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ersonalization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6초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상담자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tress and Psychological-exhaustion of Counselors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 선국진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57-164
    • /
    • 2013
  •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상담자들의 직무스트레스가 그들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하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상담자들의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심리적 소진의 원인을 규명하고, 직무스트레스를 완화시켜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상담자들에 대한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의 방안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분석결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상담자들의 직무스트레스는 심리적 소진의 정서적 고갈, 비인격화, 자아성취감 저하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반영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상담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심리적 소진을 예방하기 위한 현실적인 방안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학습조직활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상사 신뢰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Learning organization activities on the Job burnout -Trustworthiness as a Moderating variable-)

  • 김진욱;장영철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4호
    • /
    • pp.185-211
    • /
    • 2016
  • 본 논문은 학습조직활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상사의 신뢰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 독립변수인 학습조직활동 중 연구대화 활성화와 팀학습 조직화가 직무소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시말해 질문하고, 피드백을 주며 다양한 학습방법을 실험하는 문화를 조성하는 조직의 노력과 팀의 효과적인 활용을 강화할 수 있는 협력적인 학습이 직무소진의 핵심적 차원으로 간주되는 정서적 탈진을 낮춰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정서적 탈진으로 인하여 자신의 고객, 동료, 직무 등에 대하여 부정적이고 냉소적이며, 형식적으로 처리하여 더 이상의 정서적 탈진을 막으려고 하는 비인격화도 낮춰주고 있다. 그리고 연구대화 활성화와 팀 학습 조직화은 직무상에서 성취도 부족으로 생기는 자신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인 개인성취감감소 또한 낮춰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사 신뢰성의 조절효과 분석의 결과, 독립변수 가운데 전략적 학습리더십과 직무소진 중 비인격화와 정서적탈진과의 영향관계에서 신뢰성(정직성, 호의, 능력)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결국 상사가 가지고 있는 신뢰성은 리더들이 변화를 주도하고 새로운 방향으로 이끌어 가기 위한 학습이 조직구성원들의 정서적탈진과 비인격화를 완화시키는데 조절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AI(Appreciative Inquiry)와 같이 긍정적 탐구를 위한 질문법과 강점을 발견하기 위한 피드백분석과 같은 학습차원에서 의사소통이 직무소진을 완화하는데 매우 중요하다는 점과 리더의 개인의 역량으로 볼 수 있는 전략적 학습리더십이 보다 더 큰 영향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상사의 신뢰성이 매우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다.

  • PDF

정보화사회와 프라이버시권리의 법적 보호 (Legal Protection of Information Society and Privacy Right)

  • 차맹진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1017-1030
    • /
    • 1990
  • 우리가 살고 있는 情報化社會는 非人間化와 프라이버시의 危機를 맞게 된다. 기술발전과 컴퓨터 使用의 增加는 個人情報의 大量 累積과 파일化를 가져오게 되고, 이것은 또한 여러 가지 制度上 未備에 따른 情報 누설 등 私生活의 危險을 초래하게 되었다. 이를 爲한 保護立法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에 앞서 프라이버시의 개념과 法的 性質 등 문제가 解明되어야 한다.

  • PDF

소방공무원이 지각한 외상경험이 직무소진과 우울, 불안 및 대인관계에 대한 차이 비교 연구 (A Study on Differences of the Effects of Firefighter's Traumatic Experiences on Their Burnout,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Relationships)

  • 이서빈;변상해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21-133
    • /
    • 2018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firefighter's traumatic experiences and to examine and compare the differences of how those factors contribute to firefighter's burnout,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imperative for firefighters to have mindfulness, which brings mental and emotional healing, for their job-satisfaction.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search model of this stud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to firefighter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for two weeks; from October 19thto November 3rd, 2017. Out of 180 questionnaires, 170were retrieved. Total number of 160 questionnaires are empirically examined this study, excluding10bad survey responses. The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by gender among traumatic experienced firefighters, and a meaningful difference was found from perceived intrusiveness, a sub factor to traumatic experiences. Male firefighters showed higher mean than that of female firefighters in perceived angle, evasion and intrusiveness. Second, the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by gender in firefighter's burnout, but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Female firefighters showed higher mean in emotional exhaustion, impersonalization and in decrease in self-achievements. Third, the t-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exist differences by gender in firefighter's depression and relationships, but no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clinical dental hygienist emotional intelligence on burnout)

  • 김영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410-416
    • /
    • 2018
  • 본 연구는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이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임상치과위생사의 인적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고객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 치위생 조직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다. 연구기간은 2017년 2월 6일부터 5월 31일까지 전라북도에 근무하는 임상치과위생사 394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은 소진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623, p<.001)를 나타났으며,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소진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진의 하위영역인 정서적 고갈(r=-.316, p<.001), 비인격화(r=-.474, p<.001), 성취감 저하(r=.639, p<.001)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났다. 임상치과위생사의 소진에 관련요인으로 자신의 감성이해, 타인의 감성이해, 감성활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감성지능이 소진에 연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임상치과위생사로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감성지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중재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다. 앞으로 임상치과위생사의 감성지능을 높여 소진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율적인 전략 구축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