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llumination variation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31초

영상에서 효율적인 객체 추출을 위한 조명 영향 최소화 기법 (Illumination Influence Minimization Method for Efficient Object)

  • 김재승;이기정;황보택근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17-124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고정된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연속된 이미지 시퀀스를 이용하여 조명 변화에 강건한 운동 객체를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운동 객체 추출 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조명과 잡음에 의한 영향이다. 시간의 변화에 따른 조명의 변화로 어두운 영역에 의한 가려짐 현상이 발생할 경우 객체 영역을 판단하기가 쉽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잡음에 강건한 방법인 가우시안 혼합 모델을 이용하여 운동객체를 추출 하였으며, 조명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하고자 대표 조명 영상을 정의하고 이를 통하여 입력 영상에 대한 조명 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Face Recognition Based on the Combination of Enhanced Local Texture Feature and DBN under Complex Illumination Conditions

  • Li, Chen;Zhao, Shuai;Xiao, Ke;Wang, Yanjie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4권1호
    • /
    • pp.191-204
    • /
    • 2018
  • To combat the adverse impact imposed by illumination variation in the face recognition process, an effective and feasible algorithm is proposed in this paper. Firstly, an enhanced local texture feature is presented by applying the central symmetric encode principle on the fused component images acquired from the wavelet decomposition. Then the proposed local texture features are combined with Deep Belief Network (DBN) to gain robust deep features of face images under severe illumination conditions. Abundant experiments with different test schemes are conducted on both CMU-PIE and Extended Yale-B databases which contain face images under various illumination condition. Compared with the DBN, LBP combined with DBN and CSLBP combined with DBN, our proposed method achieves the most satisfying recognition rate regardless of the database used, the test scheme adopted or the illumination condition encountered, especially for the face recognition under severe illumination variation.

LED 광원 크기에 따른 자유 형상 렌즈의 조명 성능 변화와 공차 특성 (Variation of Illumination Performance with Source Size and Tolerance Characteristics of Freeform LED Lenses)

  • 양재석;김대찬;오범환;박세근;유일현;이승걸
    • 한국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9-38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점광원을 기준으로 설계된 자유 형상 렌즈(freeform lens)의 조명 성능과 LED 광원 크기와의 관계 및 공차 특성을 살펴보았다. 비교를 위해 발산 조명 모델(divergent illumination model)을 적용한 두 가지 렌즈와 중첩 조명 모델(overlapped illumination model)을 적용한 한가지 렌즈를 설계하였다. LED 광원이 커짐에 따라 평균 조도에 비해 조도 균일도가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정렬 오차에 의한 성능 저하는 거의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LED 광원의 방출 특성 변화는 LED 광원 크기에 관계없이 조명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발산 조명 모델로 설계된 렌즈가 전반적으로 우수한 성능을 보였지만, LED 방출 특성 변화에 대해서는 중첩 조명 모델로 설계된 렌즈의 성능이 상대적으로 적게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다양한 조명 환경에서의 실시간 사용자 검출을 위한 압축 영역에서의 색상 조절을 사용한 얼굴 검출 방법 (Face detection in compressed domain using color balancing for various illumination conditions)

  • 민현석;이영복;신호철;임을균;노용만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 /
    • pp.140-14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압축 영역에서 동작하는 조명 환경 변화에 강인한 얼굴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기존 이미지 처리를 이용한 얼굴 검출 방법들은 주로 픽셀 기반 영역에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컴퓨팅 파워와 저장 공간이 제한적인 로봇 환경에는 픽셀 기반 처리가 적합하지 않다. 또한 조명 환경의 변화는 안정된 얼굴 검출을 위해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로 인식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압축 영역에서의 조명 효과 보상과 색 온도 변환을 이용한 색상 정보 조절 과정을 사용한 얼굴 검출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색상 정보 조절을 통하여 다양한 조명 환경에서 기존 방법에 비해 강인한 얼굴 검출을 보여준다.

  • PDF

조명 변화에 강인한 얼굴 검출을 위한 좌우대칭 평균화 기법 (A Bilateral Symmetry Average Method for Robust Face Detection against Illumination Variation)

  • 조치영;김수환
    • 게임&엔터테인먼트 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45-50
    • /
    • 2006
  • 형판 정합 기반의 얼굴 검출 시스템에서 획득된 이미지에 대한 명암 정규화 및 영상 보정을 위해 히스토그램 평활화나 로그 변환 등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조명 변화에 의해 발생한 이미지의 부분 명암 왜곡에는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부분적 명암 왜곡에 매우 효과적인 영상 보정을 수행하는 좌우대칭 평균화 기법을 제시한다. 실험 결과 이 기법은 기존의 방식보다 매우 효율적인 검출 성능을 보일 뿐만 아니라 얼굴 후보의 개수도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웨이브렛 변환과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SMD IC 패턴인식 (Pattern recognition of SMD IC using wavelet transform and neural network)

  • 이명길;이준신
    • 전자공학회논문지S
    • /
    • 제34S권7호
    • /
    • pp.102-111
    • /
    • 1997
  • In this paper, a patern recognition method of surface mount device(SMD) IC using wavelet transform and neural network is proposed. We chose the feature parameter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oefficient matrix which is obtained from four level discrete wavelet transform (DWT). These feature parameters are normalized and then used for the input vector of neural network which is capable of adapting the surroundings such as variation of illumination, arrangement of objects and translation.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when the same form of feature pattern, as is used for learning, is put into neural network and gained 100% rate ofrecognition irrespective of SMD IC kinds, location and variation of illumination. In the case of unused feature pattern for learning, the recognition rate is 85.9% under the similar surroundings, where as an average recognition rate is 96.87% for the case of reregulated value of illumination. Proosed method is relatively simpl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space domain method in extracting the feature parameter and is also well suited for recognizing the pattern's class, position and existence. It can also shorten the processing tiem better than method extracting feature parameter with the use of discrete cosine transform(DCT) and adapt the surroundings such as variation of illumination, the arrangement and the translation of SMD IC.

  • PDF

초등학교 교실조명과 학생시력 변화의 관계분석 및 교실조명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lations between Classroom Illumination and Variation of the Students' Eyesight and Improvement of the Classroom Illumination in Primary School)

  • 김진구;김훈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15-23
    • /
    • 2005
  • 최근 조사에 의하면 초등학교 4학년 시기에 학생들의 시력저하가 심하게 발생된다고 한다. 따라서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의 시력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교실 조명환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4학년 8개 교실에 대하여 실태조사 및 측정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시력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최소화 되도록 4개의 교실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배광특성의 등기구를 설치하여 조명환경 개선공사를 실시하였다. 조명환경 개선 전 3월과 개선 후 12월에 각각 4학년 전체 학생에 대하여 시력검진을 실시하여 10개월간 개선된 조명환경에서 생활한 학생들과 개선되지 않은 환경에서 생활한 학생들 간의 시력변화 결과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교실 조명환경이 학생들의 시력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분석 결과 간접형 등기구나 루버형 등기구를 사용하여 교실조명 환경을 개선한 교실에서 생활한 학생들의 시력저하 현상이 감소되는 결과를 얻었다.

조명 변이에 강인한 하이브리드 얼굴 인식 방법 (A Robust Hybrid Method for Face Recognition Under Illumination Variation)

  • 최상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2권10호
    • /
    • pp.129-136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조명 변이에 강인하게 동작 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얼굴 인식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서로 다른 특성을 가진 조명 불변 특징 추출 방법으로부터 판별력 있는 특징들을 추출한다. 개별 방법들의 장점들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판별 거리 척도를 이용하여 각 특징들의 분별력을 측정하여 분별력이 높은 특징들로만 복합 특징을 구성하여 얼굴 인식에 사용한다. Multi-PIE, Yale B, AR, yale database들에 대한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모든 database에 대해 개별 조명 불변 특징 방법들보다 우수한 인식 성능을 보여 주었다.

밝기변화에 강인한 Genetic Programming 기반의 비파라미터 다중 컬러 검출 모델 (Genetic Programming based Illumination Robust and Non-parametric Multi-colors Detection Model)

  • 김영균;권오성;조영완;서기성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780-785
    • /
    • 2010
  • 본 논문은 물체인식이나 영상추적에 사용되는 컬러검출을 위한 GP(Genetic Programming) 기반의 컬러검출 모델을 제안한다. 기존의 컬러검출은 기본적인 RGB 모델에 대한 선형, 비선형 함수의 변환을 사용하거나, 최적화 기법이나 학습기법에 의해 조명 변화에 개선된 컬러 모델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색상 채널간의 간섭에 의해 다양한 색상에 대한 분류가 어렵고, 조명변화에 강인하지 못하다. 본 연구에서는 GP의 최적화된 학습기법과 모델 생성 기법을 통해 조명변화에 강인하고, 다중의 색상 검출이 가능하며, 파라미터 설정이 필요 없는 컬러 모델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을 다양한 색상과 조명환경이 다른 영상에 대해서 기존 컬러모델과 비교 분석하였다.

Ridge Regressive Bilinear Model을 이용한 조명 변화에 강인한 얼굴 인식 (Illumination Robust Face Recognition using Ridge Regressive Bilinear Models)

  • 신동수;김대진;방승양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4권1호
    • /
    • pp.70-78
    • /
    • 2007
  • 얼굴 인식 시스템의 성능은 조명 변화로 인하여 발생하는 개인내 (intra-person) 차이가 개인간 (inter-person)의 차이보다 클 수 있기 때문에 조명 변화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칭형 bilinear 모델을 이용하여 조명 요소와 신원 요소를 분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Bilinear 모델로 조명 요소와 신원 요소를 얻기 위한 translation 과정은 반복적 역행렬을 구하는 것이 요구되는데 입력 데이타에 따라 수렴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완화하기 위해서 ridge regression 모델과 bilinear 모델을 결합한 ridge regressive bilinear 모델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모델은 조명 요소와 신원 요소의 분산을 적절히 줄여줌으로서 bilinear 모델에 안정성을 제공하며, 인식에 더 많은 고차원 요소 정보를 이용하게 함으로써 인식 성능을 높여 준다. 실험 결과에서 제안한 ridge regressive bilinear 모델이 bilinear 모델, 고유얼굴(eigenface) 방법, Quotient image 보다 좋은 인식 성능을 보여줌을 확인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