 시설장과 교사 모두 현재 제도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셋째, 서울형 어린이집 공인인증의 활성화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보육교사의 시간 외 수당에 대한 보완과 정부의 연속성 있는 보육정책이라는 응답이 높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