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san Lak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6초

경기북부지역 주요 호소수의 수질오염특성 평가 (Evaluation of Water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Major Lakes in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 최정인;임흥빈;정은희;김태열;손영금;고순미;이호정;오조교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15-322
    • /
    • 2018
  • Objectives: A lake is a place used by many people, and compared to rivers it is easy for them to become polluted. The water quality in lakes and reservoirs has been worsening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water pollution characteristics of major lakes in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Methods: Six lakes were selected as major lakes and were evaluated in terms of water pollution characteristics and eutrophication (as defined by results for $COD_{Mn}$, TOC, SS, Chl-a, T-N and T-P) over one year (from December 2016 through November 2017) in northern Gyeonggi-do Province. Results: The annual average $COD_{Mn}$ was found to be 3.1 mg/L in Onam, 3.6 mg/L in Sanjeong, 4.7 mg/L in Gisan, 4.8 mg/L in Ilsan, and 6.1 mg/L in Jangja. The results of the Korean trophic state index ($TSI_{KO}$ ) value indicated a eutrophic state ($TSI_{KO}$ 59.0) in Jangja lake. The other lakes were classified as being in a mesotrophic state ($TSI_{KO}$ of 38.1 in Sanjeong, 40.2 in Ilsan, 41.9 in Onam, 46.1 in Gisan, and 47.8 in Gomo). Conclusions: Ilsan Lake's water quality is being well maintained. Sanjeong, Onam, and Gisan are appropriate for use as agricultural water. Jangja lake requires efforts 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to prevent the inflow of non-point pollutant sources.

큰입배스 Micropterus salmoides의 위 내용물 분석을 통한 일산호수 내 큰입배스의 생육상태 및 수생동물의 다양성 간접 평가 (Indirect Evaluation of Aquatic Animal Diversity in Ilsan Lak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rowing Condition and Stomach Contents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 김이태;박재로;김원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5권12호
    • /
    • pp.953-959
    • /
    • 2013
  • 본 연구는 도시 인공호수에서 서식하는 큰입배스 위 내용물 분석을 통해 먹이 다양성에 따른 성장 특성과 수생동물 군집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대상호수는 국내에서 가장 큰 도시 인공호수 중 하나인 일산호수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큰입배스의 길이와 무게의 관계에 따라 Zone III(생태 구역)에서의 체중증가속도가 다른 Zone보다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 총 16종 및 9종이 각각 Zone III 및 Zone I, II(인공 구역)에서 관찰되어 Zone III의 어류의 종다양성이 Zone I, II에 비해 높았다. 상대중요성지수(IRI)는 Zone III에서 Zone I, II에 비해 더 다양하였으며, 공복율을 고려할 때 먹이 스트레스는 Zone I, II에서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의 군집분석 결과, 피라미 Zacco platypus가 우점종인 것으로 나타났고,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와 밀어 Rhinogobius brunneus는 Zone III에서만 풍부하게 발견되었다. Zone I, II에서 나타난 먹이종의 낮은 다양성을 고려할 때, 소금쟁이류 Heteroptera와 같은 절지동물문은 Zone I, II에서 Zone III에 비해 큰입배스의 위 속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 의해 큰입배스의 위 내용물 분석과 같은 간접적인 평가에 의해 수생동물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야생에서 처음 발견된 외래종, 서부비단거북(Chrysemys picta bellii)의 관찰 사례 보고 (First report on the non-native species, Western painted turtle (Chrysemys picta bellii), in the wild, Republic of Korea)

  • 박일국;이경원;정지현;이현빈;구교성
    • 환경생물
    • /
    • 제38권1호
    • /
    • pp.16-20
    • /
    • 2020
  • 2019년 3월 27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에 위치하는 일산호수공원에서 일광욕 중이던 외래거북 한 개체가 발견되었다. 발견된 개체의 배갑 색, 배갑 중앙의 무늬, 머리 옆면의 무늬, 등껍질의 형태를 근거로 서부비단거북(Chrysemys picta bellii)임이 확인되었다. 근처에는 서부비단거북이 아닌 외래거북들이 일광욕하고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국내 야생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서부비단거북의 관찰 사례를 보고하였다. 다양한 외래거북들이 국내 생태계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으나 그 실태가 잘 알려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외래생물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조사와 보고가 있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

저수지 수질관리를 위한 인공폭기 장치의 최적운전방안 (Strategic Operation of the Artificial Aeration System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of the Reservoir)

  • 임경호;정상만;한영성;박영오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1-270
    • /
    • 2002
  • The artificial aeration in the middle and the small scale reservoirs is widely used to destroy the stratified layer and algal boom.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at the Youncho reservoir located in Keoje island since Jan. 2000 to suggest the most suitable control strategy of the artificial aeration and reduce the side effect. The main results obtained from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starting time of aeration for destratification was adjusted from the end of March to the beginning of April when the natural stratification is started. In order to prevent an anoxic condition the artificial mixing should be started by the middle of April when the DO in hypolimnion is dropped to less than $5mg/{\ell}$. The decrease DO, caused by the increase in water temperature, spreads rapidly from hypolimnion to themocline. Thermal stratification disappeared after the onset of artificial aeration within 7 days in the Yuncho reservoir. The air diffusers decrease water temperature in the layer of epilimnion and thermocline, but rise it in hypolimnion. The continuous operation of air diffuser prevent the stratification and anoxic condition in hypolimnion despite of the rising of water temperature and algal abundance. The algal abundance is not observed in effective zone by aeration. The turbidity rising problem induced from the aeration is avoided by keeping an air diffuser about 1.5m high from the bottom of lake. During the summer season, ceasing the aeration should be decided carefully. And also, it is necessary to operate the system it considering weather and temperature, and depending on the number and the position of aerators.

일본납작진딧물(Ceratovacuna japonica)의 야외 생태특성 조사 (A ecological survey of Ceratovacuna japonica (Takahashi) (Hemiptera, Aphididae) in Korea)

  • 이영보;윤형주;이경용;김남정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23-128
    • /
    • 2014
  • 2010년부터 2011년까지 2년간 국립농업과학원 내 포장 및 기타 주요 조사지에서 관찰한 일본납작진딧물의 생태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이대 내 일본납작진딧물 접종방법 조사결과, 이대 잎에 핀으로 꼽아 접종하는 것보다 핀으로 털어 접종하는 방법이 더 유효하였으며, 노지, 비닐하우스, 반딧불이 망실보다 유리온실구가 접종율이 좋았다. 2. 일본납작진딧물의 겨울철 생존온도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일산호수공원과 구리생태공원은 2010년 1월 7일과 1월 15일 $-15^{\circ}C$ 이하로 조사되어 이대 생육한계 온도인 $-10^{\circ}C$ 이하이었다. 본 조사 결과 현재까지 이대 및 이대를 흡즙하는 일본납작진딧 물이 서식할 수 있는 겨울철 최저 온도 조건 지역은 한강 이남인 보라매공원과 수원 곤충생태원 포장으로 조사되었다. 3. 수원 곤충생태원 포장 내 최저 온도 조사에서는 곤충생태원 노지가 1월 17일 $-17.5^{\circ}C$로 조사되어 역시 이대 및 일본납작진딧물이 서식할 수 없는 조건이었다. 따라서 이대를 식재하여 일본납작진딧물을 도입하여 사육하기 위해서는 유리온실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