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unologic activity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3초

초유에 함유된 성장인자와 기능: 총설 (Growth Factors and Their Function in Colostrum: A Review)

  • 렌친핸드;손지윤;남명수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1호
    • /
    • pp.1-7
    • /
    • 2016
  • 젖소 초유에는 성장인자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데, 상처 치유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초유의 생리활성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Tyrosine kinase receptor의 활성을 유도하는 성장인자가 특이적으로 관여하여 세포의 분화, 면역기능, 신경기능 등 세포간 상호작용에 관여하는 EGFR(상피증식인자 수용체)와 FGFR(섬유아세포 증식인자)가 있다. 또한 VEGFR (혈관내피 증식인자)와 PDGF(혈소판유래 증식인자)도 존재한다. 조직회복을 위한 각질세포 분화와 세포의 이행에 성장인자가 상승효과를 나타내었고, 초유 또는 초유에 포함된 성장인자 peptide들은 장관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으므로 치료제로 이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Functions of Metallothionein Generating Interleukin-10-Producing Regulatory $CD4^{+}T$ Cells Potentiate Suppression of Collagen-Induced Arthritis

  • Huh, Sung-Jin;Lee, Kyu-Heon;Yun, Hye-Sun;Paik, Doo-Jin;Kim, Jung-Mogg;Youn, Jee-Hee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7권2호
    • /
    • pp.348-358
    • /
    • 2007
  • Metallothionein, a cysteine-rich stress response protein that is naturally induced by a variety of immunologic stressors, has been shown to suppress autoimmune disorders through mechanisms not yet fully defined.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underlying mechanisms by which metallothionein might mediate such regulation of autoimmunity. $Na\ddot{i}ve\;CD4^+$ T cells from metallothionein-deficient mice differentiated to produce significantly less IL-10, $TGF-{\gamma}$, and repressor of GATA, but more $IFN-{\gamma}$ and T-bet, when compared with those from wild-type mice. The levels of IL-4 and GATA-3 production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of mice. Conversely, treatment with exogenous metallothionein during the priming phase drove $na\ddot{i}ve$ wild-type $CD4^+\;T$ cells to differentiate into cells producing more IL-10 and $TGF-{\beta}$, but less $IFN-{\gamma}$ than untreated cells. Metallothionein-primed cells were hyporesponsive to restimulation, and suppressive to T cell proliferation in an IL-10-dependent manner. Lymphocytes from metallothionein-deficient mice displayed significantly elevated levels of AP-1 and JNK activities in response to stimulation compared with those from wild-type controls. Importantly, transgenic mice overexpressing metallothionein exhibited significantly reduced susceptibility to collagen-induced arthritis and enhanced IL-10 level in the serum, relative to their nontransgenic littermates.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metallothionein is able to promote the generation of IL-10-and $TGF-{\beta}$-producing type 1 regulatory T-like cells by downregulating JNK-dependent AP-1 activity. Thus, metallothionei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regulation of Th1-dependent autoimmune arthritis, and may represent both a potential target for therapeutic manipulation and a critical element in the diagnostic assessment of disease potential.

황기 추출물이 5-Fluorouracil을 투여한 생쥐의 골수억제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Extract against Improvement of Myelosup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5-Fluorouracil Treated Mice)

  • 권창현;유화승;방선휘;이영민;이연월;손창규;조종관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304-320
    • /
    • 2007
  • 목적 : 황기추출물이 생쥐의 5-FU로 유발된 골수억제와 삶의 질 저하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 골수억제에 미치는 영향이 평가를 위해 Complete Blood Count, Histological Analysis of BM, Cell Colony Forming Assay for Hematopoietic Progenitor를 시행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Swimming Test, Survival Rate, Nitric Oxide (NO) Assay, $^{51}Cr$ Release Assay in NK Cell, mRNA Expressions of $IL-1{\beta}$, IL-2, IL-4, IL-6, IL-10, $TNF-{\alpha}$, $IFN-{\gamma}$, $TGF-{\beta}$ and GM-CSF in Spleen Cells를 시행하였다. 결과 : 황기추출물을 골수억제를 호전시켜 말초혈액수치를 회복시키고, 골수파괴를 보호하는 효과를 보이며, 대조군에 비해 혈구생성을 촉진시키며, 대조군에 비해 생존율과 수영시간을 증가시키며, 대식세포와 자연살상세포의 활동성을 증가시키며, 종양면역과 관련된 싸이토카인(IL-2, IL-6, $IFN-{\gamma}$)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결론 : 5-FU로 유발된 골수억제와 삶의 질 저하의 개선에 미치는 황기추출물의 유용성이 기대되며 향후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기미생료사물탕의 항염증효과와 지양고의 아토피피부염 손상 및 지양 효과에 미치는 영향 (Anti-inflammatory action by Gamisangryosamul-tang and The effect of Ziyang-Go on atopic dermatitis-like lesion and pruritus in NC/Nga mice)

  • 김정진;양성완;손낙원;안규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28-435
    • /
    • 2003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examine an anti-inflammatory effects of Gamisangryosamul-Tang(GSS) and anti-pruritus effects of Ziyang-Go(Salve). This study was processed by three experiments; Experiment 1: Inhibitory activity of GSS extract on the degranulation of mast cell and histamine release in plasma induced by compound 48/80 i.p, injection after the pretreatment of GSS extract i.p, injection in Sprague-Dawley rats, Experiment 2: Anti-inflammatory effect of GSS extract on macropharge raw 264,7 cells treated by LPS 250 ppm (before 2 hours). Experiment 3: Measurement of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and atopic dermatitis using NC/Nga mice, GSS extract inhibited histamine release by 70% compared to compound 48/80 treated control group and histologically significantly reduced (P<0,01) the degranulation of mast cell in SD rats. In GSS extract treated group, the expression of TNF-α in macropharge cell showed the remarkable inhibitory effect about 62% (P<0,01) compared to LPS treated control group. The expression of IL-6 appeared more effective by 46% than the LPS treated control group and by 6% compared to hydrocortison treated group, Comparing with steroid (0.05% prednisolon) ointment, Ziyan-Go treated group showed the significant(30%) recovery on skin response index in atopic dermatis like anaphylaxis mice(NC/Nga), Finally, in scratching behavioral tests of NC/Nga mice for three weeks, Ziyang-Go treated group significantly (P<0.05) suppressed the pruritus on the face, neck, ears and dorsal skin than inbred NC/Nga mice. However, the change of IgE and IFN-γ from the spleen cell of NC/Nga mi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oral intake of GSS extract group and of saline intaked control group. Summary and Conclusion: This study demons trates that Ziyang-go have the equal anti-pruritus effect to steroid ointment and GSS extract have the notable immunologic activity on inflammatory in vivo and in vitro model. Advanced experiment of this study will be required for more reliable information abou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lymphokine (i.e. IgE) and the anti-allergic effects of GSS.

황기 지상부 다당체의 면역 및 백신보조 효과 (Adjuvant Effect of Polysaccharides from Aboveground Par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 양수진;이시영;이한나;박영철;최선강;유창연;정일민;임정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08-419
    • /
    • 2016
  • Background: In recent years, adjuvants have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owing to the development of purified subunit and synthetic vaccines which are poor immunogens and require additional adjuvants to evoke an immune response. Therefore, immunologic adjuvants have been developed and tested. Plant polysaccharides have been recognized as effective biological response modifiers with low toxicity. Methods and Results: In this study, the polysaccharide from the aboveground part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containing immunomodulating arabino-3,6-galactan was evaluated for its hemolytic activity and adjuvant potential in the specific cellular and humoral immune responses to ovalbumin. The polysaccharide from the aboveground part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was co-immunized with the purified Vi capsular polysaccharide of Salmonella typhi vaccine in mice. The polysaccharide from the aboveground part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did not induce any hemolytic activity or side effects at doses up to $500{\mu}g/m{\ell}$. The concanavalin A-, lipopolysaccharide-, and ovalbumin-induced splenocyte proliferation and serum ovalbumin-specific IgG, IgG1 and IgG2b antibody titers in immunized mice were significantly enhanced by AMA. Pharmacological data revealed that the polysaccharide from the aboveground part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increased antigen-specific antibody levels in immunized mice. The polysaccharide from the aboveground part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adjuvanted purified Vi capsular polysaccharide of Salmonella typhi vaccine improved the proliferation of splenocytes and macrophages as well as stimulated cytokine produc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olysaccharide from the aboveground part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adjuvanted vaccines enhanced humoral and cellular immunity and that the polysaccharide from the aboveground part of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is a safe and efficacious adjuvant candidate suitable for use in prophylactic and therapeutic vaccines.

청각과 김에서 추출한 당단백질의 Sarcoma-180에 대한 항암효과 및 면역활성 (Antitumor Effect and Immunology Activity of Seaweeds toward Sarcoma-180)

  • 조경자;이영숙;류병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345-352
    • /
    • 1990
  • 해조류 중 청각과 김에서 당단백질을 추출하여 화학성분의 조성을 규명하고 sarcoma-180 cell을 이용하여 항암 및 면역활성을 검토하였다. 해조류에서 추출한 당단백질 중 당의 함량은 청각과 김에서 각각 $62.26\%$$65.78\%$이였고 이를 구성하는 단당류는 fructose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단백질의 함량은 청각 $6.07\%$, 김은 $2.46\%$이였으며, 이를 구성하는 주요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glycine 및 cysteine이였다. 항암 효과중 고형암 성장 저지 효과는 청각의 경우 50mg/kg을 투석 하였을때 $53.30\%$로 가장 높은 항암효과를 나타내었고, 수명 연장 효과는 김의 50mg/kg인 경우가 $17.35\%$로 가장 높은 수명 연장율을 보였다.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중 백혈구수는 청각의 경우가 $65.11\%$로 최고로 증가하였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 복강 세포수도 대조군에 비해 시료투여군이 현저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면역 관련 장기의 무게도 시료투여에 의하여 증가함을 볼 수 있었다. 혈액의 생화학적 성분분석은 대조군과 약물 투여군이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는 정상적인 마우스에서는 생체의 항상성유지 기능을 초원하지 않고 어떤 이상 반응도 보이지 않았다.

  • PDF

새우 껍질에서 추출한 키토산의 항암 및 면역활성 (Antitumor and Immunologic Activity of Chitosan Extracted from Shell of Shrimp)

  • 류병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4-162
    • /
    • 1992
  • 수산물 폐기물을 이용하기 위하여 대롱 새우껍질에서 추출하여 만든 키토산을 마우스에 이식한 sarcoma 180을 이용하여 in vivo와 in vitro에서 항암 효과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키토산의 sarcoma-180에 대한 고형암 성장 저지율을 40mg/kg투여시 63.84%의 저지율을 나타내었다. 수명 연장효과는 대조군에 비하여 키토산을 40mg/kg 투여하였을 때 26.84%로 그다지 높지 않았다. In vivo에서의 항암효과를 근거로 하여 in vitro에서는 sarco-ma-180에 대한 직접적인 세포의 독성 작용은 거의 없었다. 키토산은 30mg/kg과 40mg/kg을 투여시 혈중 백혈구수와 총복강세포수가 대조군에 비하여 다소 증가 하였고 장기인 간, 비장 및 흉선의 무게도 투여한 용량에 따라 증가하는 용량 의존성 반응을 보였다. 항체 유도염증 반응인 항체매개형 과민반응과 지연형 과민반응은 족척의 두께가 키토산에 의해 거의 정상 수준까지 회복되었다. Macrophage의 식작용에 미치는 영향은 phagocytic index 와 corrected phagocytic index에서 거의 차이가 없었고, 용혈성 반응 세포수(plaque forming cell, PFC)는 대조군에 비하여 PFC/$10^{7}$ spleen의 경우 18.88%와 31.83%로 다소 증가하였다.

  • PDF

Cromakalim이 해명의 과민반응 매개체 유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rormakalim on the Release of Mediators in Hypersensitivity of Guinea pig)

  • 노재열;김경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263-274
    • /
    • 1993
  • $K^+$통로는 기도 평활근 세포에 존재하며 이들 통로가 활성화되면 평활근의 과분극의 결과 이완작용이 나타난다. $K^+$통로의 이런 효과는 과민반응과 천식 치료에 응용될 수 있으므로 우리는 $K^+$통로 개방제인 cromakalim (BRL34915, CK)이 $IgG_1$ 항체로 감작시킨 기도 및 폐조직으로 부터 유리되는 매개체 유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피동적으로 감작된 두 조직은 $2{\times}10^{-6}\;M$의 CK로 30분동안 superfusion시킨 후 CK와 항원 (Ox-HSA) 0.1 mg/ml로 자극하였다. 또한 비만세포를 이용하여 CK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해명 폐조직 비만세포는 효소에 의한 digestion method (monodispersed; 미분리 정제), count current elutriation에 의한 방법(partially purified; 부분분리정제), 그리고 discontinuous Percoll방법(highly purified; 순수분리정제)에 의해 순수 분리되었다. CK로 전처치한후, 피동적으로 감작된 비만세포는 OA와 CaI의 여러 농도에 의해 자극되었다. 유리된 Hist은 spectrophotofluorometry에 의해, LT는 면역방사법에 의해 측정되었다. CK 전처치는 $IgG_1$ 감작후 항원에 의해 자극된 기도 조직에서 Hist 유리량을 35%까지, LT 유리량은 40%까지 감소시켰으나 기도 평활근 수축력에는 반응을 나타내지 못하였다. 항원 유도 폐조직에 있어서 CK전처치는 Hist유리량을 25%까지 감소시켰으나 LT 유리에는 미약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해명의 미분리정제, 부분분리정제, 그리고 순수 분리 정제된 비만세포로부터 Hist과 LT은 면역자극(OA)이나 비면역자극(CaI)에 의해 농도 의존적으로 유리되었다. 비만세포에서 유리된 LT는 5-lipoxygenase억제제인 A64077에 의해서 억제됨이 확인되었다. CK전처치는 OA유도 및 CaI유도 해명 폐조직 비만세포에서 Hist과 LT 유리량을 20%까지 감소시켰다. $IgG_1$ 감작후 Ox-HSA유도 기도 평활근 조직이나 혹은 OA유도 및 CaI유도 비만세포에서 Hist과 LT유리에 미치는 CK의 억제효과는 TEA와 GBC에 의해 완전히 봉쇄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폐조직 비만세포는 LT를 유리할 수 있는 세포로 간주되며, 기도 평활근 이완제로 알려져 있는 CK은 특수 항원 유도 기도 평활근조직에서 매개체 유리를 부분적으로 억제하며, CK은 또한 OA유도 및 CaI로 유도된 순수분리 정제된 비만세포에서 매개체 유리를 부분적으로 억제하는 것으로 보아 비만세포가 활성화시 야기되는 여러 생화학적 현상중에서 미약하나마 $K{^+}$통로가 관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골수생검 양성인 속립성 결핵의 고찰 (Clinical and Immunologic Features of Miliary Tuberculosis with Positive Bone Marrow Study)

  • 송광선;용석중;신계철;이원연;류정선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1호
    • /
    • pp.22-29
    • /
    • 1996
  • 연구배경: 속립성 결핵환자에서 말초혈액의 변화는 골수생검상 결핵성 병변을 보인 군에서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고, 폐결핵보다 속립성 결핵에서 세포성 면역의 변화가 심한 것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방법: 대상은 1990년에서 1994년 사이에 원주의과 대학부속 원주기독병원에 내원하여 속립성 결핵으로 진단받고 골수생검을 시행받은 환자 40예 였다. 이들을 골수생검상 결핵성 병변을 보인 양성군과 보이지 않은 음성군으로 나누어 임상상, 말초 혈액의 혈청 ADA, 수용성 인터루킨 2 수용체, 임파구 아형 분류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1) 대상 환자의 평균연령은 39세로, 남녀는 23:17예 이었다. 2) 동반된 폐외 결핵으로는 결핵성 뇌막염이 9예, 결핵성 관절염이 6예, 결핵성 흉막염이 2예 있었다. 3) 골수검사상 60%(24/40)가 결핵성 병변을 보였다. 4) 말초혈액검사상 빈혈은 60%(24/40)가 있었으며 골수생검 양성군에서 11예 음성군에서 13예였고, 백혈구감소증은 12%(5/40)로 양성군에서 4예 음성군에서 1예였고, 혈소판 감소증은 10%(4/40)로 양성군이 3예 였다. 5) 혈청 ADA는 평균 83 U/L로 양성군에서 90 U/L, 음성군에서 70.6 U/L 이었다(p=0.23). 6) 혈청 가용성 interleukin 2 수용체 활성도는 평균 4,643 pmol/L 였으며 양성군에서 $6,840{\pm}7,446\;pmol/L$(n=10), 음성군 $1897{\pm}1663\;pmol/L$(n=8)으로 양성군에서 더 높았다(p=0.06). 7) 혈청내 T 임파구 아형분류에서 총 T 임파구는 평균 64%으로 양성군에서 $62{\pm}19%$(n=18), 음성군에서 $73{\pm}10%$ 였고(n=7)(p=0.2), $T_4/T_8$ ratio는 평균 $1.16{\pm}0.5$으로 양성군에서 $1.14{\pm}0.5$, 음성군에서 $1.18{\pm}0.5$였다(p=0.8). 8) 일부 환자(9예)에서 BAL의 T 임파구 아형분류을 시행하였으며 $T_4/T_8$ ratio는 $1.97{\pm}1.2$으로, 말초혈액소견과 비교하여 더 증가되어 있었다. 결론: 이상의 결과로 속립성 결핵의 골수생검 양성률은 60% 였으며, 골수생검상 결핵성 병변을 보인 군에서 말초혈액내 변화와 세포성 면역의 변화가 더 심한 경향을 보였다.

  • PDF

전통 누룩 발효과정 중 품질 및 항원성 변화 (Changes in Allergenicity and Quality of Nuruk during Fermentation)

  • 이효형;이진형;고유진;박미화;이정옥;류충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76-8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발효과정 중 누룩의 일반성분 및 효소 활성변화를 측정하고, 단백질의 분해정도와 밀 단백질에 민감한 환자의 혈청과 반응성을 관찰하였다. 누룩의 수분함량은 발효 1일 24.20%였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미생물의 이용과 증발로 인해 감소되어 발효 15일에는 13.60%를 나타내었다. 누룩 발효 중 총당과 환원당의 함량은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누룩의 발효 초기 조단백질 함량은 1.58%였으나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다소증가하여 발효 15일에는 2.05%로 나타났다. 또한 누룩의 조지방 함량은 발효 초기 1.32%였으며 발효 15일에는 2.24%로 다소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alpha}$-Amylase 활성은 발효 초기 1,416.67 U/g에서 발효 15일에는 2,833.00 U/g으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glucoamylase 활성은 발효 초기 497.90 U/g에서 발효 10일 경과 후 705.40 U/g으로 최대 활성을 보였으나 그 후 완만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누룩의 산성 protease 활성은 발효 초기에는 검출되지 않았으나 발효 10일에 75.00 U/g으로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발효 15일에는 327.00 U/g에 도달하였으며 중성 protease 활성도 발효 10일에 90.00 U/g으로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15일에는 354.00 U/g로 검출되었으며 이후에도 계속 증가하였다. 반면에 알칼리성 protease 활성은 검출되지 않았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누룩 중 고분자 단백질이 각종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저분자의 펩타이드 밴드가 생성되었으며 밀 민감성 환자의 혈청과 반응하는 밴드도 점차 감소하여 발효 15일에는 거의 검출되지 않았으므로 누룩 중 밀 단백질의 항원성이 감소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누룩은 영양학적 측면뿐만 아니라 효소학적 측면의 장점까지 겸비한 효율적인 한국 고유의 발효 식품용 스타터(starter)로써 전통주 제조에 필수적이며, 누룩의 고분자 단백질이 발효에 의해 저분자 펩타이드로 분해됨을 확인함으로써 밀 민감성 환자들을 위한 다양한 가공식품용 소재로 활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