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plementation a Physical Ear Model for Determinating Location of the Microphone of Fully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

완전 이식형 인공중이용 마이크로폰의 위치 결정을 위한 물리적 귀 모델의 구현

  • 김동욱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자전기컴퓨터학부) ;
  • 성기웅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자전기컴퓨터학부) ;
  • 임형규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자전기컴퓨터학부) ;
  • 김민우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자전기컴퓨터학부) ;
  • 정의성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자전기컴퓨터학부) ;
  • 이장우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자전기컴퓨터학부) ;
  • 이명원 (경북대학교 대학원 전자전기컴퓨터학부) ;
  • 이정현 (경북대학교병원 의공학과) ;
  • 김명남 (경북대학교병원 의공학과) ;
  • 조진호 (경북대학교 전자전기컴퓨터학부, 경북대학교 첨단감각기능 회복장치 연구센터)
  • Received : 2008.12.29
  • Accepted : 2009.02.06
  • Published : 2009.03.31

Abstract

Generally, implantable microphone has been implanted in the temporal bone for implantable middle ear hearing devices (IMEHDs). In this case, the microphone's membrane can be damaged and can be generated biological noise. In order to overcome the these problems, the location of implanted microphone should be changed. As an alternative, the microphone can be implanted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However, the sound emission can be produced because of vibration transducer toward reverse direction from the tympanic membrane to the external auditory canal. In this paper, an amount of the emitted sound is measured using a probe microphone as the changing the position of microphone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of a physical ear model, which is similar to acoustical and vibratory properties of the human ear. Through the measured value, the location of the microphone was assumed in the external auditory canal.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microphone input sound can be decreased when microphone position become more distance from the tympanic membrane in the auditory canal. However, the external auditory canal is not appropriated to implantable microphone position, because sound emission is not completely eliminated.

일반적으로, 완전 이식형 인공중이의 이식형 마이크로폰은 측두골 부근에 이식되어진다. 이 경우, 마이크로폰의 진동막이 외부 충격이나 생체 노이즈의 영향 받을 수 있으며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식용 마이크로폰을 외이도 내에 이식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이소골에 이식된 진동 트랜스듀서에 의해서 고막으로부터 외이도 방향으로 음향 반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사람의 귀와 유사한 특성을 가지는 귀 모델을 제작하여 프로브 마이크로폰의 위치를 변경해가며 외이도의 음향 반향을 측정하였고 실험결과를 통하여 외이도 내에서의 마이크로폰의 이식 위치를 추정해 보았다. 분석 결과 외이도에 마이크로폰을 이식할 경우 고막에서 멀어질수록 반향 신호가 감소함을 확인할 수는 있었으나, 반향 신호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외이도에 마이크로폰을 이식하기에는 부적합한 것으로 예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