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gnition spot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8초

Mixer-type LPG차량에서 엔진역화에 의한 차량 파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amage by Engine Backfire in the Mixer-type LPG Vehicles)

  • 전광수;최성은;진영욱;정진은
    • 대한안전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09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223-229
    • /
    • 2009
  • The engine backfire leading to the damage to the intake system is observed in the mixer-type LPG engines. The hot spot flowing back into the intake manifold from the engine cylinder during the valve overlap period is known to give rise to the backfire. This backfire is known to be the main cause of the abrupt stop of the vehicle leading to the accidents on the streets. In this study, the cylinder pressure buildup at the later stage of combustion due to the prolonged burning is presumed to be the main cause of the backflow leading to the backfire. This is experimentally observed by creating the engine misfire using the ill-conditioned ignition systems.

  • PDF

MOSFET를 사용한 형광램프용 전자식 스타터 (An Electronic Starter Using MOSFET for Fluorescent Lamps)

  • 정영춘;곽재영;이동호;박규철;여인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F
    • /
    • pp.2075-2077
    • /
    • 1997
  • An electronic starter using MOSFET is developed to take advantage of ideal preheating and starting features which can extend the lifetime of fluorescent lamps. The preheating curcuit of the developed electronic starter is consisted of three parts - a full wave rectifier curcuit, an FET switching curcuit, and a timer curcuit for the gate switching. The curcuit allows sufficient preheating current flow before the starting to protect lamp filaments, nevertheless it shortens the Preheating time and enables a single pulse ignition at the peak level of the line voltag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fluorescent lamps of 20-40W range can be initiated within rather short time of $1{\sim}1.5sec$ with preheating current of 0.6A. The electronic starter withstands more than 70.000 cycles switchings without noticeable blackening due to anode spot. These features provide Proper evidences for the advantage of direct replacement with the new starter.

  • PDF

Optical and Thermodynamic Model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Long-range High-power Laser and Energetic Materials

  • Kisung Park;Soonhwi Hwang;Hwanseok Yang;Chul Hyun;Jai-ick Yoh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8권2호
    • /
    • pp.138-150
    • /
    • 2024
  • This study is essential for advancing our knowledge about the interaction between long-range high-power lasers and energetic materials, with a particular emphasis on understanding the response of a 155-mm shell under various surface irradiations, taking into account external factors such as atmospheric disturbances. The analysis addresses known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the use of non-realistic targets and the negligence of ambient conditions. The model employs the three-dimensional level-set method, computer-aided design (CAD)-based target design, and a message-passing interface (MPI) parallelization scheme that enables rapid calculations of the complex chemical reactions of the irradiated high explosives. Important outcomes from interaction modeling include the accurate prediction of the initiation time of ignition, transient pressure, and temperature responses with the location of the initial hot spot within the shell, and the relative magnitude of noise with and without the presence of physical ambient disturbances. The initiation time of combustion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a factor of two with atmospheric disturbance considered, while slower heating of the target resulted in an average temperature rise of approximately 650 K and average pressure increase of approximately 1 GPa compared to the no ambient disturbance condition. The results provide an understanding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high-power laser and energetic target at a long distance in an atmospheric condition.

MODIS Fire Spot 정보와 5km 기상 재분석 자료를 활용한 접근불능지역의 산불기상위험지수 산출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Fire Weather Index Model in Inaccessible Areas using MOD14 Fire Product and 5km-resolution Meteorological Data)

  • 원명수;장근창;윤석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9-204
    • /
    • 2018
  • 본 연구는 북한 및 비무장지대 등 접근불능지역에 대한 기상에 의한 산불발생예측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실제 현장과 현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시간 산불위험예보 체계를 개발하는데 있다. 산불기상위험지수 산출 모형 개발을 위해 자료의 취득과 검증을 위한 현장조사가 불가능하다는 연구적 한계가 존재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MODIS 위성자료를 활용하여 접근이 불가능한 지역의 산불발화지점(fire spot)을 과학적 근거를 가지고 추정하였다. 추출된 산불발화지점을 대상으로 기상청에서 생산된 과거 기상 재분석자료(5㎞ 해상도)를 활용하여 산불발화지점에 대한 기상특성을 추출하여 데이터베이스화 하였다. 접근불능지역의 산불발화지점에서 추출된 기상요소들은 산불발생과 기상요인들과의 통계적 상관성과 산불발생 유무(산불발생 1, 산불 미발생 0)를 추정할 수 있는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활용하여 실시간 기상변화에 의한 산불기상위험지수(Fire Weather Index, FWI)를 개발하였다. FWI 모형의 예측정확도는 66.6%로 나타나 모형의 적합도는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남 북한의 산불 방지를 위한 정책 입안자들의 의사결정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화재조사 및 수사 업무의 실태분석과 개선방안 (A Study on Problems and Solutions of Fire Investigation in Korean Fire Administration)

  • 이춘하;권호한;남상화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116-126
    • /
    • 2001
  •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화재조사 및 수사를 위해서는 화재조사 전담부서의 설치가 시급하고, 화재조사원의 충분한 확보와 이들의 전문성 강화가 필요하며, 화재감식 연구시설의 확충이 절실히 요구된다. 또한 화재조사업무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는 화재피해산정을 정확히 하도록 최선을 다해야 하며, 대외발표창구를 일원화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방화 및 실화범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너무 부족하였다. 앞으로 이에 대한 많은 연구와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본다. 집행유예의 선고시 부과할 수 있는 수강명령 등을 방화 및 실화범에게 적용하여 소방시설 및 안전교육 등을 받게 함으로써 재범을 방지하는 등의 사회적 노력과 예방 관리적 프로그램이 요망된다.

  • PDF

숲가꾸기 산물의 적재형태에 따른 산불위험성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Forest Fire Danger Rating on Accumulation Types of the Leaving of Thinning Slash)

  • 이시영;이명욱;이해평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45-53
    • /
    • 2008
  • 본 논문은 숲가꾸기 산물인 간벌목이 산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즉, 간벌목이 산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강원도 양양군과 인제군, 경기도 가평군의 숲가꾸기 실행지와 미실행 지역을 선정하였다. 이 조사대상지에 대하여 수종, 입지특성, 간벌강도, 숲가꾸기 종류, 간벌재의 적재행태 및 산불위험도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대상지인 양양군 5개소, 가평군 4개소, 인제군 5개소 총 14개 조사구에 대하여 숲가꾸기 실행지 9개소, 미실행지 5개소에 대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숲가꾸기 미실행지 5개소는 숲가꾸기 실행지와 인접한 조사지역을 선정하였고, 숲가꾸기 실행지와의 산불위험도에 대해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결과 숲가꾸기 실행지의 산물인 간벌목의 적재높이는 1 m 미만으로 적재되어 있어 산불연소시 수관부로 전파될 위험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러나 적재된 간벌목과 임목간의 거리가 거의 붙어 있어 적재된 간벌목에 산불이 붙을 경우 임목 줄기부(수간)에 직접영향을 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적재된 간벌목이 많이 쌓여 있을 경우 이로 인하여 재발화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