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gG concentration

검색결과 279건 처리시간 0.031초

Effects of dietary onion (Allium cepa) extract supplementation on performance, apparent total tract retention of nutrients, blood profile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s

  • Aditya, Siska;Ahammed, Musabbir;Jang, Seong Hun;Ohh, Sang Jip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2호
    • /
    • pp.229-235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onion (Allium cepa) extract (O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pparent total tract retention (ATTR), blood profil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in broilers. Methods: Four hundred male broiler chicks (Ross 308, 3-d old) were randomly allocated to four dietary treatments for 28 d feeding trial. Each treatment has five replications with 20 birds each. Four dietary treatments were designated according to the OE supplementation levels (0 as control, 5, 7.5, and 10 g of OE per kg of basal diet respectively). On d 28, a total of 20 birds from each treatment were subjected for ATTR, serum biochemical assay, carcass characteristic and organ weight measurement. Results: Overall weight gain of OE 7.5 g/kg group was higher (p = 0.04) than control group. The ATTRs of dietary energy (p<0.01) and ether extract (p = 0.04) linearly increased with increasing levels of dietary OE. However, no difference in ATTR of dry matter and crude protein was evident. Furthermore, serum IgG concentration increased linearly (p<0.01) and quadratically (p = 0.03) with increasing OE supplementation. No differences in carcass dressing weight and amount of abdominal fat by treatments were observed. Also, the weight of organ including immune organ was not different among the treatments. The TBARS values of 10 d stored breast meat decreased linearly (p<0.01) and quadratically (p<0.01) with increasing dietary OE levels. The meat color was also affected, with lower (p<0.01) redness score in meats from OE supplemented groups. This study showed that dietary OE improved broiler weight gain presumably by increasing feed intake and ATTR of both energy and ether extract. The dietary OE increased serum IgG level and meat anti-oxidation capacity. Conclusion: This study implies that the recommended level of dietary OE supplementation could be beneficial for improving broiler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Development of Competitive Direct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the Detection of Gentamicin Residues in the Plasma of Live Animals

  • Jin, Yong;Jang, Jin-Wook;Lee, Mun-Han;Han, Chang-Hoo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10호
    • /
    • pp.1498-1504
    • /
    • 2005
  • Competitive direct ELISA was developed to detect gentamicin residues. Mice immunized with gentamicin-keyhole limpet hemocyanin (KLH) conjugate developed good antiserum titers, which gradually increased with booster injections, indicating immunization was successfully processed. Monoclonal antibody against gentamicin was prepared using hybridoma cells cloned by limit dilution of fused cells. IgG was purified from ascites fluid of hybridoma cell-injected mice through ammonium sulfate precipitation and Sephadex G-25 gel filtration. After the gel filtration, fractions of high antibody titer were further purified through affinity chromatography on protein A/G column. Monoclonal antibody against gentamicin was confirmed as IgG1, which has kappa light chain. Cross-reactivities ($CR_{50}$) of gentamicin monoclonal antibody to other aminoglycosides (kanamycin, neomycin, and streptomycin) were less than 0.005%, indicating the monoclonal antibody was highly specific for gentamicin. Standard curve constructed through competitive direct ELISA showed measurement range (from 80 to 20% of B/$B_0$ ratio) of gentamicin was between 1 and 40 ng/ml, and 50% of B/$B_0$ ratio was about 4 ng/ml. The gentamicin concentration rapidly increased to 1,300 ng/ml after the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up to 2 h, then sharply decreased to less than 300 ng/ml after 4 h of withdrawal, during which the elimination half-life ($t_{1/2}$) of gentamicin in the rabbit plasma was estimated to be 1.8 h. Competitive direct ELISA method developed in this study using the prepared monoclonal antibody is highly sensitive for gentamicin, and could be useful for detecting gentamicin residues in plasma of live animals.

모돈 사료 내 만삼추출분말의 급여가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odonopsis pilosula extract powder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in sows)

  • 김기현;김광식;김조은;설국환;정현정;이성대;사수진;정영훈;박준철;김영화
    • 농업과학연구
    • /
    • 제41권3호
    • /
    • pp.221-228
    • /
    • 2014
  •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odonopsis pilosula extract powder (CEP) on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in sows. A total of 20 pregnant sow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dietary treatments, which was given a corn and soybean meal-based diets containing 0 or 5 g/kg of the CEP from 40 days prepartum to weaning (25 days postpartum). The serum immunoglobulin G (IgG) concentration of sow (p<0.01) and piglets (p<0.05)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feeding of CEP. And we also demonstrated that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the colostrum and serum indicate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on IgG. The stillbirth of sows and mortality rate during suckling periods were slightly lower in CEP feeding group than control,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dietary supplementation of CEP increases the humoral immunity in both of sows and piglets, and it might contribute to improve the reproductive performance of sows. Further, additory studies are necessary on the immunomodulatory mechanism of CEP components.

노화 촉진 생쥐에서 녹용의 조혈 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Hematopoietic Action of Pilose Antler in Senescence Accelerated Mice)

  • 김연태;김정숙
    • 생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1-377
    • /
    • 1996
  • In previous studies we reported that the levels of RBC, hemoglobulin (HGB) and hematocrit (HCT) in SAM P6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7 day after oral administration of the pilose antler extract, 5 g/kg/day, and were lasted during the study. Th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lucidate mechanism of erythropoietic action by the extract administration. SAM R1 and SAM P6 were chosen as experimental animals. At age of 12 weeks, pilose antler extract were given 0.3 and 5 g/kg/day (p.o.) each for 0, 7 and 14 days in both animals. Complete blood cells such as RBC, HGB, and HCT were counted. And plasma concentration of erythropoietin (EPO) which is the major regulator of erythropoiesis was measured using $^{125}I-antierythropoietin$ IgG. Total iron concentration in plasma was also analyzed. The levels of RBC and HCT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administration at both doses of 0.3 and 5 g/kg/day in SAM P6, however, these were increased only at dose of 5 g/kg/day in SAM R1. The plasma EPO concentration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administration in SAM P6. The plasma concentrations of total ir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administration of the extract in SAM P6.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changes in erythropoietic effects after the administration of pilose antler extract may be mediated, at least in part, through the change in the plasma EPO.

  • PDF

인유(人乳)와 우유(牛乳) 중에 함유(含有)되어 있는 Secretory Immunoglobulin A의 Salmonella속(屬) 성장억제(成長抑制)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Growth Inhibition of Salmonella by Secretory Immunoglobulin A in Human and Bovine Milk)

  • 배형철;김종우
    • 농업과학연구
    • /
    • 제21권2호
    • /
    • pp.122-132
    • /
    • 1994
  • 본(本) 연구(硏究)는 초유(初乳) 중(中)에 다량(多量) 존재하면서, 국소면역(局所免疫)을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Secretory immumoglobulin A (SIgA)를 분리(分離)하여 사람에게 급성위장병 및 집단 식중독을 일으키는 장독소형(腸毒素型) Salmonella속(屬) (S. enteritidis, S. typhimurium)의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시험하였다. 우유(牛乳) 초유(初乳) 중(中)에서 분리한 SIgA를 각각 $0.1{\sim}5.0mg/m{\ell}$의 수준이 되도록 stock solution을 제조하여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비교 검토하였으며, 한편 항균성물질(抗菌性物質로)로 알려진 egg lysozyme을 $0.5mg/m{\ell}$의 수준으로 단독(單獨) 첨가(添加) 및 SIgA와 혼합(混合) 첨가(添加)하면서, 그에 따른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검토(檢討)하였다. 1. 우유(牛乳) 초유(初乳) 중(中)에 존재(存在)하는 SIgA는 gel filtration 및 ion exchange chromatography 방법으로 순수하게 분리(分離)할 수 없었으며, 또한 SIgA rich fraction 중(中)에는 dimeric-$IgG_1$이 상당히 혼재(混在)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2. Human SIgA는 $0.5{\sim}1.0mg/m{\ell}$의 농도(濃度)에서 효과적인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보였으며, 그 이상의 농도(濃度)에서는 억제효과(抑制效果)의 증가추세가 둔화되었다. Bovine SIgA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진적인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보였으며, 특히 $2.0mg/m{\ell}$이상의 농도(濃度)에서는 뛰어난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보여 주었다. Bovine IgG는 Salmonella속 (屬) 2균주(菌株)에 대하여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보이지 않았다. Egg lysozyme의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는 bovine SIgA와 비슷한 경향을 나타냈으며 농도(濃度)를 증가시킬수록 억제효과(抑制效果)가 증가(增加)하는 경향을 보여 주었다. 3. Human SIgA와 egg lysozyme을 단독(單獨) 또는 혼합첨가(混合添加)하면서 시간 경과에 따른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시험한 결과, 2균주(菌株) 모두에서 egg lysozyme은 대조구(對照區)에 비하여 월등한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나타내는 반면 human SIgA 단독(單獨) 및 egg lysozyme과 혼합처리구(混合處理區)에는 경미한 억제효과(抑制效果)를 나타내었다. 4. Bovine SIgA와 egg lysozyme을 단독(單獨) 또는 혼합(混合) 첨가(添加)하면서 시간경과에 따른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시험한 결과, S. enteritidis의 경우 세처리구 모두 월등한 성장억제(成長抑制)를 보였으며, S. typhimurium의 경우 egg lysozyme 단독처리구(單獨處理區)만 뛰어난 성장억제효과(成長抑制效果)를 보여 주었다.

  • PDF

합곡의 구진약침이 흰쥐의 염증성 대장염에 미치는 치료 효과 (Effects of Moxi-tar Herbal Acupuncture at LI4 (HapGok) on TNBS-induced Colitis in Rats)

  • 송재수;양범식;김선영;홍정아;송정방;김경식;김재효;권오상;손인철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24권2호
    • /
    • pp.217-230
    • /
    • 2007
  • Objectives : Ulcerative colitis or Crohn's disease has been recognized as Ha-ri (下痢) or Jang-Byok in Korean oriental medicine. A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moxi-tar herbal acupuncture at LI4 (HapGok) on 2,4,6-trinitrobenzene sulphonic acid (TNBS) induced colitis in rats and further elucidate the possibility of herbal acupuncture on ulcerative colitis which is chronic inflammatory disease of the gastrointestinal tract. Methods :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70{\sim}190$ g, were subjected to intrarectal injection of either saline (300 ${\mu}l$, 500 ${\mu}l$) for a control or 2,4,6-trinitrobenzene sulphonic acid (TNBS) (300 ${\mu}l$, 500 ${\mu}l$) for a colitis, Moxi-tar (20 mg/ml) were subcutaneously injected to the LI4 just after the secondary injection time of TNBS in rats. To study the effects of Moxi-tar acupuncture in LI4, body weight, RBC count, WBC count, total protein, Paw edema rate, rate of protein leakage into CMC-pouch fluid, IgG levels and IgM levels were observed. Results: Moxi-tar acupuncture in LI4 on TNBS-induced colitis inhibited the body weight lose rate but not effect RBC, WBC count. In addition, it inhibited the reduction of total protein concentration, paw edema, rate of protein leakage into CMC-pouch fluid, IgG levels and IgM levels. Conclusions : It is suggested that moxi-tar herbal acupuncture at LI4 helps to recover TNBS-induced colitis and plays an important role for an treatment of the irritable bowel syndrome (IBS).

  • PDF

RBL-2H3 세포에서 차조기씨 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 (Anti-Oxidative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Perillae Semen in RBL-2H3 Cells)

  • 김정미;김대중;김태혁;김현숙;최면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4호
    • /
    • pp.367-373
    • /
    • 2010
  • RBL-2H3 세포에서 차조기씨 물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염증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DNP-IgE와 HSA로 세포를 활성화시켰다. 활성화된 비만 세포에서 분비되어 나오는 히스타민을 효소적 방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염증성 사이토카인 IL-4과 TNF-$\alpha$의 생성량은 ELISA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차조기씨 물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되었으며, $1,000\;{\mu}g$/mL농도에서 DPPH와 hydroxyl radical 소거능이 각각 38.9, 93.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차조기씨에 함유된 130.7 mg/g의 높은 페놀 함량에 기인하여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차조기씨 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세포에서는 현저히 높은 양의 히스타민을 분비하였지만, 각 추출물의 농도로 처리시킨 세포에서의 분비량은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IL-4와 TNF-$\alpha$의 분비량 모두 차조기씨 물 추출물을 처리군은 대조군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은 생성량을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차조기씨 물추출물은 비만세포에 항원-항체 반응으로 인해 발병되는 제1형 알레르기 반응의 약학적 효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나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용되며, 향후 이에 대한 심층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급성 홍역 뇌증 환아들의 뇌 SPECT 소견과 유용성 (The Findings and Significances of Brain SPECT in Acute Mealses Encephalitis)

  • 김정철;정주미;은소희;이대열;김정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11호
    • /
    • pp.1373-1380
    • /
    • 2002
  • 목 적 : 홍역은 전염력이 매우 높은 급성 유행성 전염병으로 감염 후 뇌척수염, 홍역 봉입체 뇌염 그리고 아급성 경화성 전뇌염의 3가지 신경계 합병증을 일으킨다. 본 연구에서는 홍역 후 급성 뇌염이 발생한 환아들의 임상 양상, 경과 및 결과와 뇌 SPECT의 양상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2000년 10월부터 2001년 1월까지 4개월 동안 홍역 후 의식저하, 경련, 마비 등의 특징적인 뇌염증상을 보여서 전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입원한 11명의 환아를 대상으로 뇌척수액 검사, 홍역 특이항체 검사, 뇌파검사, 뇌 SPECT와 뇌 자기공명영상을 실시하였다. 결 과: 11명의 대상 환아들의 남녀 비는 남아 4명, 여아 7명으로 여아가 많았으며, 연령은 18개월에서 14세까지로 평균 연령은 10.5세였고, 8세 이상의 연장아가 10명(90.9%)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홍역 예방접종은 11명 중 10명은 1차 예방 접종을 실시했으며 1명은 실시하지 않았고, 2차 예방 접종을 실시한 환아는 없었다. 뇌척수액의 백혈구는 $158{\pm}157/{\mu}L$이었고 단백은 $124{\pm}60mg/dL$이었다. 홍역 특이항체는 혈청에서는 IgG/M이 10명에서 양성이었고 1명은 모두 음성이었으며, 뇌척수액에서는 9명에서 IgG가 양성이었고 1명에서는 IgM이 양성이었다. 11명에서 실시한 뇌 SPECT는 모두 비정상 소견을 보였고 뇌 자기공명영상은 7명에서 비정상 소견을, 4명에서는 정상 소견을 보였다. 뇌 SPECT에서 혈류 감소는 전두엽(9명), 측두엽(9명), 두정엽(8명), 시상(8명) 부위가 많았고 이외에 기저핵(5명), 후두엽(4명), 소뇌(2명)에서도 혈류감소가 관찰되었다. 결 론: 홍역과 홍역의 심각한 신경계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2차 예방 접종을 시행하여야 하고 홍역에 대한 감시체계의 확립 및 홍역 유행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요구된다. 뇌 자기공명영상에서 정상인 4명 모두가 SPECT에서는 혈류 감소가 관찰된 점으로 미루어 보아 보이지 않은 뇌의 손상이 있었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으며, 감염후 뇌염이 발생한 환아의 뇌 손상 여부를 평가하는데는 뇌 자기공명영상보다 뇌 SPECT가 보다 예민할 것으로 생각된다.

혼합생약제(고뿔®)의 첨가가 육성돈의 성장, 면역관련 혈액학적 지표, 분내 휘발성 지방산과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Herbal Plant Mixture (Koppuul® on Growth Performance, Blood Immunological Parameters, Fecal VFA and NH3-N Concentrarions in Growing Pigs)

  • 조진호;진영걸;민병준;김해진;유종상;고태구;현영;김인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375-382
    • /
    • 2006
  • 본 시험에 사용된 생약제제는 지황, 천궁, 감초, 오미자, 차전차, 산약, 둥글레, 당귀 및 황백 등 24가지의 생약을 적절히 배합한 혼합생약제제(고뿔??)로서 육성돈 사료에 첨가 급여시 생산성, 혈액 내 면역관련 혈액학적 지표, 분내 휘발성 지방산 및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시험동물은 3원 교잡종(Landrace×Yorkshire×Duroc) 육성돈 8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개시시의 체중은 16.35±0.05kg 이었고 1) NC (negative control; antibiotics-free diet), 2) PC (positive control; NC diet added 0.16% antibiotic), 3) NCK0.2 (NC diet added 0.2% herbal product(koppuul??)), 4) PCK0.1 (PC diet added 0.1% herbal product (koppuul??))로 4개 처리를 하여 처리당 5반복 반복당 4두씩 임의 배치하여 42일간 실시하였다. 총 사양시험 기간 동안 일당증체량에서는 PCK0.1구와 PC구가 NC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P<0.05) 사료효율에서는 PC구가 NC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혈액 내 백혈구수와 IgG 함량의 변화는 PC, NCK0.2와 PCK0.1구가 NC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5). Lymphocyte의 경우 PCK0.1구에서 증가량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P<0.05).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을 보면 NCK0.2구가 항생제를 첨가한 PC구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결과를 보였다(P<0.05). 건물과 질소 소화율에서는 항생제를 0.16% 첨가한 PC구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전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육성돈 사료 내 생약제 또는 항생제 첨가시 일당증체량, 혈액 내 백혈구수와 IgG 함량을 증가시키고 분내 암모니아태 질소 함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β-Glucan 제제들이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 성상과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β-1,3-glucan Supplements on the Performance, Blood Parameter, Small Intestinal Microflora and Immune Response in Laying Hens)

  • 박광월;이아름;이인영;김미경;백인기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83-190
    • /
    • 2008
  • 본 실험은 Beta-glucan 제제들이 산란계의 생산성, 혈액성상, 소장내 미생물 균총 및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사양 실험은 40주령의 산란계(Hy-Line Brown) 720수를 선별하여 A형 2단 케이지에 대조구 포함 총 5처리구로 구성하여 처리당 4반복 반복당 36수씩 randomized block design으로 배치하였다. 시험 기간 동안 물과 사료는 자유 섭취하게 하였으며 일반적인 점등 관리(자연일조+조명:16 hr)를 실시하였다. 시험구는 대조구, $BetaPolo^{(R)}$ (미생물 발효 ${\beta}-glucan$, 수용성)구, $HiGlu^{(R)}$(미생물 발효 ${\beta}-glucan$)구, $OGlu^{(R)}$(Oat ${\beta}-glucan$)구 그리고 $BGlu^{(R)}$(Barley ${\beta}-glucan$)구 등 5처리구로 두었다. 생산성에 있어서 일계 산란율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hen-housed egg production에 있어서 OGlu구가 HiGlu 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 사료 섭취량과 사료 요구율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모든 ${\beta}-glucan$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낮았다. 계란 품질에 있어서 난각 강도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beta}-glucan$ 처리구들이 유의하게 높았고 그 중에서 BGlu구가 가장 높았다. 난각색과 Haugh unit는 ${\beta}-glucan$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았는데 특히 OGlu구가 가장 낮았다. 혈액성상에 있어 leucocytes는 전반적으로 ${\beta}-glucan$ 처리구들이 대조구보다 낮았다. Erythrocytes 중 적혈구 용적율(HCT)과 평균적혈구용적(MCV)은 처리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는데 MCV는 ${\beta}-glucan$ 처리구들이 대조구에 비해 높은 수준을 보였다. 특히 ${\beta}-glucan$ 처리구중에서 OGlu구가 leucocytes와 erythrocytes 수준이 가장 높았다. 소장내 미생물 균총도 처리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Cl. perfringens 의 경우 모든 ${\beta}-glucan$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난황내 IgY 함량에 있어서는 전체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시험 마지막 5기에 ${\beta}-glucan$ 처리구 들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액내 IgG, IgA 함량에 있어서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산란계에 ${\beta}-glucan$ 제제들의 급여가 사료 요구율과 난각 강도를 유의하게 개선시켰는데 혈액성상, 장내 미생물 균총, 면역 기능 등에 순기능적 개선에 의한 결과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