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rove of the Quality of Life

검색결과 2,986건 처리시간 0.033초

재난대응 구호주거 성능지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f Development of Post-disaster Refugees Housing Performance Index)

  • 남혜령;이원학;강수민;김성태;조영준;이병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744-754
    • /
    • 2017
  • 본 연구는 구호주거 성능 기준 및 개발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구호주거 성능지표 체계를 개발하고 지표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전문가 설문을 통한 계층적 분석 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진행하였다. 구호주거 성능지표 체계를 구축하기 위하여 구호주거를 항구적 주택이 마련되기 전까지 일정 기간 사용되는 중장기 임시 거주 시설로 정의하고 안전성, 신속성, 재사용성, 거주성, 경제성을 주요 성능 요소로 도출하였고, 주요 성능 요소와 건축물의 전 생애주기를 연계하여 계층화된 성능지표 체계를 구축하였다. 개발된 구호주거 성능지표 체계의 항목별 중요도를 계층적 분석 기법에 따라 정량적으로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중요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종합 가중치 1-10 순위의 성능 기준과 각 범주별 1 순위의 성능 기준인 총 14 개의 성능 기준을 필수 성능 기준(반드시 충족), 그 외는 권장 성능 기준(선택적 충족)으로 분류하여 구호주거 개발의 모든 단계를 고려한 성능지표를 구축하였다. 추후 구호주거 성능지표의 완성으로 재난에 의해 발생하는 이재민의 안정적인 거주 보장과 빠른 일상복귀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ensitive and Noninvasive Detection of Aberrant SFRP2 and MGMT-B Methylation in Iranian Patients with Colon Polyps

  • Naini, M Alizade;Mokarram, P;Kavousipour, S;Zare, N;Atapour, A;Zarin, M Hassan;Mehrabani, G;Borji, 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4호
    • /
    • pp.2185-2193
    • /
    • 2016
  • Background: The pathogenesis of sporadic colorectal cancer (CRC) is influenced by the patient genetic background and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prior understanding, these are classified in two major pathways of genetic instability.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and CPG island methylator phenotype (CIMP) are categorized as features of the hypermethylated prototype, and chromosomal instability (CIN) is known to be indicative of the non-hypermethylated category. Secreted frizzled related protein 2 (SFRP2), APC1A in WNT signaling pathway and the DNA repair gene, O6-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 (MGMT), are frequently hypermethylated in colorectal cancer. Detection of methylated DNA as a biomarker by easy and inexpensive methods might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patients with CRC via early detection of cancer or a precancerous condition. Aim: To evaluate the rate of SFRP2 and MGMT hypermethylation in both polyp tissue and serum of patients in south Iran as compared with matched control normal population corresponding samples. Materials and Methods: Methylation-specific PCR was used to detect hypermethylation in DNA extracted from 48 polypoid tissue samples and 25 healthy individuals. Results: Of total polyp samples, 89.5% had at least one promoter gene hypermethylation. The most frequent methylated locus was SFRP2 followed by MGMT-B (81.2 and 66.6 percent respectively). Serologic detection of hypermethylation was 95% sensitive as compared with polyp tissue. No hypermethylation was detected in normal tissue and serum and its detection in patients with polyps, especially of serrated type, was specific. Conclusions: Serologic investigation for detection of MGMT-B, SFRP2 hypermethylation could facilitate prioritization of high risk patients for colonoscopic polyp detection and excision.

사물인터넷 기반 수면안대의 사용감 향상을 위한 연구 (A Study to Improve the Usability of the Smart Sleeping Mask based IoT)

  • 곽진영;양연주;임재관;윤상철;안택원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27-33
    • /
    • 2022
  • 수면은 건강한 삶을 사는데 필수적 요인이나 많은 현대인들이 수면상태의 불편함을 호소하고 있다. 이러한 사람들을 위해 수면상태를 간단하게 평가하고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의 필요성이 높아지면서 검사자의 모니터링 없이 집에서 수면 상태를 검사 할 수 있는 기기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사용성 평가의 대상인 스마트 수면 안대는 잠을 잘 때 생체신호 모니터링을 제공하여 수면 상태를 스스로 편리하게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해준다. 스마트 수면 안대의 사용성과 안전성을 평가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용오류에 관한 잠재적인 요인을 찾아내어 방지하고 본 제품의 사용감과 안전성을 발전시켜 해당 기기의 보급과 개발을 위한 지침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면안대 시제품을 형성평가를 시행한 결과, 전원 켜기, 결과 확인이 어렵다는 의견과 수면 안대 착용감이 좋지 않다는 의견이 있었고 수면안대 크기과 무게에 대해 연령별로 다른 의견이 제시되었다.

자조활동 훈련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 Care Training Program on Motor Function of Upper Limb and Self-Efficac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김기도;허명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97-503
    • /
    • 2019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훈련을 기반으로 하는 자조활동 프로그램이 상지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조활동 훈련 프로그램은 상지 과제 지향적 훈련으로 총 6주간, 주 4회 40분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매주 1회 집단훈련을 통해 훈련 프로그램을 점검하였다. 상지 운동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맨손기능 검사, 악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기효능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상지 운동기능 검사 결과, 자조활동 훈련 전에 비해 자조활동 훈련 후 맨손기능과 악력이 모두 증가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자기효능감 변화를 관찰한 결과, 자조활동 훈련 전에 비해 자조활동 훈련 후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과제 지향적 훈련을 기반으로 하는 자조활동 훈련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며, 과제 성취감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신체의 운동기능 회복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교정환자의 자아존중감과 구강건강영향지수(OHIP)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Maincause of influencing oral health impact profile(OHIP) and self-esteem of orthodontic patients)

  • 박영남;이미라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513-522
    • /
    • 2010
  •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self-esteem and oral health impact profile (OHIP) of orthodontic patients to get data necessary for the process of consultation, education, and treatment for those patients who hoped to get orthodontic therapy in order to see effects of orthodontic therapy on personal life in consideration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ose patients under orthodontic therapy. methods :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used among 232 outpatients under orthodontic therapy from October to November 2009, obtaining the following results. Results : 1. A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those under 19 years of age constituted 46.6%; the unmarried comprised 85.8%; and students constituted 53.4%. 2. Most respondents were getting orthodontic therapy for beauty (41.8%) and dental health (40.5%). Family (54.3%) contributed to their decision to get orthodontic therapy; parents or siblings (62.5%) were bearing the treatment expenses. 3. Females were getting orthodontic therapy for an aesthetic purpose (50.3%), and male for the purpose of dental health (44.6%) (P<0.01). 4. OHIP was slightly higher among males ($4.10{\pm}0.61$) than among female ($4.00{\pm}0.78$), and was highest among those 19 years old and under ($4.17{\pm}0.67$); the older they were, the lower it was significantly (P<0.05). Most of them were earning 3 to 4 million won ($4.22{\pm}0.72$); the married ($4.05{\pm}0.74$) constituted higher percentage. As for occupation, students ($4.13{\pm}0.66$) comprised the highest percentage. 5. Self-esteem was higher among males ($3.83{\pm}0.47$) than among females ($3.80{\pm}0.50$), and was highest among those 25 to 29 years old ($3.92{\pm}0.46$). Most of them were earning more than 5 million won ($3.91{\pm}0.42$),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e married ($3.91{\pm}0.54$) constituted higher percentage than the unmarried ($3.80{\pm}0.48$); office managers ($3.95{\pm}0.55$) comprised the highest percentage. 6. As for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effecting OHIP of orthodontic patients,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in age (r=-0.225) and positive correlation in occupation (r=0.122). As for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effecting self-esteem of orthodontic patients,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in occupation (r=-0.130) and positive correlation n income (0.126), while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r=0.202) between OHIP and self-esteem of orthodontic patients. Conclusions : Younger orthodontic patients who were students showed higher OHIP, and professionals earning more showed higher self-esteem. Orthodontic patients with higher OHIP showed higher self-este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based on OHIP and self-esteem in consulting and treating orthodontic patients; since it is considered that orthodontic therapy will improve appearance, enhance self-confidence, and have positive effect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quality of living, researches are necessary on constant changes in psychological properties.

천골에 발생한 척색종의 치료결과 (Oncologic Outcome of Sacral Chordoma)

  • 조상현;이수용;전대근;송원석;공창배;이정동;조완형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66-71
    • /
    • 2012
  • 목적: 천골에 발생한 척색종의 치료결과 분석을 통해 생존율 및 종양의 국소조절과 연관된 예후인자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0년 1월부터 2010년 2월까지 본원에서 치료받은 19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연령은 56세였으며 남자9예, 여자 10예였다. 15명의 환자에서 후방접근법을 이용한 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4명의 환자는 방사선 치료만을 시행하였다. 종양의 위치가 S3 보다 근위부를 침범한 경우가 6예였으며 이중 4예에서 방사선 치료만을 시행하였다. 광범위 절제 6예, 변연부 절제 8예, 병소내 절제 1예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63개월(25-144개월)이었다. 결과: 5년 무병 생존율 및 전체 생존율은 각각 34.7%, 79.7%였다. 재발은 9예, 원격전이는 7예에서 발생하였다. 생존율에 관계된 예후 인자는 종양의 제3천추 상방 침범유무(p=0.033), 종양의 크기(p=0.032)였다. 수술 후 합병증으로 배뇨 및 배변 장애가 발생한 경우가 9예였으며 이중 2예에서는 자가도뇨 시행이 필요하거나 중증의 요실금이 발생하였다. 결론: 종양의 절제 가능성 여부와 더불어 전반적인 환자상태와 수술 후 발생 가능한 합병증을 고려한 치료방법의 선택이 생존율과 함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생각된다.

건강관리 중요도 인식이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작업수행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Health Management Importance Awareness on Occupational Performance and Basic Fitness for the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 손성민;전병진
    • 재활복지
    • /
    • 제22권2호
    • /
    • pp.31-51
    • /
    • 2018
  • 본 연구는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의 건강관리의 중요도 인식이 작업수행과 기초체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여, 건강관리의 중요도 인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에 따른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지적장애인 거주시설 거주 지적장애인 16명을 대상으로 2016년 07월 01일부터 09월 30일까지 총 12주 동안 주 2회 탄성밴드를 활용한 부위별 근력운동을 실시하였다. 건강관리의 중요도 인식에 대한 평가로 프로그램 참여 전 캐나다작업수행측정(COPM) 도구를 활용하여 건강관리의 중요도에 따라 중요도(매우높음) 집단과 중요도(보통) 집단으로 구분하였으며, 프로그램 참여 전, 후 작업수행과 기초체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건강관리 중요도에 따른 중요도(매우높음), 중요도(보통) 집단의 수행도, 만족도, 근력, 유연성의 집단내 분석결과 두 집단 모두 참여 전, 후 증가하였으며, 집단간 분석결과 수행도, 만족도의 사후분석에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났다. 집단간 분석결과 근력, 유연성에서 집단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시설 거주 지적장애인들에 있어서 중요도 인식이 중요하며, 지속적인 운동프로그램의 참여를 통해 건강관리에 대한 중요성의 인식을 강화하고, 적극적인 건강관리활동의 참여로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요실금환자의 골반근육운동에 따른 자아존중감과 배뇨증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elf-Esteem and Urinary Symptoms in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 이영희;김선아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60-369
    • /
    • 2002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help enhance the quality of life for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Self-esteem, urinary symptoms, peak pressure and duration in seconds for vaginal contraction after pelvic muscles exercise were examined. Method: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employed participants were 27 married women from G city. The instrument for this study were : the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berg(1965). the Urinary Symptom Questionnaire, a subjective measurement of urinary incontinence, developed by Jackson et al.(1996) and the Perineometer used as an objective measurement of peak pressure and duration in seconds. Result: 1. Self-estee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exercise (t=-3.832, p= .001). 2. Comparison of results before the pelvic muscles exercise and after showe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several urinary symptoms including enuresis (t=2.833, p=.009), frequency of incontinence (t=2.964, p= .006), incontinence volume (t=2.280, p= .031), incontinence before getting to the restroom (t=3.035, p= .006), incontinence with no reason or feeling (t= 3.051, p= 005) burning sensation (t= 2.132, p=.043), and a sense of residual urine (t=2.267 p=.032). The mean scores showed improvement in the urinary symptoms of management of incontinence (M=$0.04{\pm}0.22$), daily frequency of incontinence management (M=$0.13{\pm}0.85$), urinary control (M=$0.15{\pm}0.86$), running to the restroom (M=$0.15{\pm}0.60$) incontinence caused by coughing or physical activities (M=$0.19{\pm}0.57$) and hesitancy (M=$0.07{\pm}0.55$). Overall urinary symptoms decreased significantly (t =3.073. p= .007). 3. Peak pressure showed an increase from a mean of $24.26{\pm}16.20mmHg$ before the exercise to a mean of $28.63{\pm} 17.79mmHg$ after (t=-2.399, p=.024). Duration in seconds also increased from a mean of $6.00{\pm}4.95sec$ to $9.15{\pm}5.83sec$ (t=-4.400, p= 000).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elvic muscle exercise serves to decrease urinary problems, improve self-esteem and increase peak pressure and duration in seconds.

  • PDF

개인 맞춤형 통합 치료가 가능한 비만 관리 시스템 개발 (An Implementation of Obesity Management System with Individually Adapted Complex Care)

  • 노시철;김주영;김진수;강상식;최흥호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83-91
    • /
    • 2012
  • 비만은 체내에 지방조직이 과다한 상태에 이르는 것으로, 최근 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질병 중 하나이다. 이러한 비만은 각종 성인병과 함께 고혈압, 당뇨 등의 합병증을 유발하며, 심리적, 정신적으로 위축시켜 우울증 등의 정신 질환까지 갖게 하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이다. 현재 일반적인 비만 관리 방법은 다양한 관점에서 각기 다른 효능으로 비만 환자들의 욕구를 채워주고 있지만, 수술 치료의 실패, 치료 중 약물 중독, 우울증, 많은 시간 및 경제적 투자 등으로 근본적인 비만의 치료 효율이 낮다. 이에 체계적이며 개인의 비만 상태에 따른 유형별 치료 접근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수술적인 비만 치료의 단점을 보완하여, 개인의 비만 유형별 비만 치료를 선택할 수 있는 복합 비만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적외선 치료, 산소 치료, 색 치료, 극초단파 치료 모듈을 이용하여 복합적이며,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또한, 환자의 신체적 조건과 비만의 정도에 따른 맞춤 치료를 위해 치료 및 관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으며, 부분별로 원하는 부위를 집중적으로 치료가 가능한 자동 슬라이딩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통합 치료가 가능한 비만 관리 시스템은 다양한 치료 프로토콜을 제시함으로 고기능성 비만 치료기 개발에 초석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슈퍼비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Social Workers' Self-efficacy on Job Satisfaction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upervision)

  • 신문영;박종두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7호
    • /
    • pp.98-107
    • /
    • 2020
  • 클라이언트 삶의 질 향상 및 자립을 위해 힘쓰는 사회복지사에게 있어 직무만족은 중요한 부분이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슈퍼비전이 조절하는지 파악하기 위함으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 직무만족, 슈퍼비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며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슈퍼비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및 서울북부권역 지역사회복지관 10곳의 사회복지사 1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자료분석은 통계프로그램 PASW(SPSS) 25.0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나 사회복지사들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사회복지사의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슈퍼비전의 기능(행정적, 교육적, 지지적)의 조절효과가 모두 유의함을 확인하여 사회복지사들을 위한 슈퍼비전 기능이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