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영아무상보육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태도 분석

An Analysis on Childcare Teachers' Attitudes Towards Free Childcare for Infants

  • 투고 : 2015.10.15
  • 심사 : 2016.01.30
  • 발행 : 2016.02.29

초록

본 연구는 영아의 어린이집 이용에 대한 보육교사들의 태도를 탐색하고, 이들의 보육신념을 분석하여 영아무상보육에 대한 보완 및 개선점을 제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영아반 보육교사 26명이며, 자료수집을 위해 개별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영아반 보육교사들은 취업모의 어린이집 이용을 불가피한 것으로 여기지만 전업주부의 어린이집 이용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연구참여자들은 영아무상보육 이후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영아의 양적팽창과 함께 어머니들이 주양육자로서 수행해야하는 역할을 공보육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아졌다고 지적하였다. 보육교사들은 영아기에 적합한 양육환경에 대한 신념을 밝히면서, 영아의 주양육자로서 어머니가 수행해야하는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어머니와 보육교사 간의 양육 파트너십이 양질의 보육에 필수적임을 설명하고, "제2의 어머니"로서 영아반 보육교사의 정체성을 피력하였다. 본 연구는 영아무상보육 시행 이후 서비스 제공의 핵심 주체인 보육교사들이 보육현장에서 경험한 변화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개선되어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attitudes of infant care teachers towards child care centers for infants, and suggests improvements for free child care services for infants, with regard to the teaching principles of said teacher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26 infant care teachers. Most of the infant care teachers agreed that working mothers, but not stay-at-home mothers, should use child care centers. They also argued that, because child care for infants is free, (1) mothers have become more dependent on public child care, (2) mother's perception of child care centers has changed, and (3) people have exploited child care services. According to the teaching principles of these teachers, optimal childrearing for infants should involve the following: First, mothers themselves should take care of infants aged 0 to 2 years at home, when possible. Second, mothers using child care centers should form a childrearing partnership with the centers' teachers, and thus closely cooperate with them. Third, the role of infant care teachers should be understood as that of "the second mother." The highlight of this study is that it investigated the changes child care teachers have experienced as main providers of child care services for infant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free, universal infant care, and suggested directions for improving child care service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은이 (2014. 12). 취업여부.소득별로 보육료 차등지원, 무상보육 4년 만에 대수술. 한국일보, pp. A3.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4121543821에서 2015년 12월 30일 인출.
  2. 권미경, 도남희, 황성온 (2012). OECD 회원국의 보육서비스: 보육유형, 보육교직원, 보육비용을 중심으로(연구보고 2012-04).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3. 김사현, 주은선, 홍경준 (2013). 무상보육 및 관련 정책이슈들에 대한 핵심 이해집단의 선호 분석: 서울시 어린이집 원장, 보육교사, 학부모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정책, 40(2), 205-235.
  4. 김송이, 이혜숙 (2014). 양육수당 도입 이후 보육수요 실태 및 보육인프라 다각화 방안(2014 정책연구-02). 서울: 서울시여성가족재단
  5. 김은설, 이정림, 최윤경, 도남희, 문성혁, 이동하 (2014). 한국아동패널 자료를 활용한 출산 결정 요인분석(연구보고 2014-34).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6. 김진석 (2013). 무상보육을 넘어 공공책임보육으로. 복지동향, 181, 38-41.
  7. 문무경, Moss, Bennett, 하민경 (2013). 선진 육아정책 동향 분석 및 활용 방안 연구(연구보고 2013-21).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8. 박경자, 황옥경, 문혁준 (2013). 우리나라의 보육정책. 한국보육지원학회, 9(5), 513-538.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513
  9. 보건복지부 (2015). 보육정책. 서울: 보건복지부. http://www.mohw.go.kr/front_new/policy/index.jsp?PAR_MENU_ID=06&MENU_ID=064001&PAGE=3&topTitle=보육정책에서 2015년 12월 1일 인출.
  10. 서문희, 이혜민 (2014). 영유아교육.보육 재정 증가 추이와 효과: 2004-2014(연구보고 2014-12).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1. 신경림, 조명옥. 양진향 (2010).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2. 이미화, 민정원, 엄지원, 윤지원 (2013). 영아보육의 실태 및 질 제고 방안(연구보고 2013-11).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3. 이수경, 임지현 (2014. 3). 영.유아 무상보육 및 어린이집 이용시간 다양화 정책에 대한 보육교사의 시각과 영.유아 스트레스 행동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 포스터발표 논문, 서울.
  14. 이재무, 송영선 (2012). 영유아 보육료 지원정책의 확대 시행에 따른 만족도 조사 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72, 379-399.
  15. 이주연 (2014). 보육시설 이용 어머니의 양육책임감 영향요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159-177.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3.159
  16. 장선화, 김은주 (2013). 무상보육정책으로 영아기 자녀를 어린이집에 보내게 된 전업주부의 경험에 관한 연구. 교육혁신연구, 23(2), 91-111.
  17. 장수정 (2013). 영유아 무상보육정책 담론에 대한 분석: 일가족 양립 지원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5(4), 33-59.
  18. 정효정 (2012). 가정 양육 기회가 박탈된 무상 보육의 문제점과 제언. 한국영유아보육학, 73, 459-472.
  19. 조숙, 정혜정, 이주연 (2015).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모성이데올로기 인식과 양육스트레스 및 결혼만족도의 관계 비교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1), 25-49.
  20. 조혜선 (2001). 어린이집 영유아의 집에 가고 싶은 행동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최영진, 전일주 (2014). 일본의 가족정책 관련 법제 연구: 자녀양육지원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22(1), 405-432.
  22. 황옥경 (2013). 영아 무상보육 정책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 9(1), 81-100.
  23. Creswell, J. W. (2007).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housand Oaks, CA: Sage.
  24. Seidman, I. (2009).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질적연구 방법으로서의 면담(박혜준, 이승연 옮김). 서울: 학지사(원판 200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