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4초

Considerations for the Survival of Complete Arch Implant-Supported Zirconia Restorations; Status of Antagonistic Arches and Stress Distribution on Frameworks: A Case Report

  • Choi, Jung-Yoo;Sim, Jae-Hyuk;Yeo, In-Sung Luke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74-81
    • /
    • 2017
  • This report describes two cases of complete arch implant-supported restorations. The first patient had seven dental implants in each arch with monolithic zirconia frameworks. At four weeks' follow-up, the one-piece maxillary framework was fractured, which was re-designed and re-fabricated using laser-sintered cobalt-chrome alloy. The second patient had four implants in the mandible only. A mandibular monolithic zirconia framework and a maxillary conventional complete denture were fabricated and delivered. At five years' follow-up, the patient reported no significant discomfort. Careful consideration and monitoring of the status of antagonistic arches and stress distribution on zirconia frameworks were suggested for complete arch implant-supported fixed restorations.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구강 스캐닝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활용한 완전 고정성 임플란트 수복 증례 (Fixed implant rehabilitation of maxillary edentulous patient using intraoral scanning digital workflow: a case report)

  • 박승민;박영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2권1호
    • /
    • pp.38-46
    • /
    • 2024
  • 편악 무치악 환자에서 완전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 치료를 위해 다수의 임플란트를 식립할 때에는 악궁의 해부학적 구조, 대합치의 상태, 교합 평면 등을 고려한 최종 보철물 형태를 미리 결정해야 한다. 이 때 임시 보철물의 형태 및 교합 정보는 최종 보철물의 디자인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본 증례에서는 구강 스캐닝 디지털 워크플로우를 통해 무치악 스캔 데이터와 임시 보철물의 스캔 데이터를 중첩하였으며, 이를 통해 임시 보철물의 정보를 최종 보철물의 디자인에 반영하였다. 또한 구강 스캔을 통해 임시 의치 정보를 획득하여 임플란트의 위치와 각도를 계획하고, 수술 가이드를 사용하여 사전에 계획한 3차원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본 증례에서는 이와 같이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심미적, 기능적으로 만족할 만한 임상적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나사-시멘트 보철물(SCP: screw-cement prosthesis)을 이용한 임플란트 보철 수복 증례 (Retrievable SCP (screw-cement prosthesis) implant-supported fixed partial dentures in a fully edentulous patient: a case report)

  • 김주현;윤보혁;장정은;허중보;정창모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0권4호
    • /
    • pp.318-323
    • /
    • 2012
  • 임플란트 보철물은 유지방법에 따라 크게 나사 유지형 보철물(screw-retained prosthesis)과 시멘트 유지형 보철물(cement-retained prosthesis)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 장점을 고려하여 만든 나사-시멘트 유지형 보철물(SCRP: screw and cement retained implant prosthesis)이있다. 나사-시멘트 유지형 보철물은 임플란트 지대주와 상부 보철물 사이의 시멘트 층이 보철물 제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오차를 보상하여 수동적 적합을 얻을 수 있으며, 임상 및 기공 과정이 간단한 장점과 더불어 임플란트 보철의 유지 관리를 위해 필수적인 탈 부착(retrievability)이 가능하다. 본 증례에서는 완전 무치악 환자를 대상으로 상, 하악에 각각 9, 8개의 임플란트(US II, OSSTEM, Seoul, Korea)를 식립하고 나사 구멍이 순측으로 향하는 부위는 시멘트 유지형, 다른 부위는 나사-시멘트 유지형태를 사용하여 복합형태의 나사-시멘트 보철물(SCP: screw-cement prosthesis)을 제작하였으며 3년 간의 정기 검사에서 기능과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나사유지형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적합도와 캔틸레버가 지지골조직의 응력분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rew Retained Prosthesis Misfit & Cantilever on Stress Distribution in Bone Around the Implant)

  • 이재인;김태영;조혜원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9권3호
    • /
    • pp.224-235
    • /
    • 2013
  • 임플란트의 장기적인 성공을 위해 고정체의 형태, 외과적 술식, 골조직의 조건, 보철물 적합성, 주기적인 검사, 환자의 구강 위생 등에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많은 연구에서 임플란트 지지 보철물의 적합도에 따른 임플란트의 예후에 관해 보고되었다. 보철물이 수동 적합되어야 임플란트의 상부구조및 하부구조에 해로운 응력을 야기하지 않는다고 보고되고 있으나 현재의 임플란트 보철물의 제작과정으로 진정한 수동 적합을 얻는 수 없다고 인정된다. 임상과정과 기공과정을 포함하여 임플란트 치료의 전 과정에서 오차가 발생하며, 이는 보철물을 변형을 야기하고 이는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과 지대주 사이의 오차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오차는 보철물 장착 후 보철물의 파절, 나사의 헐거움(screw loosening), 골소실, 골유착 실패와 같은 문제를 야기한다. 이런 오차에 의한 문제점은 cantilever의 존재, 과도한 교합력이 존재할 경우 더욱 증가된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TI 임플란트를 하악골의 견치후방의 무치악부에 3개를 식립하고 4-unit 캔틸레버 고정성 국소의치를 다양한 위치의 $100{\mu}m$ gap을 생성한 후 제작하고 gap을 생성하지 않은 고정성 국소의치와 30 lb의 하중하에서 광탄성 응력분석을 시행하여 응력분포 양상과상대적인 응력의 크기를 비교분석하였다.

An evaluation of the stress effect of different occlusion concepts on hybrid abutment and implant supported monolithic zirconia fixed prosthesis: A finite element analysis

  • Yesilyurt, Nilgün Gulbahce;Tuncdemir, Ali Riza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13권4호
    • /
    • pp.216-225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anine guidance occlusion and group function occlusion on the degree of stress to the bone, implants, abutments, and crowns using finite element analysis (FEA).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included the implant-prosthesis system of a three-unit bridge made of monolithic zirconia and hybrid abutments. Three-dimensional (3D) models of a bone-level implant system and a titanium base abutment were created using the original implant components. Two titanium implants, measuring 4 × 11 mm each, were selected. The loads were applied in two oblique directions of 15° and 30° under two occlusal movement conditions. In the canine guidance condition, loads (100 N) were applied to the canine crown only. In the group function condition, loads were applied to all three teeth. In this loading, a force of 100 N was applied to the canine, and 200-N forces were applied to each premolar. The stress distribution among all the components of the implant-bridge system was assessed using ANSYS SpaceClaim 2020 R2 software and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Maximum stress was found in the group function occlusion. The maximum stress increased with an increase in the angle of occlusal force. CONCLUSION. The canine guidance occlusion with monolithic zirconia crown materials is promising for implant-supported prostheses in the canine and premolar areas.

다수의 임플란트발거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이 실패한 환자에서의 잔존 임플란트를 이용한 부분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증례 (Case report: Application of Implant 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due to Multiple Dental Implant Loss of the Fixed Implant Supported Prosthesis)

  • 강정경;남기훈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4-40
    • /
    • 2014
  • 부분 무치악을 수복하는 데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치료의 옵션으로는 전통적인 국소의치와 임플란트 지지-고정성 보철물 등이 있다. 하지만, 환자의 전신적 또는 구강의 상태(수술적인 술식이 제한되는 전신병력, 지지조직의 부족 그리고 골유착에 실패한 임플란트)와 치료비용에 대한 허용 정도에 따라 모든 옵션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가철성 국소의치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구강위생 관리 및 상,하악 악간관계의 부조화를 수정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기존 악궁 형태에서는 제한되는 국소의치 디자인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임플란트지지형 RPD(Implant 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가 새로운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ISRPD는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역학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전악의 임플란트지지형 고정성 보철이 제한되는 환자에서 보다 경제적이고 현실적인 보철적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RPD를 이용한 보철계획 수립시 전략적 위치에서의 임플란트의 사용은 고전적인 가철성 국소 의치에서보다 유지력과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구강위생관리 또한 용이하여 환자의 적응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양측 구치부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하악의 bar-type overdenture를 사용중이던 59세 남성환자에서 상악 #15i임플란트의 abutment screw fracture와 임플란트의 골유착 실패로 인한 다수 임플란트를 발거 후 남은 #15i,24i,25,26,i의 잔존 임플란트와 #23 자연치를 활용해 상악에 ISRPD를 적용한 경우이다. #23 surveyed crown, #24i=25i=26i surveyed bridge 및 #15i에 gold coping을 제작하여 국소의치의 지지와 유지,안정을 도모하였다.최종 보철물을 장착하고 2년간 주기적인 follow up 통해 예후를 관찰중이며 지대치로 사용한 임플란트에서 screw loosening이나 파절, 골흡수 등의 증상은 현재까지 관찰되지 않았다.

구치부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재료에 따른 생존율, 성공률 및 합병증에 대한 후향적 연구 (Retrospective study on survival, success rate and complication of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according to the materials in the posterior area)

  • 채현석;왕원곤;이정진;송광엽;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42-349
    • /
    • 2019
  • 목적: 이 연구의 목적은 구치부 영역에서 임플란트 지지 고정 보철물의 재료에 따른 생존율과 성공률을 후향적으로 조사하는 것이다. 또한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에서 발생하는 합병증의 양상을 관찰하고 실패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평가하는 것이다. 대상 및 방법: 2011년 1월부터 2018년 6월 사이에 전북대학교 치과병원 치과보철과에서 한 명의 보철전문의에 의해 구치부 임플란트 보철 수복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료기록을 통해 환자의 성별, 연령, 보철물의 재료, 위치, 유형 및 합병증을 조사하였다. 생존율 및 성공률 분석을 위해 Kaplan-Meier 분석법을 이용하였으며, 집단간 비교를 위해 Log-rank test를 사용하였다. 또한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을 이용하여 위험요소가 성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245명의 환자에서 364개의 임플란트 보철물이 관찰되었으며, 평균 추적관찰기간은 17.1개월이었다. 전체 임플란트 보철물의 3년, 5년 누적생존율은 각각 97.5%, 91.0%로 관찰되었으며, 총 5개의 임플란트 보철물이 실패하여 제거되었다. 임플란트 보철물의 3년, 5년 누적성공률은 각각 61.1%, 32.9%로 관찰되었으며, 재료, 성별, 연령, 보철물의 위치, 유형은 누적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 > .05). 합병증은 인접면 접촉 상실 (53건), 유지력 상실 (17건), 임플란트 주위 점막염 (12건), 저위교합 (4건) 등의 순으로 발생하였다. 결론: 구치부에서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높은 누적생존율을 고려할 때, 임플란트는 수복 재료와 상관없이 구치부에서 치아를 대체할 수 있는 신뢰할만한 치료방법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합병증이 빈번히 발생하기 때문에 정기적인 검사와 필요한 경우 수리 및 조정이 매우 중요하다.

Removable Partial Denture Using Anterior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for Edentulous Patients: A Case Report

  • Lee, You-Jin;Bae, Eun-Bin;Jeong, Chang-Mo;Lee, Jin-Ju;Kim, Ji-Young;Huh, Jung-Bo
    • Journal of Korean Dental Science
    • /
    • 제10권2호
    • /
    • pp.87-95
    • /
    • 2017
  • This case study was to report the possible increase in the denture retention and psychological relief using the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in a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 The implants were placed in the anterior portion of the mandible in a patient who had completely edentulous state following the extraction of residual abutment teeth, and consequently a distal extension removable partial denture was fabricated. The patient's adaptation and satisfaction to the new prosthesis was monitored and confirmed in terms of masticatory function and esthetics, by restoring the oral condition similar to initial status before the residual teeth extraction. After 6 months, radiographic examination confirmed that both the abutment teeth and the implants were stable and well maintained. Considering the relatively short clinical follow-up period, however, continuous long-term monitoring was required.

엇갈린 교합 환자의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과 Kennedy class IV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수복 증례 (Rehabilitation of a patient with crossed occlusion using mandibular implant-supported fixed and maxillary Kennedy class IV removable dental prostheses: A case report)

  • 강석형;한중석;김성훈;윤형인;여인성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5권12호
    • /
    • pp.842-849
    • /
    • 2017
  • The term, 'crossed occlusion' implies clinical situation in which the residual teeth in one arch have no contact with those in the antagonistic arch, resulting in the collapse of occlusal vertical dimension. The treatment goal of this pathologic condition is restoration of the collapsed vertical dimension and stabilization of abnormal mandibular position. Previously, konus removable prostheses or tooth supported overdentures were suggested to solve crossed occlusion. Nowadays, dental implants have been used for definitive support to solve this problem. In this case report, a 65 years old female patient had a crossed occlusion, in which the maxillary posterior residual teeth and mandibular anterior residual teeth cross. Interim removable and fixed dental prostheses were used to confirm the proper vertical and horizontal jaw relation. After that, the mandibular posterior edentulous region was restored with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Computer tomography guided implant surgery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the restoration-driven implant placement. The maxillary anterior edentulous region was restored with Kennedy class IV removable prosthesis, considering the patient's economic status. The patient's jaw position and prostheses have been well maintained at the follow-up after 6 months of definitive restoration. The antero-posterior crossed occlusion problems appeared to be effectively solved with the combination of removable in one arch and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es in the other.

  • PDF

Implant-supported fixed restoration of post-traumatic mandibular defect accompanied with skin grafting: A clinical report

  • Noh, Kwantae;Choi, Woo-Jin;Pae, Ahra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5권1호
    • /
    • pp.67-72
    • /
    • 2013
  • Traumatic defects are mostly accompanied by hard and soft tissue loss. This report describes the surgical and prosthetic treatment of a patient with post-traumatic mandibular defect. A split-thickness skin graft was performed prior to implant placement and prefabricated acrylic stent was placed to hold the graft in place. The esthetic and functional demands of the patient were fulfilled by implant-supported screw-retained fixed prosthesis using CAD-CAM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