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act Tester

검색결과 118건 처리시간 0.031초

ESR한 M2강의 열처리에 따른 미세조직 및 물성 변화 (Variation of Microstructure and Property of the Electro-slag Remelted M2 Steel with Heat Treatment Conditions)

  • 이기종;김문현;이정근;주대헌;김명호
    • 한국주조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281-287
    • /
    • 2002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microstructure and property of the Electro-slag Remelted M2 steel, microstructure observation, hardness, and bending test were performed by using optical microscope. SEM/EDS, rockwell hardness tester, charpy impact tester and bending tester, respectively. It wa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inclusions and content of gas elements(S, O, N) in M2 steel fabricated by ESR process decreased markedly compared to those of AIM. It seems to be due to refining effect of ESR process. The volume fraction of carbides in quenched and tempered specimens after austenitizing at 1150$^{\circ}C$ and 1240$^{\circ}C$ was measured. The volume fraction of grain boundary carbides were found to be similar for both specimens. However, The volume fraction of carbides in grain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austenitizing temperature. When specimen was austenitized at 1150$^{\circ}C$, grain boundary carbides showed needle like morphology. But, the carbides were broken with an increase of austenitizing temperature. The specimen austenitized at 1240$^{\circ}C$ showed higher hardness and lower bending strength compared to that of 1150$^{\circ}C$. As expected, toughness increased with sub-zero quenching treatment.

주파수 응답을 이용한 CF/Epoxy 복합적층판의 낙추충격 특성평가 (Characteristic Analysis of Falling Weight Impact Response in CF/Epoxy Composite Plates Using Frequency Responses)

  • 임광희;박노식;김영남;김선규;양인영
    • Composites Research
    • /
    • 제16권2호
    • /
    • pp.9-17
    • /
    • 2003
  • 낙추충격 시험시스템을 제작하여 CFRP적층판의 충격흡수특성 및 충격강도가 평가가 가능하였다. 충격에너지 대략 7J이상에서는 동일한 T300 섬유와 적층배향으로 구성된 직교이방성 시험편이 의사등방성(quasi-isotropic)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T700 섬유의 경우에는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동일한 T300섬유와 적층수로 구성된 시험편이 T700 섬유로 된 시험편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T700섬유인 의사등방성 시험편의 경우에는 크게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초음파 C-스캐너를 이용하여 내부손상영역을 관찰하여 시험편의 손상면적과 흡수에너지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으며, 충격손상유무에 따라 박리면적과 주파수응답계수를 평가하였다 주파수응답계수와 박리면적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충격손상으로 인한. 손상의 유무 및 정도를 주파수응답계수로 평가가 가능하였다.

나일론66/실리케이트 복합체의 충격특성 개선 연구 (Improvement research for impact strength of nylon66/silicate composites)

  • 이봄이;김연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7호
    • /
    • pp.4653-4658
    • /
    • 2014
  • 나일론66/실리케이트 복합체를 자동차 부품 소재로 적용하기 위해서 충격특성 개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이축압출기(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나일론66/실리케이트 복합체를 실란계열의 ${\gamma}$-APS로 처리한 실리케이트 사용과 MAH가 그라프트된 옥텐계 ${\alpha}$ 올레핀을 첨가한 경우로 하여 제조하였다. 실란처리된 실리케이트의 화학구조는 적외선 분광기(FT-I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나일론66/실리케이트 복합체의 열적특성, 실리케이트 삽입여부 및 아이조드 충격강도를 DSC, TGA, XRD, 그리고 Izod 시험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란계열로 처리된 실리케이트의 화학반응여부는 표면 수산기 피이크의 감소로부터 확인하였다. 복합체의 분해온도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결정화온도와 결정화도는 약간 증가하였다. 이는 사용한 첨가제들이 나일론 66에 불균일 핵제로의 역할을 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나일론66/실리케이트 복합체의 아이조드 충격특성 측정결과 실란으로 처리된 실리케이트를 사용한 경우 약 24% 정도의 충격강도 개선효과를 보여주었다.

측방 낙상시의 충격 각도가 대퇴골 근위부의 변형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mpact Angle on Deformation in Proximal Femur during Slide Falling)

  • 김병수;배태수;김정규;최귀원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33-239
    • /
    • 2003
  • 측방 낙상에 관계된 상해는 노인들에 있어서 가장 치명적이고 빈번한 의료 문제를 야기한다. 측방 낙상에 의해 발생하는 심각한 결과 중 하나인, 고관절 골절은 넘어진 사람 중 약 1%에서만 발생하지만 고관절 골절은 신체장애, 사망 및 이에 관련된 의료비용의 상승 등을 초래한다. 본 연구에서는 측방 낙상시 고관절 골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충돌 단계에서의 위험요소를 하중각도로 가정하여 이 요소에 대한 영향과 직립시와 비교하여 상대적인 위험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실험 조건은 이전 연구자의 자료를 토대로 모사골반을 구성하였고, 이렇게 구성된 모사골반을 진자형 충격 시험기에 고정시키고 충격각도(0$^{\circ}$, 15$^{\circ}$, 30$^{\circ}$)를 변화시켜가며 대퇴골의 동적 거동을 조사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하중각도의 변화가 대퇴골 근위부에서의 변형에 영향을 주며, 다른 부위에 비해 대퇴골 경부에 상대적으로 큰 변형이 생겨 골절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낮은 충격속도에서도 직립 상태에 비해 큰 변형을 보였으며, 변형 분포의 차이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변형 크기의 차이뿐만 아니라 이러한 변형 분포의 차이도 고관절 골절 기전에 영향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니켈도금된 탄소섬유 강화 에폭시 수지 복합재료의 충격 특성 (Impact Behaviors of Ni-plated Carbon Fibers-reinforced Epoxy Matrix Composites)

  • 박수진;김병주;이종문
    • 폴리머
    • /
    • 제27권1호
    • /
    • pp.52-60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탄소섬유 강화 에폭시 수지 복합재료의 충격 특성 향상을 위해 탄소섬유표면에 전해 및 무전해 니켈도금처리를 하였으며, 이때 각각의 니켈도금법에 따른 충격 특성을 비교 고찰하였다. 도금된 탄소섬유의 표면 특성은 XRD, SEM, 그리고 접촉각 측정을 통해 관찰하였고,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충격 특성은 Izod형의 충격시험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 무전해 니켈도금층에는 전해도금층과는 달리 Ni-P 합금이 포함된 것이 XRD를 통하여 확인되었으며, 전해 니켈도금된 탄소섬유가 무전해 니켈도금된 것보다 표면자유에너지가 큰 것이 접촉각 측정을 통해 관찰되었다. 한편, 무전해 니켈도금된 탄소섬유 강화 에폭시 수지 복합재료는 충격강도가 크게 증가하였으나, 전해 니켈도금된 복합재료의 경우는 충격강도가 증가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각각의 도금법에 따른 젖음성의 차이가 탄소섬유 강화 복합재료의 연성을 변화시켜 충격강도 증가에 주요하게 작용되었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표면 경화 처리된 Al, Ti의 고속 충격 저항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sistance of surface hardening treated Aluminum, Titanium alloy under the high velocity impact)

  • 손세원;김희재;홍성희;김영태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2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852-855
    • /
    • 2002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racture behaviors(penetration modes) and resistance to penetration during ballistic impact of surface hardening treated Aluminum, Titanium alloy laminates, ballistic tests were conducted. In this paper, Anodized Al 5083-H131 alloy laminates and nitrified Ti (Gr.2) alloy laminates were used to achieve higher surface hardness. Surface hardness test were conducted using a Micro victor's hardness tester and thickness of surface hardening treated specimens was measured by video microscope. Resistance to penetration is determined by the protection ballistic limit($V_50$), a statistical velocity with 50% probability far complete penetration. Fracture behaviors and ballistic tolerance, described by penetration modes, are respectfully observed at and above ballistic limit velocities, as a result of $V_50$ test and Projectile Through Plates (PTP) test methods. PTP tests were conducted with $0^{\circ}$ obliquity at room temperature using 5.56mm ball projectile. $V_50$ tests with $0^{\circ}$ obliquity at room temperature were conducted with projectiles that were able to achieve near or complete penetration during PTP tests.

  • PDF

PVD처리한 티타늄 합금의 고속충격 거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gh velocity impact behavior of titanium alloy by PVD method)

  • 손세원;이두성;홍성희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A
    • /
    • pp.567-572
    • /
    • 2001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fracture behaviors(penetration modes) and resistance to penetration during ballistic impact of Titanium alloy laminates and nitrified Titanium alloy laminates which were treated by PVD(Physical Vapor Deposition) method, ballistic tests were conducted. Evaporation, sputtering, and ion plating are three kinds of PVD method. In this research, Ion plating was used to achieve higher surface hardness and surface hardness test were conducted using a Micro vicker's hardness tester. Resistance to penetration is determined by the protection ballistic limit($V_{50}$), a statistical velocity with 50% probability for complete penetration. Fracture behaviors and ballistic tolerance, described by penetration modes, are respectfully observed at and above ballistic limit velocities, as a result of $V_{50}$ test and Projectile Through Plates (PTP) test methods. PTP tests were conducted with $0^{\circ}$ obliquity at room temperature using 5.56mm ball projectile. $V_{50}$ test with $0^{\circ}$ obliquity at room temperature were conducted with projectiles that were able to achieve near or complete penetration during PTP tests. Surface hardness, resistance to penetration, and penetration modes of Titanium alloy laminates are compared to those of nitrified Titanium alloy laminates.

  • PDF

Mechanical Properties and Thermal Stability of Waste PVC/HDPE Blend Prepared by Twin-screw Extruder

  • Lee, Rami;Park, Se-Ho;Baek, Jong-sung;Kye, Hyoungsan;Jhee, Kwang-Hwan;Bang, Daesuk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54권1호
    • /
    • pp.7-13
    • /
    • 2019
  • Recycling of waste polyvinyl chloride plastics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due to environmental problems, but the poor mechanical properties, low thermal stability, frequent breakage of strands, and melt cracking of the waste plastics have limited their widespread use.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of waste PVC (W-PVC), recycled PVC powder blend was prepared by adding high-density polyethylene (HDPE) and ethylene vinyl acetate (EVA) as a heat stabilizer and compatibilizer, respectively. An intermeshing 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 was used to prepare the blen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blend were analyzed by SEM and TGA, and by using a UTM and Izod impact tester. The impact strength was improved as the EVA content increased for the W-PVC/HDPE (80/20 wt%) blend. As the HDPE and EVA contents increased in the W-PVC/HDPE/EVA blend, the impact strength increased. SEM observations also revealed the improved interfacial adhesion for the EVA-containing blend.

H13 강의 템퍼링 조건에 따른 템퍼링 거동 및 기계적 물성 효과 (Effect of tempering conditions on the tempering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tempered H13 steel)

  • 권기훈;최병호;손윤호;이영국;문경일
    • 한국표면공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05-114
    • /
    • 2024
  • Tempering behavior and mechanical properties in AISI H13 steel, quenched and tempered from 300 ℃ to 700 ℃ for different tempering time (1, 2, 5, 10, 20 hr) were quantitatively investigat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x-ray diffractometer (XRD), impact test machine, rockwell apparatus, ball-on-disk tester.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tempering time is 2 hours, the hardness increases slightly as the tempering temperature increases, but decreases rapidly when the tempering temperature exceeds 500 ℃, while the impact energy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tempering temperature. Friction tests were conducted in dry condition with a load of 30 N, and the friction coefficient and wear rate according to tempering conditions were measured to prove the correlation with hardness and microstructure. In addition, primary tempering from 300 ℃ to 700 ℃ was performed at various times to establish a kinetic model to predict hardness under specific tempering conditions.

고분자 압전센서 신호를 이용한 스마트 복합적층판의 충격 손상 규명 (Identification of Impact Damage in Smart Composite Laminates Using PVDF Sensor Signals)

  • 이홍영;김인걸;박찬익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32권7호
    • /
    • pp.51-59
    • /
    • 2004
  • 저속충격에 의한 복합재의 파손 모드를 규명하기 위하여 PVDF 센서를 이용한 신호취득 방법과 측정된 PVDF 센서 신호를 시간-주파수 분석법 (time-frequency analysis)인 국소 퓨 리에 변환 및 웨이블렛 변환을 적용하여 분석할 수 있는 실험적 전차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고분자 암전센서를 이용하여 저속충격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충격손상 형태 모재균열, 층간분리, 섬유파단에 의한 응력파 측정 가능성을 고찰하기 위하여 일련의 저속충격 시험을 수행하였다. 충격 시험 후, 저속 충격을 받은 적층판에 대하여 C-scan 과 단면 검사를 통하여 센서 신호, 손상 모드 및 크기에 대한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센서신호의 취득과 신호분석을 통하여 저속충격의 발생/진행과정을 알 수 있는 많은 중요한 정보가 PVDF 센서신호에도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PVDF 센서 신호를 주의 깊게 분석함으로써 저속 충격에 의한 복합재료의 손상 모드 규명이 가능하며 저속충격 위협에 대한 복합재 구조물의 건전성 모니터링에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