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age Restoration Software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5초

Radially patterned polycaprolactone nanofibers as an active wound dressing agent

  • Shin, Dongwoo;Kim, Min Sup;Yang, Chae Eun;Lee, Won Jai;Roh, Tai Suk;Baek, Wooyeol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46권5호
    • /
    • pp.399-404
    • /
    • 2019
  • Backgroun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sign polycaprolactone nanofibers with a radial pattern using a modified electrospinning method and to evaluate the effect of radial nanofiber deposition on mechan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compared to non-patterned samples. Methods Radially patterned polycaprolactone nanofibers were prepared with a modified electrospinning method and compared with randomly deposited nanofibers. The surface morphology of samples was observed und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The tensile properties of nanofibrous mats were measured using a tabletop uniaxial testing machine. Fluorescence-stained human bone marrow stem cells were plac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radially patterned and randomly deposited. Their migration toward the center was observed on days 1, 4, and 7, and quantitatively measured using ImageJ software. Results Overall,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chanical properties between the two types of polycaprolactone nanofibrous mats. SEM images of the obtained samples suggested that the directionality of the nanofibers was toward the central area, regardless of where the nanofibers were located throughout the entire sample. Florescence images showed stronger fluorescence inside the circle in radially aligned nanofibers,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on days 4 and 7, indicating that migration was quicker along radially aligned nanofibers than along randomly deposited nanofibers. Conclusions In this study, we successfully used modified electrospinning to fabricate radially aligned nanofibers with similar mechanical properties to those of conventional randomly aligned nanofibers. In addition, we observed faster migration along radially aligned nanofibers than along randomly deposited nanofibers. Collectively, the radially aligned nanofibers may have the potential for tissue regeneration in combination with stem cells.

넓어진 콧방울의 교정을 위한 Park-Weir 절제술 (Park-Weir Excision for Flaring Alar Correction)

  • 한승범;박병윤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5호
    • /
    • pp.674-678
    • /
    • 2011
  • Purpose: Straight closure line of classic Weir excision leaves visible scars and makes it difficult to precisely approximate resection margins. Hence this study introduces Park-Weir excision that effectively reduces alar width with minimal alar rim scar by 3-dimensional zigzag incision and properly controls the approximation of edges. Methods: From 2008 to 2010, 14 patients underwent Park-Weir excision, crossed wedge excision on alar rim not exceeding 5 mm in width. Each patient was photographed in the same position. Alar width and columellar height against intercanthal distance was compared preoperatively and postoperatively, using image analysis software. Results: Five patients were female and nine were male. Average follow up period was 8 month. Alar width was reduced by 50.50% to 45.96%, original alar width reduced by 8.98% without significant changes in columellar height which was reduced by 0.39%. No visible scar was reported during outpatient follow-up. Conclusion: Park-Weir excision effectively reduces alar width and corrects the flaring of alar without affecting the columellar height. Zigzag incision of Park-Weir excision leaves aesthetically more pleasant scar than straight single incision of classical Weir excision.

A Method of Coupling Expected Patch Log Likelihood and Guided Filtering for Image De-noising

  • Wang, Shunfeng;Xie, Jiacen;Zheng, Yuhui;Wang, Jin;Jiang, Tao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4권2호
    • /
    • pp.552-562
    • /
    • 2018
  • With the advent of the information society, image restoration technology has aroused considerable interest. Guided image filtering is more effective in suppressing noise in homogeneous regions, but its edge-preserving property is poor. As such, the critical part of guided filtering lies in the selection of the guided image. The result of the Expected Patch Log Likelihood (EPLL) method maintains a good structure, but it is easy to produce the ladder effect in homogeneous areas. According to the complementarity of EPLL with guided filtering, we propose a method of coupling EPLL and guided filtering for image de-noising. The EPLL model is adopted to construct the guided image for the guided filtering, which can provide better structural information for the guided filtering. Meanwhile, with the secondary smoothing of guided image filtering in image homogenization areas, we can improve the noise suppression effect in those areas while reducing the ladder effect brought about by the EPLL.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it not only retains the excellent performance of EPLL, but also produces better visual effects and a higher peak signal-to-noise ratio by adopting the proposed method.

인공 신경망 기반의 지문 영상 복원 알고리즘 (An Algorithm of Fingerprint Image Restoration Based on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 장석우;이사무엘;김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8호
    • /
    • pp.530-536
    • /
    • 2020
  • 일반적인 지문 인식기에서 이용되는 미뉴셔 특징은 표현 공격에는 강건하지만 오 정합률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약점이 있다. 따라서 미뉴셔 특징은 스켈리톤 영상과 함께 이용되는 경향이 있다. 보통 지문의 미뉴셔 특징에 대한 보안 취약성 연구는 많이 진행되어 있으나 스켈리톤에 대한 취약성 연구는 미약한 형편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스켈리톤에 대한 표현 공격의 취약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문의 스켈리톤으로부터 학습 알고리즘을 사용해 원래의 지문을 복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방법은 기존의 Pix2Pix 모델에 잠재 벡터를 추가한 새로운 학습 모델인 Pix2Pix을 제안하여, 보다 자연스러운 지문을 생성한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에서는 제시된 학습 알고리즘을 이용해 원래의 지문을 복원한 다음, 복원된 지문을 지문 인식기에 입력시켜 높은 인식률을 달성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스켈리톤을 함께 이용하는 지문 인식기는 표현 공격에 취약함을 검증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된 접근방법은 지문 인식 및 복원, 비디오 보안, 생체 인식 등과 연관된 많은 실제적인 응용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실시간 3D 브라우징 시스템을 위한 램 디스크 기반의 다시점 영상 합성 기법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Multiple View Image Synthesis Scheme based on RAM Disk for Real-Time 3D Browsing System)

  • 심춘보;임은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13-23
    • /
    • 2009
  • 다시점 영상 처리 기술은 다시점 디스플레이 장치와 압축된 데이터 복원 장치를 통해 장치 사용자의 시각에 3차원의 입체 영상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은 4시점의 병렬 카메라를 통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스테레오 이미지들에 대해서 효율적인 영상 합성을 통해 3차원 입체 영상을 브라우징할 수 있는 램 디스크 기반의 다시점 영상 합성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입력 영상들을 이진화 영상으로 변환한 후, Sobel 및 Prewitt 에지 발견 알고리즘을 적용시키고 이를 토대로 4개 영상들의 시차를 구한다. 아울러 기존의 알고리즘에서 모호하게 언급되었던 동기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하드웨어 트리거와 소프트웨어 트리거를 위한 시간 간격을 적용한다. 제안하는 기법을 분산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도록 영상의 스냅샷에 대한 유일한 식별자를 이용한다. 성능 분석 결과, 전체 영상(왼쪽, 오른쪽) 및 시차정보를 모두 전송하여 고정밀의 3차원 입체 영상을 출력하는 데 소요되는 전체 시간은 각 이진 배열 당 약 0.67초로 실시간으로 적용하는 데 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자가 머리뼈 이식 후 뼈결손부의 면적 변화 (A Size Change of Bone Defect Area after Autogenous Calvarial Bone Graft)

  • 현경배;김동석;유선국;김희중;김용욱;박병윤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2권4호
    • /
    • pp.467-473
    • /
    • 2005
  • Calvarial bone grafting in craniomaxillofacial trauma and facial reconstructive surgery is now widely recognized and accepted as a standard procedure. One of the commonly reported problems of calvarial bone graft is the contour defect caused by partial resorption of the graft. But, there are few reports that discuss the fate of the calvarial bone graft based on the quantitative data. In this article, the changes of grafted calvarial bone were evaluated using 3-dimensional computed tomography(CT). 9 patients were observed with the CT scans at 2mm thickness immediately after operation and at the time of last follow-up. The area of the bone defect was segmented on the 3-dimensional CT image and calculated by AnalyzeDirect 5.0 software. The immediate postoperative bone defect area of the recipient site and the donor site were $612.9mm^2$ and $441.5mm^2$, respectively, which became $1028.1mm^2$ and $268.8mm^2$, respectively at the last follow-up. In conclusion, the bone defect area was less increased on the donor site of calvarial bone graft than on the recipient site. And the CT scan is a valuable imaging method to assess and follow-up the clinical outcome of calvarial bone grafting.

딥러닝을 이용한 외부 조도 아래에서의 시인성 향상 알고리즘 (Algorithm for Improving Visibility under Ambient Lighting Using Deep Learning)

  • 이희진;송병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808-811
    • /
    • 2022
  • 강한 외부 조도 아래에서의 디스플레이는 인간의 인지 시스템에 의해, 실제보다 더 어둡게 인지된다. 해당 문제를 소프트웨어 측면에서 해결하기 위한 기존의 기법들은, 외부 조도에 대응하지 못하거나 밝기에 비해 색상이 향상되지 못하는 한계를 보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외부 조도 값에 따라 영상의 밝기 및 색상을 향상하는 시인성 개선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해당 알고리즘은 입력 영상과 함께 외부 조도 값을 인자로 받은 후, 딥러닝 모델을 통한 luminance 학습 및 chrominance 복원 방정식을 적용하여, 개선된 영상의 열화 현상과 입력 영상과의 대비 차이가 최소화되도록 영상을 생성한다. 이는 정성적 평가에서 열화 모델링 적용 영상 비교를 통해 해당 알고리즘이 강한 외부 조도 아래에서의 시인성 개선에 뛰어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2차원 QR코드에서 모폴로지 기반의 경계선 검출 방법 (A Morphology Technique-Based Boundary Detection in a Two-Dimensional QR Code)

  • 박광욱;이종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2호
    • /
    • pp.159-175
    • /
    • 2015
  • 2차원 QR 코드는 1차원 바코드의 데이터 용량 문제를 극복하였고, 방향성, 오류 정정, 데이터 복원력 등의 장점이 있다. 특히 2차원 바코드 인식에서 주요 이슈는 인식 속도와 정확성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바코드 영역을 검출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제안하며, 제안 방법은 영상 내 관심 영역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모폴로지 기법을 기반으로 한다. 세부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폴로지 닫힘(close) 연산을 통해 입력 이미지에서 QR Code의 바코드 영역을 검출한다. 둘째, 경계선 검출을 통해 바코드 영역의 외곽선들을 검출한다. 셋째, 검출된 네 개의 외곽 교차점인 네 점을 추출한 후 역 투시변환을 통하여 2차원 바코드의 정사각형 모양으로 정규화 한다. 결과적으로 본 논문의 연구결과는 다양한 조명상태이나 영상에 강한 왜곡이 있는 경우에도 좋은 성능을 나타내며, 영역 검출율은 94.8%, 인식률은 92.3%로 기존연구들보다 안정된 바코드 검출 및 인식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Micro-computed tomography for assessing the internal and external voids of bulk-fill composite restorations: A technical report

  • Tosco, Vincenzo;Monterubbianesi, Riccardo;Furlani, Michele;Giuliani, Alessandra;Putignano, Angelo;Orsini, Giovanna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2권3호
    • /
    • pp.303-308
    • /
    • 2022
  • Purpose: This technical report aims to describe and detail the use of micro-computed tomography for a reliable evaluation of the bulk-fill composite/tooth interface. Materials and Methods: Bulk-fill composite restorations in tooth cavities were scanned using micro-computed tomography to obtain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valuable information. Two-dimensional information was processed using specific algorithms, and ultimately a 3-dimensional (3D) specimen reconstruction was generated. The 3D rendering allowed the visualization of voids inside bulk-fill composite materials and provided quantitative measurements. The 3D analysis software VG Studio MAX was used to perform image analysis and assess gap formation within the tooth-restoration interface. In particular, to evaluate internal adaptation, the Defect Analysis addon module of VG Studio Max was used. Results: The data, obtained with the processing software, highlighted the presence and the shape of gaps in different colours, representing the volume of porosity within a chromatic scale in which each colour quantitatively represents a well-defined volume. Conclusion: Micro-computed tomography makes it possible to obtain several quantitative parameters, providing fundamental information on defect shape and complexity. However, this technique has the limit of not discriminating materials without radiopacity and with low or no filler content, such as dental adhesives, and hence, they are difficult to visualise through software reconstruction.

무잡음 화소를 이용한 진화적인 방법의 임펄스 잡음 필터링 (Impulse Noise Filtering through Evolutionary Approach using Noise-free Pixels)

  • ;최영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5호
    • /
    • pp.347-352
    • /
    • 2013
  • 임펄스 잡음 제거 기법들에서 윈도우의 크기는 매우 중요한데, 보통 잡음의 밀도에 따라 적당한 크기의 윈도우를 사용한다. 이때 윈도우가 너무 작으면 잡음을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며, 너무 크면 영상 내의 에지나 미세한 형태를 제대로 복원하지 못하고 흐릿하게 만들 수 있다. 또한 잡음이 있는 중앙 화소를 복원하기 위해 이러한 윈도우 내의 모든 화소들이 이용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기존 방법과 달리 작은 크기의 윈도우를 사용하고 잡음이 없이 깨끗한 화소만을 사용하여 임펄스 잡음을 제거하는 새로운 반복적인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모든 잡음 화소가 새로 계산된 추정치로 대체될 때까지 반복된다. 잡음 화소에 대해 최적의 값을 유추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에서는 무잡음 화소를 이용한 유전자 프로그래밍 (GP) 기반의 추정자를 제안하는데, 이것은 윈도우 내의 무잡음 화소와, 산술 연산자 및 랜덤 상수들로 이루어진다. 실험을 통해 제안된 방법이 영상 내의 미세한 형태들을 잘 유지하면서 임펄스 잡음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는데, 특히 심하게 잡음이 가해진 데이터의 복원에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