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lantable middle ear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7초

이식형 중이 청각보조기를 위한 진동 트랜스듀서의 설계 (Design of Vibrating Transducer for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Aid)

  • 박형욱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535-544
    • /
    • 1996
  •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coil-magnet type vibrating transducer for the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aid which is appropriate for patient's hearing level, and an experimental transducer system is designed For the objective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transducer, a theoretical equivalent model containing coil, magneto and inner ear is developed To perform effective evaluation of the transducer, a transforming ratio Tr is introduced and its range that is suitable for practical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 is foun4 The result of applying physical parameters of ear system to the proposed analytical model shows that frequency response of the coil magrlet type vibrator is predominantly governed by resistive impedance of the coil rather than inertia effect of the magnet and the inner parameters. In addition, we realized an experimental middle ear hearing aid system to show the theoretical validity of designed system and this will provide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for actually implantable system.

  • PDF

Development of Fully-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 with Differential Floating Mass Transducer : Current Status

  • Cho Jin-Ho;Park Il-Yong;Lee Sang-Heun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09-317
    • /
    • 2005
  • It is expected that fully-implantable middle-ear hearing devices (FIMEHDs) will soon be available with the advantages of complete concealment, easy surgical implantation, and low power operation to resolve the problems of semi-implantable middle-ear hearing devices (SIMEHDs) such as discomfort of wearing an external device and replacement of battery. Over the last 3 years, a Korean research team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as developed an FIMEHD called ACRHS-1 based on a differential floating mass transducer (DFMT). The main research focus was functional improvement, the establishment of easy surgical procedures for implantation, miniaturization, and a low-power operation. Accordingly, this paper reviews the overall system architecture, functions, and experimental results for ACRHS-1 and its related accessories, including a wireless battery charger and remote controller.

완전 이식형 인공중이의 하이브리드 음향센서 특성 평가를 위한 귀 물리모델 (A Physical Ear Model for Evaluating Hybrid-acoustic Sensor Characteristics of Fully Implantable Middle-ear Hearing Aid)

  • 신동호;문하준;김명남;조진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923-929
    • /
    • 2019
  • In this paper, biomimetic based physical ear model proposed for measuring the characteristics of a hybrid-acoustic sensor for fully implantable middle-ear hearing aid. The proposed physical ear model consists of the external ear, middle-ear, and cochlea. The physical ear model was implemented based on the anatomical structure and CT images of the human ear.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 model, the vib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apes was measured after applying sound pressure to the tympanic membrane. The measur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vibr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human temporal bone specified by ASTM F2504-05. Through the comparison results, the feasibility of the proposed ear model was confirmed. Then, after attaching the hybrid-acoustic sensor to the ear model,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ECM and acceleration sensor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sound pressure. The measured results were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using human temporal bone, and the usefulness of the proposed physical ear model was verified through the analysis results.

자기결합방식의 이식형 인공중이의 제안 (Proposal of Magnetic Coupling Type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Aid)

  • 정영숙;윤영호;박재훈;송병섭;이승하;김명남;조진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487-495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회로가 간단하고 체내에 삽입되는 부분이 영구자석만.:-로 이루어져있는 새로운 방식의 이식형 인공중이를 제안하였다. 트랜스듀서의 갭 조정이 필요없어 수술이 간편해지며, 코일을 외부로 보이지 않게 옷 내부에 둘 수 있어서 미용적인 측면에서도 우수하다. 제안된 이식형 인공중이의 성능을 측정하고 난청자의 청각 역치에 맞는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하여 트랜스듀서를 통해 내이로 전달되는 힘을 정량적으로 해 석하였으며, 진동특성 실험을 통해서 이 해석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또한 사람의 측두골을 이용하여 직접 침골(incus)의 진동변위를 측정하였다. 이 실험으로 제안된 시스템이 실제로 사람의 몸에 설치되었을 때 이소골(ossicles)을 충분히 진동시킬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 PDF

벨로즈형 진동체를 갖는 반이식형 인공중이용 신호처리회로 설계 (Design of Signal Processing Circuit for Semi-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 with Bellows Transducer)

  • 김종훈;신동호;성기웅;조진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63-71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달팽이관의 정원창 이식용으로 최근 새롭게 제안된 3코일 벨로우즈형 진동체(tri-coil bellows transducer, TCBT)를 이용하는 반이식형 인공중이(semi-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를 위한 신호처리회로를 설계하였다. 설계된 반이식형 인공중이는 높은 효율을 가지는 유도결합 방법을 이용하여 귀 뒤편에 착용되는 체외기와 대응되는 피부 내측에 위치하는 체내기 간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귀 뒤 부위의 피부두께를 포함하는 반이식형 인공중이의 송수신 거리를 고려하여 송수신 코일과 신호처리 회로를 설계 및 구현하였다. 또한 데이터 전송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전력을 충분히 증폭하기 위한 체외기의 출력부도 설계 하였다. 유도결합 방식을 이용한 반이식형 인공중이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하여, PSpice를 이용하여 회로해석을 수행하였으며, 활용 가능한 크기의 신호처리 보드를 제작하여 그 성능을 검증하였다.

PZT 적층 압전체 기반의 인공중이용 트랜스듀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Vibration Transducer based on PZT Multi-layered Actuator for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s)

  • 박일용;정의성;성기웅;김민우;조진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29-36
    • /
    • 2007
  • 최근 기존 공기 전도형 보청기의 문제점과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해 이식형 보청기인 인공중이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s, IMEHDs)가 미국, 일본, 한국 등에서 활발히 연구 개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인공중이용 진동체로서 PZT 적층 압전체 기반의 플로팅 매스 트랜스듀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것이다. 인공중이용 압전 플로팅 매스 트랜스듀서 (piezoelectric floating mass transducer, PFMT)의 기계적 진동 특성을 구하기 위한 근사적 모델링과 이의 해석을 위한 전기적 변환을 통한 진동 특성 분석을 수행하여 트랜스듀서 설계에 반영하여 구현하였다. 구현된 PFMT를 본 연구팀이 개발한 완전 이식형 인공중이 시스템 시작품에 적용하였으며, PFMT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PFMT를 사체 이소골에 장착한 후 이소골 진동변위를 측정하는 실험을 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에서 설계 및 구현된 PFMT의 인공중이용 진동 트랜스듀서로서 유효성을 확인하였다.

  • PDF

이식형 인공중이를 위한 압전 플로팅 매스 트랜스듀서의 제안 (Proposal of a piezoelectric floating mass transducer for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s)

  • 이창우;김민규;박일용;송병섭;노용래;조진호
    • 센서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322-330
    • /
    • 2005
  • A new type of transducer, piezoelectric floating mass transducer (PFMT) which has advantages of piezoelectric and electromagnetic transducer has been proposed and implemented for the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s. By the uneven bonding of piezoelectric material to the inner bottom of transducer case, the PFMT can vibrate back-and-forth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transducer even though the piezoelectric material within the cylindrical case produces only the bilateral expansion and contraction according to the applied electrical signal. To improve efficiency of the PFMT, the multi-layered piezoelectric material has been adapted. The small number of components in the PFMT enables the simple manufacturing and the easy implanting into the middle ear. In order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vibration, mechanical modeling and finite element analyses of the proposed transducer have been performed. From the result of theoretical analyses and the measured data from the experiment, it is verified that the implemented PFMT can be used in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s.

FEA를 이용한 이식형 인공중이용 차동전자 트랜스듀서의 진동 모델링과 최적 설계 (Vibration Modeling and Optimal Design of Differential Electromagnetic Transducer for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s using the FEA)

  • 김민규;임형규;한찬호;송병섭;박일용;조진호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4권7호
    • /
    • pp.379-386
    • /
    • 2005
  • 최근까지 개발되었던 청각 보조기 중에서 공기 전도형 보청기의 하울링 (howling) 현상과 수술 후 이소골 등 기존 음향계의 재생이 불가능한 인공 와우 (cochlear implant system)의 단점을 해결하고, 동시에 청음 명료도가 높은 음성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구된 것이 인공중이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 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공중이의 음성 신호 재현을 위한 진동 장치인 차동전자 트랜스듀서 (differential electromagnetic transducer, DET)에 대한 수학적 모형화와 계의 진동을 기술하는 운동방정식을 유도하고 그 해를 구하였다. 제한된 크기와 인가 전류 $1\;mA_{rms}$ 정현파에서 최대 구동력을 얻기 위해서 전자기력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고, 결과에 의해서 자석과 코일에 대한 최적 크기를 결정하였다. 사람의 중이 내 등자뼈 (stapes)의 진동 특성과 유사한 진동을 갖는 DET를 설계하기 위해서, 진동막의 강성계수를 변화하면서 진동해석을 시뮬레이션 하였다. 설계된 DET는 마이크로 머시닝 기술에 의해서 제작하였고, 그 진동 특성을 측정 하였다. 최종적으로 측정된 진동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인공중이를 위한 진동 장치로서의 적용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완전 이식형 인공중이용 마이크로폰의 위치 결정을 위한 물리적 귀 모델의 구현 (Implementation a Physical Ear Model for Determinating Location of the Microphone of Fully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

  • 김동욱;성기웅;임형규;김민우;정의성;이장우;이명원;이정현;김명남;조진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2권1호
    • /
    • pp.27-33
    • /
    • 2009
  • 일반적으로, 완전 이식형 인공중이의 이식형 마이크로폰은 측두골 부근에 이식되어진다. 이 경우, 마이크로폰의 진동막이 외부 충격이나 생체 노이즈의 영향 받을 수 있으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식용 마이크로폰을 외이도 내에 이식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소골에 이식된 진동 트랜스듀서에 의해서 고막으로부터 외이도 방향으로 음향 반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귀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귀 모델을 제작하여 프로브 마이크로폰의 위치를 변경해가며 외이도의 음향 반향을 측정하였고 실험결과를 통하여 외이도 내에서의 마이크로폰의 이식 위치를 추정해 보았다. 분석 결과 외이도에 마이크로폰을 이식할 경우 고막에서 멀어질수록 반향 신호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는 있었으나, 반향 신호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외이도에 마이크로폰을 이식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청각모델을 이용한 이식형 인공중이 시스템의 신호 전달 특성 해석 (Analysis of Signal Transfer Characteristics of Implantable Middle Ear System using Acoustic Model)

  • 송병섭;조진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7-233
    • /
    • 2002
  • 이식형 인공중이는 음질과 주파수 특성이 우수하며 기존의 공기전도형 보청기가 가지는 고이득에서의 왜곡과 음향 피이드백에 의한 링잉 현상을 해소할 수 있어 차세대 보청기로 주목받고 있다 특히 두 개의 영구자석을 같은 극기리 접착한 후 코일내부에 위치시킨 타동 전자 트랜스듀서 방식의 이식형 인공중이는 외부의 자기장에 대해 영향을 받지 않으며 진동효율이 높고 자석과 코일의 간격조정이 필요 없는 동시에 주파수 응답특성이 우수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식형 인공중이에 사용하위해 개발된 타동 전자 트랜스듀서의 음향 모델을 구현한 후 정상인의 귀의 청각 모델에 적용시켜 트랜스듀서를 통하여 내이로 전달되는 신호의 주파수 특성을 해석하였다. 해석된 결과를 정상인의 귀의 주파수 특성과 비교함으로써 인공중이를 사용할 경우와 정상인의 귀와의 신호전달 특성 차이를 조사하였고 이를 통하여 정상인의 청각특성에 가까운 신호를 전달시킬 수 있는 인공중이의 설계가 가능하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