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aginary signifier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콘텐츠 유저에 의한 만화-애니메이션의 재해석에 관한 연구 - 한국 코스프레 문화에서의 재생산 (The Reinterpretation of Comic-Animation by Content Users - The Reproductions in Korean Cosplay Culture)

  • 윤은호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41호
    • /
    • pp.487-510
    • /
    • 2015
  • 최근 컴퓨터 및 인터넷의 발전으로 일반인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가 강화되면서 다양한 만화와 애니메이션 소비자들이 콘텐츠들을 UCC를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재조합하고 있다. 얼핏 보기에는 소비자들의 재조합 결과물들이 콘텐츠의 저작권을 침해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인터넷 확산을 통해 해당 콘텐츠의 사용자 수를 늘리면서 문화콘텐츠 생태계의 성장을 돕고 있다. 이러한 재생산이 가능한 이유는 애니메이션 매체가 가진 특성에 있다. 조형기호와 소리기호, 그리고 서사기호가 결합된 애니메이션은 크리스티앙 메츠가 제시한 상상적 기표로서 작용하며, 해당 콘텐츠를 소비하는 사용자들이 자신의 상상력을 통해 이야기를 해체하고 재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논의는 아즈마 히로키의 <동물화하는 포스트모던>을 통해 강화되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아즈마는 애니메이션 등의 재조합 현상이 비교적 동등한 캐릭터 데이터베이스에 제한돼 있고, 소비자는 데이터베이스 안에서 애니메이션과 여기에서 파생된 상업적 재조합물에 대해 무비판적 수용을 취하고 있다는 비관론을 펼친다. 하지만 실제로는 소비자들이 콘텐츠 사이와 콘텐츠 너머에서 비상업적인 재생산을 일으키고 있다. 이러한 양상은 동인문화, 애니메이션 음악 동호문화, 성우 동호문화 등에서도 나타나지만, 본 논고에서는 특히 코스프레 문화에 집중하고자 한다. 이는 코스프레 문화가 다른 동호문화와 달리 더 행동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이 중에서도 코스프레에서 파생된 무대와 일일카페는 일반 코스프레 현상보다도 더욱 적극적인 캐릭터의 재현을 통해 다른 이들과의 소통을 이뤄내고 있다. 하지만 무대나 일일카페 모두는 재정 능력이 제한적인 청소년 청년 계층이 진행하고 있어, 지속가능한 행사가 이루어지기 어려우며, 공연 기회의 부족이나 저작권 문제 등으로 적극적인 재생산이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다. 지역주민 주도의 마을 만들기나 혼종문화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한국 사회의 현실에서, 한국 만화 및 애니메이션 업계부터 적극적 콘텐츠 수용자들의 재생산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장려할 필요가 있다.

남녀성차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와 그 문제 (The Critical Discussion about Lacanian Structural Definition of Sexual Difference.)

  • 문장수
    • 철학연구
    • /
    • 제129권
    • /
    • pp.53-82
    • /
    • 2014
  • 본 글은 라캉의 주체 개념 및 이것의 연장인 남녀성차에 대한 구조적 정의에 대한 내용을 분석하고 이러한 정의들에 내포된 문제들을 비판한다. 라캉이 제공하는 남녀성차에 대한 구조적 정의를 분석하고 비판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가 이론화하고 개념화한 저 다양한 정신분석학적 용어들, 즉 상상계, 상징계 그리고 실재계의 관계성, 이상적 자아와 자아 이상의 구분, 남근과 기표의 의미, 타자와 욕망, 의식과 무의식, 소외와 분리 등과 같은 기본적인 용어들의 사용법을 분석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를 위해 필자는 우선 제 2장에서 상상계와 이상적 자아 사이의 관계, 그리고 제 3장에서는 상징계와 자아 이상 사이의 관계를 논구할 것이다. 그렇게 하여 '이상적 자아'와 '자아 이상'의 차이와 유사를 해명할 것이다. 그리고 제 4장에서 타자, 욕망 그리고 무의식적 주체 사이의 연관성을 해명하고, 제 5장에서는 라캉이 말하는 남근과 기표의 의미를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제 6-7장에서는 상기의 분석들을 토대로 남녀성차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를 본격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 결론 장에서는 주체 이론 및 남녀성차에 대한 라캉이론의 전체적 의의 및 그 한계를 최종적으로 정리할 것이다. 그런데, 물론 결론의 장에서 성차에 대한 라캉의 구조적 정의를 전체적으로 비판하기 이전에 각 장들의 말미에서 그 장의 핵심적인 관념들을 비판하는 책무를 소홀히 하지 않을 것이다. 필자의 최종 결론은 이것이다. 라캉과 라캉 학파의 성차에 대한 다양한 정의들이 최소한의 객관적인 의미라도 가지려고 한다면, 그것들은 궁극적으로 해부학적 차이에 근거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화폐 읽기: 화폐의 의미작용과 가치 (Reading "Money": Value and Signification of Money)

  • 원용진;홍성일
    • 한국언론정보학보
    • /
    • 제41권
    • /
    • pp.75-107
    • /
    • 2008
  • 화폐를 소통 미디어로 간주하고 화폐가 야기하는/실패하는 소통 형식을 추적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현대 자본주의사회에서 화폐를 경제적 역할(가치척도 수단, 유통 수단, 축장 수단, 지불 수단)에만 한정해 논의할 수는 없다. 사회 전 영역에서 인간을 매개하고, 의미를 전하는 사회문화적 역할을 수행하는 미디어로도 이해해야 한다. 이 같은 인식 아래 화폐에 대한 언어학적/기호학적 이론화를 시도했다. 마르크스의 가치형태론과 언어학/기호학을 접합시키고자 했다. 접합을 통해 소통 미디어로서 화폐는 두 가지 의미작용을 펼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했다. 하나는 무한한 부의 축적을 욕망케 하는 메타 의미작용이다. 그 결과 화폐는 두 번째 의미작용인 개별 상품들 사이의 구체적이고 중층적인 의미작용들을 대신하게 된다. 화폐가 주인 기표가 되며 모든 기호들의 의미작용은 파괴되고 아무것도 아님은 모든 것이 될 수 있음을 의미화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소통 미디어로서의 화폐는 모든 개별 주체의 보편적인 상상적 동일시의 대상이 되었다. 화폐는 개별 기호를 묘사할 뿐만 아니라 대표하는 지위를 점한다. 그러나 대표와 묘사는 지속적인 긴장을 일으키며 주인 기표로서의 화폐의 지위를 위협한다. 마르크스의 보나파르티즘 분석에 대한 화폐기호학적 재독해는 이와 같은 긴장의 구체적 국면을 드러내고 있었다. 즉 묘사될 수는 있으나 보나파르티즘에 의해 대표되지 못하고 이탈된 주체들은 체계의 위협 요소로 상존하였다. 소통 미디어로서의 화폐는 의미작용의 작동을 통해 화폐 체계의 성립과 와해의 가능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 PDF

영상의 수사적 표현 연구 (Study on Visual Rhetoric)

  • 안상혁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4호
    • /
    • pp.207-214
    • /
    • 2003
  • 수사법이 영상이미지를 구성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하는 이유는 영상이 비언어적 수단들로 소통되기 때문이다. 영상이미지에 내재된 수사법은 일차적으로는 이야기가 설득력을 갖도록 기능한다. 이차적으로 수사법은 영상을 아름답게 꾸미는 기능을 맡는다. 이로 인해 아름다운 비유법이나 신선한 수사법이 가미된 영상이미지를 접할 때 우리는 좀 더 즐거움과 기쁨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한편으로 헐리우드 영화에 의한 볼거리 영상과 디지털 영상 성을 강화시키는 컴퓨터에 의한 가상성의 극대화는 수사적 표현이 또 다른 차원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고전적인 서사구조와 달리 현대의 영상은 많은 기표 요소들로 기의를 구축하고 있으며, 각 기표들이 의미작용을 일으키기 위해 은유적으로 구성되고 있는 양상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의 의미작용의 요체로서 수사법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 효과적인 영상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수사법을 이해하도록 한다.

  • PDF

Authority of Image in Internet Space

  • Jang, Seo-Youn;Lim, Ch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1호
    • /
    • pp.153-158
    • /
    • 2019
  • Language and letter are represented by a combination of its signifier and signified. All symblos are commonly calling direct attention to people who are living in the physical world. However, in cyberspace, the image takes control once inhabited by the language. Cyberspace with anonymity and deoent physical nature has something with physical laws. In this space the statue transcends the imaginary realm. Ideology gives a greater connotation by giving a series of regulation to images floating in cyberspace. Even if various media have the same image, the meaning of the image changes depending on which ideology is used. The impact of this on the public is great. In this study, I discuss the ideology in cyberspace where is supposedly wide open to who visits and spreads all the thoughts without suppression and the human body. The main ideas would be who owns the ideology and what does it want to control and how the people would react to the ideology. This paper would eventually head the prototype that visualizes above ideas. Though the interactive media it will also show the subject in the real world is accept the images floating in the cyberspace without any doubts.

수학적 개념을 통한 라깡의 심리학에 대한 이해와 그 응용 (Understanding Lacan's Psychology through the Mathematical Concepts and its Application)

  • 김재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8권1호
    • /
    • pp.45-55
    • /
    • 2014
  • 인간의 경험은 지식의 원천이다. 우리는 지식의 원천에 관심을 가질 뿐만 아니라 그것이 사람에서 사람으로, 세대에서 세대로 전달되는 방법에도 관심을 갖는다. 한 가지 사항은 분명하다. 즉, 경험은 경험으로 전달 할 수 없으므로 먼저 "어떤 다른 것"으로 번역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전달되는 것은 바로 그 "어떤 다른 것"이다. 그것이 "접수될" 때도 경험과 닮은 어떤 것으로 재번역 된다. 라깡(Lacan)은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을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로 설명한다. 라캉은 1953년에 유명한 논문 "정신분석에서 말과 언어의 기능과 장"을 발표하는데, 라캉은 정신분석이 말하는 주체에 관한 학문임을 역설하면서 주체의 원인이자 실질적 체계가 되는 상징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사실 수학적 체계는 거의 모든 내용이 상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라깡이 대수학과 더불어 위상학을 도입하는 이유는 정신분석이론이 과학에 걸 맞는 형식화를 동경해야 한다는 것이었고, 따라서 그는 정신분석을 형식화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본 논문은 기하학적 모델이나 위상공간과 같은 수학적 모델 및 수학적 개념이 어떻게 라깡의 심리학과 정신분석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그 응용으로서 인문학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상징들을 재번역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다양한 사고의 능력을 키워줄 수 있음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한다.

민국시기 중국 여성들의 인체미 의식에 대한 연구 -푸뉘자즈(부녀잡지(婦女雜誌))와 링롱(영롱(玲瓏))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esthetics of Women's Body in the Chinese Republican Period -Focused on Women's Magazines, Funüzazhi & Linglong-)

  • 이순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57-370
    • /
    • 2013
  • The Republican Period of China (1912 to 1949) was when the archetypes of thought (constituting contemporary China) engaged in heated rivalry and were directly influenced by Korea through frequent exchanges.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 of Chinese women's aesthetics towards the human body with a focus on visual materials (such as articles and illustrations concerning hairstyle, makeup, skincare, fashion, and gymnastics) featured in the Chinese women magazines of Fun$\ddot{u}$zazhi (婦女雜誌) and Linglong (玲瓏). This study analyzes these magazines and compares them with Korean counterparts. The movement of the developed and controlled human body was a common characteristic of this period; however, compared to the Chinese,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of Korea resulted in an introspective self-examination through excessively objectified eyes. Dress and adornment as the symbol of a new civilization acted as the most remarkable signifier. The overlapping of a western image with a Japanese image led to more resistance in Korea. The criterion for the value of a women's external appearance (that traditionally dualized womanly virtues) collapsed and dress was accepted as an expression of individuality instead of as a social class. The human body was traditionally recognized as a microcosm of the universe that dominated the natural principle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However, the ideal human body was postulated and the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body changed into an imaginary view of the human body that proceeded to keep the body fit for and gave birth to the concept of supplementing the deficiency of the beauty of the human body with dress and makeup.

라캉주의 영화비평에서 봉합이론의 재고찰 (Revisiting the Concept of Suture in Lacanian Film Criticism)

  • 김지영
    • 영어영문학
    • /
    • 제58권4호
    • /
    • pp.565-588
    • /
    • 2012
  • This paper aims at reconsidering 'suture,' a key concept in early Lacanian film criticism, with a view to narrowing a supposed gap between early Lacanian and later Lacanian film criticism. Early Lacanian film theorists, among whom Jean-Pierre Oudart, Jean-Louis Baudry, Laura Mulvey and Daniel Dayan, to name a few, are prominent, focus on cinematic signifying system as well as its ideological effects on shaping subjectivity of the audience. Initiated by Jacques-Alain Miller's article on suture as the logic of signifier and grafted into film as the logic of the cinematic by Oudart's writing, the concept of suture was established as a key word in early Lacanian film criticism. In their taxonomy, suture refers to the processes by which the audience are stitched into the story-world of a film. The audience are drawn into the film and take up positions as subjects-within-the-film such that they make sense of and respond to what the film represents as they are encouraged to do so by the film itself. On the other hand, later Lacanian film critics, who are much influenced by Lacan's later emphasis on the Real, focus on concepts such as gaze, petit objet a, fantasy, rather than suture. They are more concerned with the failure of suture and the disruption of the Symbolic than the ideological effects of suture and the consolidation of the Symbolic. They require a break from the previous approach of Lacanian film theory which centers around the Imaginary and the Symbolic. However, early Lacanian and later Lacanian film theory do not manifest as much disparity as they are supposed to do, for both are against the ideological manipulation of suture. Slavoj Žižek, a leading scholar of later Lacanian psychoanalysis, revives the concept of suture as a patch of the Symbolic which covers the gap, if not always successf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