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lant Treatment

검색결과 1,621건 처리시간 0.025초

불량한 식립 방향을 갖는 임플란트를 이용한 하악 Milled Bar 임플란트 피개의치수복 증례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using milled bar attachment on implants with unfavorable fixture angulation: A case report)

  • 서용호;전영찬;정창모;윤미정;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01-406
    • /
    • 2016
  • 임플란트 피개의치는 전통적인 총의치에 비해 높은 유지력 및 저작능력, 환자의 만족도를 보인다. 특히 골흡수가 심한 하악 무치악 환자의 치료에서는 우선되는 치료방법으로 고려된다. 임플란트 피개의치를 위한 attachment에는 임플란트간 연결된 bar type과 연결되어있지 않은 solitary type으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 임상에서 많이 사용하는 solitary type의 경우 임플란트간의 평행관계가 중요하며, 임플란트간의 평행관계가 불량한 경우 attachment의 마모 및 유지력 감소로 유지관리를 내원횟수가 증가할 수 있다. 본 증례는 평행하지 못한 두 개의 하악 임플란트 식립 환자에서 milled bar를 이용하여 제작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무치악 환자에서 로케이터 부착장치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증례 (Implant overdenture treatment using Locator attachment system on edentulous patient)

  • 김수엽;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0권2호
    • /
    • pp.176-183
    • /
    • 2014
  • 심하게 흡수된 치조제는 기능적인 하중을 견디기 어렵고 구강 조직의 유해 변화와 더불어 환자의 의치 적응을 어렵게 한다. 환자의 불편감을 해소하고 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가 치료 방법으로 선택될 수 있다. 로케이터 부착장치는 사용상의 편리성이 높으며 다양한 유지력을 갖는 남자부를 보유함으로써 임상에서 볼 형태 부착장치대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본 증례는 77세 여자환자로서 낮은 수직고경과 심한 치조제 흡수를 보이는 상하악 무치악 상태였다. 이에 하악에 4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상악은 총의치, 하악은 로케이터 부착장치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로 수복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토끼의 경골에서 RBM 표면처리 임플란트와 RBM 표면처리 후 Saline에 적신 임플란트의 제거회전력 및 표면분석 비교 (Comparison of removal torque of saline-soaking RBM implants and RBM implants in rabbit tibias)

  • 권재욱;조성암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1-7
    • /
    • 2018
  • 목적: RBM 표면처리한 티타늄 임플란트와 RBM 표면처리 후 saline에 적신 티타늄 임플란트에서 saline에 적신 경우 초기 골유착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회전력 및 표면분석을 통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대조군은 RBM 표면처리된 임플란트(이하 RBM)이고, 실험군은 RBM 표면처리 후 saline에 2주간 적신 임플란트(이하 RBM + Sal)이다. 토끼 10마리의 좌우측 경골에 각각 대조군 및 실험군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동시에 식립회전력(ITQ)을 측정한다. 10일 후 임플란트 식립부위를 노출시켜 제거회전력(RTQ)를 측정한다. 실험에 사용된 임플란트 시편의 표면분석을 위해 FE-SEM, EDS, 표면거칠기, Raman 분광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RBM 표면처리한 티타늄 임플란트와 RBM 표면처리 후 saline에 적신 티타늄 임플란트 사이에 식립회전력 및 제거회전력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RBM 표면처리 후 saline에 적신 티타늄 임플란트는 RBM 표면처리만 한 티타늄 임플란트보다 초기 골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상악 전치부 잔존 유치와 매복 견치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식립: 증례 보고 (IMMEDIATE IMPLANT PLACEMENT AFTER EXTRACTION OF RETAINED DECIDUOUS TEETH AND IMPACTED CANINES: REPORT OF A CASE)

  • 유지연;김여갑;이백수;권용대;최병준;김영란;백진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1권4호
    • /
    • pp.330-333
    • /
    • 2009
  • 저자들은 본 증례의 경우 치근이 흡수된 전치와 매복 견치의 발치 후 심한 치조골의 흡수와 연조직의 변화가 예상되는 것을 고려하여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 수술을 결정하였다. 초기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가능한 적은 골삭제, 보다 큰 직경과 치근형태의 임플란트를 선택하여 발치 후 즉시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장골에서 채취한 망상골로 골결손부를 채우고 부가적으로 상순 지지를 위해 흡수성 차폐막과 순측 골면에 onlay형태의 골이식술을 시행하여 자연스럽고 심미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실패한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을 제거 후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전환 치료한 증례 (A conversion to implant assis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in failed fixed implant prosthesis of mandible: A case report)

  • 진승리;정창모;윤미정;허중보;이현종;이소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2호
    • /
    • pp.161-168
    • /
    • 2020
  •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실패는 과도한 교합스트레스와 같은 생역학적인 요인과 세균 감염, 염증과 같은 생물학적인 요인으로 인하여 일어난다. 임플란트 합병증으로 인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고 악화되어 심한 골흡수가 일어난 임플란트는 제거되어야 하며, 제거 후 잔존 치아와 잔존 임플란트 및 잔존 치조제를 고려하여 새로운 치료를 계획해야 한다. 본 증례의 환자는 하악 무치악부에 약 10년 전 식립한 하악 고정성 임플란트 보철물 중 일부를 임플란트 주위염으로 인하여 제거하게 되었다. 추가 임플란트 재식립을 위한 잔존 치조골의 상태를 재평가 하고 소수의 임플란트를 추가 식립 후 임플란트 서베이드 크라운을 지대치로 하는 임플란트 융합 가철성 국소의치로 최종 치료하였다. 이를 통해 실패 이후 저작기능을 다시 회복하고 구강위생 관리에 유리한 조건으로 전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부가적인 유지구조를 가진 미니 임플란트의 디지털 수복 증례 (Mini-implant with additional retentive structure by using digital method)

  • 황수현;배은빈;조원탁;허중보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1호
    • /
    • pp.119-126
    • /
    • 2022
  • 하악 전치부와 같이 골 폭이 좁은 환자에서 미니 임플란트 사용은 기존의 직경 임플란트의 대안으로 보고된다. 그러나, 기존 일체형 미니 임플란트의 사용시 보철물 탈락과 시멘트 사용으로 인한 임플란트 주위염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이 보고되고 있다. 최근 미니 임플란트의 유지력 및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상부에 부가적인 유지구조를 가진 일체형 미니 임플란트가 소개되었다. 상부 탄성부를 스프레더로 벌려 줌으로써 지르코니아 보철물 내면의 결합구조와 결합하는 방식을 기반으로 한다. 이에 본 증례는 좁은 폭경의 하악 전치부에서 상부에 결합구조를 가진 일체형 미니 임플란트를 통하여 이러한 합병증을 줄이고자 하였으며 디지털 시스템을 이용하여 전반적인 치료기간을 단축하였다. 두명의 환자에서 유지기능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스러운 임상결과를 얻었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Reconstruction of Defect after Treatment of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is of the Jaw with Staged Iliac Bone Graft

  • Ahn, Kyo-Jin;Kim, Young-Kyun;Yun, Pil-Young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36권2호
    • /
    • pp.57-61
    • /
    • 2014
  • Bisphosphonate is used widely for osteoporosis treatment, but a rising concern is the risk of osteonecrosis after long-term bisphosphonate use. Such cases are increasing, suggesting a need for research to prevent and treat bisphosphonate-related osteonecrosis of jaws. A 63-year-old female took bisphosphonate (Fosamax$^{(R)}$) for four years for treatment of osteoporosis and stopped medication two months ago because of unhealed wound. She was treated with marginal mandibulectomy maintaining the inferior border, and a metal plate was placed to prevent mandible fracture. Four months after the mandibulectomy, mandible reconstruction surgery using iliac bone and allograft was done. Six months after reconstruction, implant placement and treatment with an overdenture was done without complications. This study presents a case with a successful result.

성인 구순구개열환자의 교정치료 및 관리 (Orthodontic treatment and management of adult patient with cleft lip and palate)

  • 김성식
    • 대한치과의사협회지
    • /
    • 제53권7호
    • /
    • pp.457-467
    • /
    • 2015
  • Patients with cleft lip and palate require interdisciplinary treatment to achieve successful rehabilitation. However, there are special difficulties in orthodontic treatment of adult cleft lip and palate patients: 1. Lack of Tissue, Bone, and Soft tissue; 2. Heavy Scar Tissue, Vestibule, and Palate; 3. Severe Anteroposterior discrepancy and Impaired Maxilla; 4. Distortion of Alveolar Ridge; 5. Abnormal Eruption Path and Malalignment of Tooth. Solving these problems, orthodontist should have differential diagnosis on extent of cleft site and residual deformities of adult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The tooth missing area in cleft site was commonly treated with a removable or fixed prosthesis, but this method is not stable to retain maxillary arch shape. To establish the more stable arch shape in cleft lip and palate, endosseous implants in the alveolar clefts with bone graft is helpful for management of adult cleft lip and palate patient.

마우스의 복벽에서 결합조직에 대한 금속 이식체의 생체적합성 비교 (Comparative Biocompatibility of Metal Implants in Connective Tissue of Abdominal Wall of the Mouse)

  • 김국렬;이민호;김병일;민병운;김명훈;최은상;조현욱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1호
    • /
    • pp.13-2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biocompatibility of commercial purity Ti, Ti-6AI-4V and Ti-6AI-7Nb alloy specimens with and without surface treatment in mouse abdominal connective tissue in vivo. Each metal was implanted into specific abdominal subdermal tissue site of female mouse. After 4 weeks, the implants were removed and abdominal tissues were fixed, dehydrated and embedded in glycol methacrylate resin. And the tissues were histologically prepared for microscopical evaluation. It was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connective tissue with fibrous capsule surrounding the implant. The fibrous tissue surrounding the implant was studied to determine the biocompatibility of implanted metals.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fibrous capsule formed around the implant was much thinner for the hydrogen peroxide added hydrochloric acid solution-treated specimen than for the others. The results of this evaluation indicate that modification of the surface properties of titanium and titanium alloy implants changes the biological properties in the abdominal connective tissue. In conclusion,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the proper surface treatment performed in the study is effective for the improvement of biocompatibility.

측방 접근법을 이용하여 상악동 거상술을 시행한 부위에 식립한 임플란트의 생존율에 대한 후향적 연구 (Survival rate of implant placement in the maxilla treated with sinus elevation by the lateral approach : A retrospective study)

  • 이은선;안용범;이원진;김형섭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8권4호
    • /
    • pp.589-594
    • /
    • 2008
  • Purpose: Osseointegration of implants in patients with pneumatized maxillary sinuses is difficult to achieve due to the deficiency of available bone in the posterior maxilla after loss of teeth. Maxillary sinus elevation is a method to overcome this problem.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implant survival rat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ant survival in patients with sinus elevation by the lateral approach.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48 patients were consecutively treated with sinus elevation by the lateral approach between February 2003 & August 2006 at the dental hospital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 total of 113 implants were placed. The mean healing period was 7.1 months and implants were placed after a mean period of 5.6 months. The mean observation period was 21.8 months. Results: Out of the 113 implants placed, fifteen failed, resulting in a survival rate of 86.7%, 18 cases of sinus membrane perforation were observed out of 65 sinuses treated. 33 implants were placed in a perforated site and 10 failed, representing a 60.7% implant survival. 80 implants were placed in a nonperforated site and 5 failed, representing a 92.6% implant survival. Conclusions: Implant placement with sinus elevation is an acceptable treatment for short term results. Sinus membrane perforation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however, may have an effect on implant fail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