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Understanding Lacan's Psychology through the Mathematical Concepts and its Application

수학적 개념을 통한 라깡의 심리학에 대한 이해와 그 응용

  • Kim, Jae-Ryong (Department of Mathematics, Colledge of Natural Science Kookmin University)
  • Received : 2013.12.09
  • Accepted : 2014.02.11
  • Published : 2014.02.15

Abstract

Lacan gives an explanation on our real actual world by the concepts the "Real", the "Imaginary" and the "Symbolic". Although this three registers are not far from each other, they never can be unified. Among animals, only human has interest in the "truth". The concept of truth is discussed and debated in several contexts, including philosophy and religion. Many human activities depend upon the concept, which is assumed rather than a subject of discussion, including science, law, and everyday life. Language and words are a means by which humans convey information to one another, and the method used to determine what is a "truth" is termed a criterion of truth. Accepting then that "language is the basic social institution in the sense that all others presuppose language", Lacan found in Ferdinand de Saussure's linguistic division of the verbal sign between signifier and signified a new key to the Freudian understanding that "his therapeutic method was 'a talking c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understand Lacan's psychology and psychoanalysis by using the mathematical concepts and mathematical models, especially geometrical and topological models. And re-explanation of the symbolic model and symbols can help students understand new ideas and concepts in the educational scene.

인간의 경험은 지식의 원천이다. 우리는 지식의 원천에 관심을 가질 뿐만 아니라 그것이 사람에서 사람으로, 세대에서 세대로 전달되는 방법에도 관심을 갖는다. 한 가지 사항은 분명하다. 즉, 경험은 경험으로 전달 할 수 없으므로 먼저 "어떤 다른 것"으로 번역 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전달되는 것은 바로 그 "어떤 다른 것"이다. 그것이 "접수될" 때도 경험과 닮은 어떤 것으로 재번역 된다. 라깡(Lacan)은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을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로 설명한다. 라캉은 1953년에 유명한 논문 "정신분석에서 말과 언어의 기능과 장"을 발표하는데, 라캉은 정신분석이 말하는 주체에 관한 학문임을 역설하면서 주체의 원인이자 실질적 체계가 되는 상징계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사실 수학적 체계는 거의 모든 내용이 상징으로 구성되어 있다. 라깡이 대수학과 더불어 위상학을 도입하는 이유는 정신분석이론이 과학에 걸 맞는 형식화를 동경해야 한다는 것이었고, 따라서 그는 정신분석을 형식화하려는 노력을 해왔다. 본 논문은 기하학적 모델이나 위상공간과 같은 수학적 모델 및 수학적 개념이 어떻게 라깡의 심리학과 정신분석에 대한 이해를 도울 수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그 응용으로서 인문학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상징들을 재번역함으로써 학생들에게 다양한 사고의 능력을 키워줄 수 있음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석 (2007). e시대의 절대사상 에크리 라캉으로 이끄는 마법의 문자들, 살림
  2. 데이비드 이글먼 (2011). 인코그니트, 김소희 옮김 윤승일 감수 쌤앤파커스.
  3. 딜런 에반스 (1998). 라깡 정신분석사전 , 김종주외 옮김 인간사랑.
  4. 모릿쯔 슐릭 (1992). 연관된 철학의 문제들, 안종수 옮김 고려원
  5. 박병기 (2009). 장이론, 교육과학사
  6. 백상빈 (2008). 정신분석에서 이미지의 위상학, Journal of Lacan & Contemporary Psychoanaysis, 10(2), 125-168.
  7. 신동아 (2004). 현대사상 키워드 60 지성인으로 거듭나기, 신년호 특별부록
  8. 스티브 F. 바크 (1970). 수리철학 현대철학 시리즈, 이종권 옮김 종로서적
  9. 슈테판 귄첼 엮음 (2010). 토폴로지, 이기홍 옮김 에코리브로
  10. 아나톨 라포포트 (1995). 과학과 인간의 목표, 안동환 옮김 한국문화사
  11. 이병혁(2009). 라깡의 위상학과 탈경계,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정기세미나[후기]
  12. 임진수 (2010). 위상학적 정신분석학, 프로이드라칼학교 파워북 85
  13. 조용현 (2006). 보이는 세계는 진짜일까?, 우물이 있는 집.
  14. 클리퍼드 픽오버 (2011). 뫼비우스의 띠, 노태복 옮김 사이언스 북스
  15. 홍준기 (1998). 라캉과 현대철학 현대의 지성 102, 문학과 지성사 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