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gnimbrit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초

Groundwater and Surface Water Hydrology in the Lake Rotorua Catchment, New Zealand, and Community Involvement with Lake Water Quality Restoration

  • White, Paul A.;Hong, Timothy;Zemansky, Gil;McIntosh, John;Gordon, Dougall;Dell, Paul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7년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14
    • /
    • 2007
  • Water quality in Lake Rotorua, New Zealand, deteriorated since the 1960s because of excessive phytoplankton growths due principally to increasing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lake waters. Nutrient concentrations in eight of the nine major streams feeding Lake Rotorua have increased since 1965. The groundwater system has a key role in the hydrology of the Lake Rotorua catchment and the groundwater system is probably the control on the time delay between intensification of agricultural land use and response of surface water quality. All major, and many minor streams, in the catchment are fed by springs. Two lithological units are most important to groundwater flow in the Lake Rotorua catchment: Mamaku Ignimbrite, erupted in about 200,000 years ago and Huka Formation sediments which filled the caldera left by the Mamaku Ignimbrite eruption. Rainfall recharge to groundwater in the groundwater catchment of Lake Rotorua is estimated as approximately 17300 L/s. A calibrated steady-state groundwater flow model estimates that approximately 11100 L/s of this flow discharges into streams and then into the lake and the balance travels directly to Lake Rotorua as groundwater discharge through the lake bed. Land use has impacted on groundwater quality. Median Total Nitrogen (TN) values for shallow groundwater sites are highest for the dairy land use (5.965 mg/L). Median TN values are also relatively high for shallow sites with urban-road and cropping land uses (4.710 and 3.620 mg/L, respectively). Median TN values for all other uses are in the 1.4 to 1.5 mg/L range. Policy development for Lake Rotorua includes defining regional policies on water and land management and setting an action plan for Lake Rotorua restoration. Aims in the action plan include: definition of the current nutrient budget for Lake Rotorua, identification of nutrient reduction targets and identification of actions to achieve targets. Current actions to restore Lake Rotorua water quality include: treatment of Tikitere geothermal nitrogen inputs to Lake Rotorua, upgrade of Rotorua City sewage plant, new sewage reticulation and alum dosing in selected streams to remove phosphorus.

  • PDF

Detection of near surface rock fractures using ultrasonic diffraction techniques

  • Selcuk, Levent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17권6호
    • /
    • pp.597-606
    • /
    • 2019
  • Ultrasonic Time-of-Flight Diffraction (TOFD) techniques are useful methods for non-destructive evaluation of fracture characteristics. This study focuses on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ultrasonic diffraction methods to estimate the depth of rock fractures. The study material includes three different rock types; andesite, basalt and ignimbrite. Four different ultrasonic techniques were performed on these intact rocks. Artificial near-surface fracture depths were created in the laboratory by sawing. The reliability and accuracy of each technique was assessed by comparison of the repeated measurements at different path lengths along the rock surface. The standard error associated with the predictive equations is very small and their reliability and accuracy seem to be high enough to be utilized in estimating the depth of rock fractures. The performances of these techniques were re-evaluated after filling the artificial fractures with another material to simulate natural infills.

철원분지 동막골응회암의 분출유형과 분출과정 (Eruption Styles and Processes of the Dongmakgol Tuff, Cheolwon Basin, Korea)

  • 황상구;손영우;최장오;김재호
    • 암석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49-62
    • /
    • 2013
  • 동막골응회암은 대부분 화쇄류암으로 구성되지만 입도와 퇴적구조에 따라 암상을 분류하면 (1) 괴상응회각력암, (2) 용결 응회암 및 라필리응회암, (3) 유변상 응회암 및 라필리응회암이 있고 (4) 괴상 라필리응회암, (5) 성층화 라필리응회암, (6) 점이층리 라필리응회암, (7) 불량층리 라필리응회암과 (8) 괴상 세립질 응회암이 있다. 이 암상들은 상하로 3개 화성쇄설암군으로 구별하여 조합할 수 있다. 하부 화성쇄설암군(LI)은 괴상 라필리응회암, 용결 응회암 및 라필리응회암과 유변상 응회암 및 라필리응회암으로 조합되며, 화쇄류형성 분출로부터 끓어넘침 분출에 의한 화쇄류로부터 정치된 것이다. 중부 화성쇄설암군(LT+MI)은 하부에 성층화 라필리응회암, 점이층리 라필리응회암, 괴상 라필리응회암과 이들에 조합된 괴상 세립질 응회암으로 구성되고 중 상부에 괴상 라필리응회암, 용결 응회암 및 라필리응회암과 유변상 응회암 및 라필리응회암으로 조합된다. 이들은 외부물의 소량 유입으로 수증기마그마성 분출에 의한 화쇄써지로 시작하여 끓어넘침 분출의 화쇄류로 전환된 것이다. 상부 화성쇄설암군(lUT+uUT+UI)은 최하부에 성층화 라필리응회암, 점이층리 라필리응회암으로 조합되고, 하부에 괴상 응회각력암, 불량층리 라필리응회암, 괴상 라필리응회암과 괴상 세립질 응회암으로 조합되며 중 상부에 괴상 라필리응회암, 용결 응회암 및 라필리응회암으로 조합되며, 이들은 수증기플리니언 분출에 의한 써지로 시작해서 플리니언 분출에 의한 강하를 거쳐 끓어넘침 분출로 전환되어 화쇄류로부터 퇴적된 것이다. 결론적으로 동막골응회암에서 분출과정은 대체로 전 중 후기 화산작용이 단계별로 수증기플리니언 혹은 플리니언 분출로 시작하여 화쇄류형성 분출로 전환되고 끓어넘침 분출로 진행되는 순서를 밟았다. 그러나 전기 화산작용은 아마도 초엽의 수증기플리니언 혹은 플리니언 분출 없이 진행되었다.

백악기 구산동응회암 내 장석의 알바이트화 작용 (Albitization of feldspar in the Cretaceous Kusandong Tuff, Korea)

  • 정종옥;손영관
    • 암석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95-211
    • /
    • 2005
  • 백악기 경상분지의 대표적인 건층으로 알려진 구산동응회암은 하양층군 상부에 약 1-4m의 두께로 200km 이상 연장되어 나타나는 화쇄류 및 화쇄난류 기원의 결정질 응회암이다. 구산동응회암에 포함된 장석을 편광현미경, 전자 현미 분석기(EPMA), BSE(back-scattered electron) 이미지로 분석 및 관찰한 결과, 사장석은 대부분의 지점에서 거의 순수한 알바이트(>$97\%$ Ab) 조성을 띠며, 기질의 함량이 현격히 높은 최남단 지점에서는 부분적인 알바이트화 작용을 받았다. K-장석은 기질의 함량과 관계없이 전 지역에서 부분적인 알바이트화 작용을 받았다. 퍼사이트 조직과 체스판 쌍정, 벽개면 또는 미세절리를 따라 일어난 알바이트화 작용 그리고 기질의 함량과 알바이트화 작용의 상관관계 등은 구간동응회암이 매몰된 후 Na를 많이 함유한 외부유체에 의해 알바이트화 작용이 일어난 것으로 해석된다. 알바이트화 작용은 벽개면이나 절리면을 따라 우선적으로 시작되며 높은 기질 함량으로 인해 투수도가 낮고 외부유체의 침투가 어려운 경우 알바이트화 작용이 잘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구간동응회암의 사장석의 현재 조성은 대부분 알바이트이나 본래 조성은 올리고클레스(oligoclase)에서 안데신(andesine)의 조성범위(Ab62.5-Ab83.3) 가졌을 것으로 해석된다.

장기분지 데사이트질 응회암의 불석화작용 (Zeolitization of the Dacitic Tuff in the Miocene Janggi Basin, SE Korea)

  • 김진주;정종옥;신영재;손영관
    • 자원환경지질
    • /
    • 제55권1호
    • /
    • pp.63-76
    • /
    • 2022
  • 이산화탄소 지중저장 가능성 평가를 위해 시추한 결과, 장기분지 성동리층에 97~118m 두께의 데사이트질 응회암이 확인되었으며 내부구조와 입자조성에 따라 4개의 퇴적단위(퇴적단위 1~4)로 구분되었다. 퇴적단위 1은 육성환경, 퇴적단위 3, 4는 수중 환경에서 쌓인 화쇄류암(ignimbrite)이며, 퇴적단위 2는 화산휴지기에 쌓인 망상하천 퇴적암으로 데사이트질 응회암이 관찰되지 않는다. 박편분석결과, 모데나이트, 클리놉틸로라이트는 주로 유리를 교대하거나 기공을 충전하며 매몰-속성과정 동안 화산유리의 교대작용 및 용해-침전작용으로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클리놉틸로라이트는 퇴적단위 3에서 유리를 교대하는 경우가 기공을 충전한 경우보다 Si/Al비와 Na함량이 높으며 퇴적단위 4에서는 산출상태 및 지역에 상관없이 조성이 동일해 지는데, 이는 화산유리의 교대 및 용탈작용이 진행될수록 공극수의 Si/Al비와 pH가 증가했으며, 퇴적단위 3의 클리놉틸로라이트가 생성될 당시 동-서쪽의 공극수 조성이 달랐음을 지시한다. 또한, 모데나이트의 성장이 끝난 후 클리놉틸로라이트가 생성되었으며, 두 불석광물은 각 퇴적단위별로 순차적으로 생성된 것으로 해석된다. 종합해보면, 퇴적단위 1이 쌓인 후, 화산휴지기 동안 서고동저의 분지지형으로 인해 서쪽은 pH가 더 높았으나 스멕타이트의 성장으로 공극이 폐쇄되어 더 이상 불석광물 이 성장하지 못한 반면, 동쪽은 망상하천이 발달한 개방계 상태에서 지하수의 영향을 받아 클리놉틸로라이트가 성장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후 분지의 침강으로 퇴적단위 3, 4는 수중환경으로 변화였고 공극수는 점점 알칼리함량이 증가하여 결국 동-서쪽의 공극수 조성이 동일해 진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와 같이 유사한 조성의 응회암에서도 분지의 수계와 퇴적환경에 따라 다양한 불석광물이 공간적으로 다르게 분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