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eology and architecture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2초

The System of City Planning and Development in North Korea: Focused on Development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KIC)

  • Yang, Sukwoo;Kwack, Dongwha
    • Architectural research
    • /
    • 제16권3호
    • /
    • pp.109-120
    • /
    • 2014
  • South and North Korea, the divided nations on the Korean peninsula, began with the same modern city planning system, but following the adoption of different national ideologies-capitalism and socialism-, they established their own city planning system and developed their cities accordingly. However, the process of planning and developing a joint city of Kaesong Industrial Complex (KIC) led to the recognition about the need to bridge the differences and prepare for future joint development. This study examines North Korea's city planning system by comparing the two Koreas' systems, and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city planning system through a case analysis of the KIC. By comparing two cases, we found two distinct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The one is a tool for realizing ideologies and maintaining national system. The other one is that it is ideology-oriented system for the supreme leader and party while South Korea has control-oriented system for the public. We analyze the KIC case based on four pillars: planning system, development system and procedure, master plan, and use behaviors. Result of analysis shows that in KIC there are many socialistic features as we mentioned above in terms of planning system, urban design & structure, and use behavior even though a private enterprise-Hyundai Asan, in South Korea led the whole proces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s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North Korea's city planning focusing on the KIC and is expected to serve as a baseline material to set the future direction for North Korea's development.

Evaluation of Common Activity and Life in Swedish Cohousing Units

  • Choi, Jung-Shin;Paulsson, Jan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2권2호
    • /
    • pp.133-146
    • /
    • 2011
  • This study evaluates common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Swedish cohousing units to examine whether Swedish cohousing functions properly or not. A questionnaire survey was fulfilled during the autumn of 2010 in G$\ddot{o}$teborg Sweden. The subjects of study were 12 of 44 cohousing units in Sweden that included 4 of the +40 cohousing and 8 of the mixed-age cohousing. A total of 242 of 353 distribut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68.6%) and analyzed by SPSS statistical pro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are that they are mostly healthy, evenly aged from age 50s to 70s and highly educated with significant proportions of academics and civil workers. There are more females than males and more singles than cohabitants. 2) The most frequent and preferred common activity is a common meal followed by a coffee meeting. A common dinner, the 'hub of living together' is held almost every day or at least a few times a week. A common meal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activities because of practical and social advantages in that residents can save time and cooking costs as well as engage in social contact. Referring to evaluation of frequency and content of common activity, more than a half of the respondents prefer the current situation. 3) All of the variables (except health conditions and education level) affect participation in common activity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4) Most of the respondents indicate a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are willing to recommend others move to cohousing. They agree that there is more mutual support among residents in cohousing units than in a conventional community. In conclusion, Swedish cohousing units function successfully as they have pursued intentional community ideology and most of the residents are proud of their current living situations.

르 꼬르뷔제 집합주택의 공·사 공간 개념 및 공간구성 방식 연구 (A Research on the Idea of Public and Private Spaces and the Spatial Composition of Le Corbusier's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 박은정;손세관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6권5호
    • /
    • pp.153-161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Le Corbusier's idea of public and private spaces, and the hierarchical spatial structure in his multi-family housings. It investigates the origin of Le Corbusier's ideology about the public and private spaces in his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Precedents those influenced his ideas are two: first, Fourier's ideal community model $Phalanst\grave{e}re$; second, Monastery of Ema near Florence. In both cases, private and public spaces and intermediate spaces were in clear hierarchy and also in harmony. Le Corbusier focused on the interplay of individual and collective life.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composition of Le Corbusier's three multi-family housing models. They are Immeubles-Villas of Ville contemporaine pour 3 millions d'habitants (1922), Immeubles-Villas at Pavillion of l'Esprit Nouveau (1925), Unite d'habitation at Marseille (1945). The three projects are different according to size and periodic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y followed his basic principle for spatial composition about multy-family housing. His 'method of harmony for public and private space' is as follows: first, the securing of clear personal space; second, the importance of the intermediate space; Third, the essential understanding of communal space. Through this study, it was reaffirmed that the 'multi-family housing is a space where individuals and the whole co-exist'.

1960-70년대 누정 공간의 사회적 생산과 문화정치적 함의 - 파주 화석정(花石亭)을 중심으로 - (The Social Production of Nujeong Space in the 1960s and 70s and Its Cultural-political Implications - Focusing on Hwaseokjeong in Paju -)

  • 전국조
    • 건축역사연구
    • /
    • 제32권5호
    • /
    • pp.95-105
    • /
    • 2023
  • Focusing on Hwaseokjeong in Paju, the work seeks to clarify the social production of Nujeong (樓亭: Korean traditional pavilions) space, which took place over the 1960s and 70s, and its cultural-political implications. To make the effort as such meaningful, a theoretical framework based not merely on the thesis of 'social production of space' advocated by Henri Lefebvre but especially on some discussions related to 'state production of space' is prepared, according to which Hwaseokjeong is analyzed and explained. As a consequence, two principal arguments are put forward: one is that Hwaseokjeong was a social space which had been built and constructed in accordance with the unique mode of production dominating Korean society at that time called 'the state mode of production (le mode de production étatique)'; the other is that what lies beneath the denotation of a 'social space of tradition restoration' that Hwaseokjeong appears to carry is in fact the connotation of 'infiltration of anti-communist ideology'. All of these claims are once again supported both by examining Roland Barthes's semiology and mythologies and by considering Hwaseokjeong's P yeonaek (扁額: a plaque or framed text) as 'the practice of naming power through Jesa (題詞: inscribing dedications)'. While providing a succinct summary, the paper finally evaluates what 'social production of space' implies to social practices of architecture and related criticisms by taking into account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bility and readability of space including buildings.

아돌프 로스와 하라 히로시의 주거건축에 나타나는 피복의 조작을 통한 공간구성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thod of Spatial Composition by the Operation on the Cladding in the Housing Design of Adolf Loos and Hiroshi Hara)

  • 민건희;윤철재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45-52
    • /
    • 2014
  • Adolf Loos and Hiroshi Hara are very well known for their distinctive method of spatial composition. Adolf Loos showed white silent outer facades from his strong aversion to the ornament, whereas dynamic and rich inner space by the principle called 'Raumplan' in his housing design. Hiroshi Hara, one of the most influential architects in modern Japanese architectural history, designed a series of controversial houses with radical design by his 'Yukotai Theory' and the thought of 'Reflection House'. Even they have no common in regional background or the period of their works, both similarly have shown their own focus on cladding surface as an important design language.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paper investigates the design method of those two architects focused on the similar points and also the differences of their approaches to cladding in housing design. In conclusion, in case of Adolf Loos, the cladding is a tool to create completely safe and pure inner space by separating from the outside. On the other hand, the cladding of Hiroshi Hara has the meaning of social ideology that individuals must follow the principles of a dominant structure, which is the reason why the cladding should be removed. However there exists something in common also. They radically denied the outer circumstances and had a firm belief that the requests from the inside living space were the more influential factors.

'ㄱ'자형 교회 건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ㄱ-shaped Church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 홍승재;이명관
    • 건축역사연구
    • /
    • 제7권4호
    • /
    • pp.113-130
    • /
    • 1998
  • This is a study on the ㄱ-shaped church in Korean Protestant churches. Since the Protestantism had been introduced into Korea, the style of ㄱ-shaped church was the popular style that have been fashioned in all the country of Korea. When the Protestantism was introduced into Korea, ideology which ruled over the Society of Chosun Dynasty was the Confucianism that emphasized the precepts, for example, the loyalty for the King,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and so on. The Korean Protestants built the church which had ㄱ-shaped plan, so that they solved the second problem : 'distinction between the sexes'. The style of the ㄱ-shaped chur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which distinguish the Korean church from other nations'. Actually the ㄱ-shaped churches had been built by Korean Protestant denominations, from the early days of introducing the Protestantism till the end of 1920's. Even though most of the style of the ㄱ-shaped church is replaced with the modern style according to the extension of religious influence, luckily the ㄱ-shaped two churches : Kumsan Church(1908), Toodong Church(1929) are in existence in the Provice of ChonBu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ㄱ-shaped church clear. This study is based on the actual survey of the ㄱ-shaped churches in existence: Kumsan Church, the Toodong Church and on the documents, photographs, interviews and so on for investigation not existing one now. The ㄱ-shaped church have the plan to separate men's side from women's with a right angle and have a pulpit which was placed at the meeting point of the front part of men's and women's sides. Generally, seen from the court, the churches have men's side in left and women's one in right. There was a screen blocking both sides in the church. But it disappeared in 1920's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ocial conventionality. Most of its structural form is the Korean wooden style. The ㄱ-shaped church appeared in a transition period of the Korean church architecture.

  • PDF

가람(嘉藍) 이병기 생가(李秉岐 生家) 수우재(守愚齋)에서 찾는 소박함과 선비정신 (The Rusticity and Spirit of Scholars Found at Suwoojae, the Birth House of Garam Byungi Lee)

  • 김정식;노재현;김정문;오현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1
    • /
    • 2010
  • 본 연구는 가람의 문학적 성과 중 자연관 등에 대한 문헌조사를 바탕으로 가람 이병기의 생가 수우재에 대한 실측 도면조사 그리고 현지답사 등의 고찰을 통하여 가람의 시조 문학적 특성의 가장 핵심어로 회자(膾炙)되는 '소박함'과 '선비정신'이 정원의장 및 공간특성에 어떠한 형태로 표출되고 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우재의 입지는 용화산 줄기를 배산으로, 동쪽으로 노령산맥의 지맥에서 분기된 천호산을 안산으로 입지하며, 가람 시의 회고와 애착공간으로 자주 드러나고 있음에서도 엿볼 수 있듯이 수우재의 장소성은 인걸지령론(人傑地靈論)과 관련된 양택 명당과 관련 깊은 것으로 해석된다. 2. 조선 후기인 1844년에 가람의 조부 이조흥에 의해 건립된 수우재는 안채의 일부가 정지(부엌)와 이어진 ㄱ자형의 고패집으로 구성되었으며, 4칸의 사랑채와 3칸의 고방채, 안채의 뒤쪽에 장독대를 중심으로 여유로운 민가 정원구성을 이루고 있다. 3. 수우재 내 외의 공간구성은 담장과 건축물의 영역이 세분화된 가운데 동선 변화가 나타나고 있어 시선의 다양함을 느낄 수 있으며, 승운정을 비롯해 정원 곳곳에서는 가람의 존재감 및 일상생활이 녹아든 시적 세계가 담긴 철학적인 영역의 공간감이 감지된다. 4. 수우재의 주요 정원시설은 사랑채 전면에 위치한 단아한 장방형의 연지, 곳곳에 산치(散置)된 괴석 그리고 차경 목적으로 낮게 둘러친 담장 등에서 소박한 미의식을 바탕으로 한 선비의식과 자연친화적 정원 면모를 읽게된다. 5. 수우재의 조경식물 중 주로 연지 주변에는 배롱나무, 살구나무, 일본목련, 산수유, 향나무, 배롱나무, 동백나무 등이 식재되었으며, 내원에는 감나무, 대추나무, 자두나무, 모과나무 등 유실수 위주의 실용적 식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승운정 후면에 악센트용으로 식재된 수령 200년 이상의 탱자나무는 특히 주목된다. 6. 가람의 시 중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자연을 관조하는 시이고 다음이 풍류를 담은 시이듯 수우재 주변의 다채로운 자연경관적 요소는 가람 시의 시적공간으로 설정된 자연공간의 소재 및 주제를 전환되는 모티브적 환경으로 보이는데 이는 승운정기(勝雲亭記) 등에서도 나타나는 자족의 심정과 동일한 것으로 파악된다.

송대(宋代) 유가와 도교에 근거한 원림 문화와 사상 고찰 - 주희(朱熹)와 백옥섬(白玉蟾)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Garden Culture and Ideology based on the Confucianism and Taoism of the Song Dynasty - Focused on Zhū Xī(朱熹) and Báiyùchán(白玉蟾) -)

  • 박소현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10-20
    • /
    • 2023
  • 남송 유가와 도교 사상문화의 대표인 주희와 백옥섬은 그 사상문화의 기조에 따라 무이산이라는 동일한 공간을 달리 인식하고 향유하는 양상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주희와 백옥섬이 무이산에서 기거했던 무이정사와 지지암을 통해 그들의 복거 양태를 통해 사상과 경관(공간) 인식을 규명한다. 이를 바탕으로 구곡 관련 경물 음영시문을 근거로 무이구곡 제1곡에서 제9곡에 이르는 '이보음영[移步吟詠]'의 동적인 과정에서 나타난 양자의 경물 인식과 완상 체계를 규명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동일한 경물이어도 조망자의 문화 사유 양식에 따라 해석되는 경물의 함의와 공간인식이 달리 나타난다. 둘째, 송대 유가와 도가 사상문화가 융화 발전하는 과정에서 상대 사상의 장점을 섭수원용(攝受援用)하여 각자의 사상의 단점을 보완하는 과정에서 비록 유가와 도가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를 사용한다고 할지라도 각 그들의 구경(究竟)의 종지(宗旨)에 따라 각 명제의 함의가 다름을 규명하였다. 셋째, 남송 성리학을 집대성한 유학의 대표, 주희에게 있어 무이정사와 무이구곡은 외물의 경계에 완상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모든 곳이 일상생활에서 도[理]와 합일되는 '자연합일'을 추구하는 강학처요, 구도처이다. 이는 유가의 학문 목적인 '복기성[復其性]'의 일환이며, 수려한 산수를 통해 '성정함양(性情涵養)'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남송 도교 금단파의 대표, 백옥섬에게 있어 지지암과 무이구곡은 태상원로부터 비롯한 유구한 연원을 가진 도교 도량으로 연단을 통해 성선(成仙)을 추구하는 청정 수행처이다. 이에 무이구곡에 남았는 도교 신화 전설과 관련해 이를 직접 인용하여 신선들의 향연과 신녀, 선태(仙蜕) 등을 등선(登仙)의 일환으로 인식하고 인간세계를 완전히 초탈하여 우화(羽化)를 염원한다. 이에 무이산을 신선화, 선계화(仙界化)하여 그 안에서 자신 역시 신선이 되어 향유하는 의경과 주지로 시문을 관통하고 있다.

밀양 칠탄정 경영과 칠리탄 16경의 경관특성 (A Characteristics of 16 Scenes of Chilitan and Management of Chiltanjung, Milyang)

  • 김수진;정해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2-36
    • /
    • 2019
  • 본 연구는 오한 손기양이 경영한 칠리탄 일원의 경관특성을 고찰함으로써 조선 16~17세기 선비가 지향했던 출처관과 이상적인 경관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칠탄정십육경도」에 묘사된 그림과 시문 그리고 현장답사를 진행하여 각 경의 구조와 해석을 진행하였다. 오한은 광해군 4년 조정의 정치가 날로 문란해지자 은거를 결심하고 낙향하게 되는데, 평소 엄자릉의 은일적 삶을 흠모하여 엄자릉이 칠탄을 경영한 것과 같이 원래의 종천을 칠리탄이라 이름하고 그 주변 정자에 짓고, 낚시하는 장소를 마련하는 등 자연에 귀의하는 삶을 살고자 하였다. 하지만 은거를 하고 있음에도 임금과 조정을 걱정하는 등 도학적 출처관을 지향하고 있으며, 칠탄정 원림 건물의 각 기둥에 이름을 붙임으로써 수신, 안빈낙도 등의 성리학적 사유와 무위자연을 표상하고자 하였다. 현재의 모습은 1936년 모습이며, 읍청당을 중심으로 운강루, 벽립재, 칠탄정 등이 위치하고 있다. 원림 주변에는 '진암수석', '기암', '오한손선생장구지소', '조기' 등의 각자가 남아있어 당시의 장소정체성을 유추할 수 있다. 또한 중건기 등의 기록에 의하면 칠탄정 주변으로 소나무를 비롯한 전나무, 오동나무, 은행나무, 연꽃, 복숭아, 대나무 등이 식재되었다고 하며, 현재 은행나무와 배롱나무, 소나무와 밤나무가 발견되는데, 식물의 상징성과 실용성을 고려하여 식재한 것으로 추정된다. 칠탄정 16경의 경관묘사 방법은 '장소+경관(행위)'의 구조로, 칠탄정을 중심으로 근경, 중경, 원경이라는 장소적 특징을 분류하여 해석하였으며, 칠탄정 일원의 각 경관을 은자를 비롯한, 군자, 신선사상, 향토경관, 태평성대 등을 상징화하여 유교적 이상향을 노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문(記文)을 중심으로 고찰한 임대정원림(臨對亭園林)의 입지 및 조영 특성 (Location and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Imdaejeong Wonlim based on Documentation)

  • 노재현;박태희;신상섭;김현욱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14-26
    • /
    • 2011
  • 임대정원림은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사평리 상사마을 끝자락에 서북향하여 자리하는데, 16C 남언기에 의해 조성된 고반원을 기반으로 1862년 사애 민주현에 의해 작정되었으며, 봉정산과 사평천을 배산임수하여 풍수적으로 번영과 행복을 상징하는 학체형국(鶴體形局)의 서출동류하는 길지이다. 공간구성은 '사애선생장구지소'로 각자된 표석과 향나무가 어우러져 있는 앞뜰(전원(前園))과 정자와 방지원도형 연못을 포함하는 '대상부(臺上部)'의 내원(內園), 신선도를 둔 2개의 연못으로 이루어진 '대하부(臺下部)'의 수경원(水景園) 그리고 봉정산 수림과 외남천(사평천) 및 농경지를 포함하는 외원(外園) 등 총 5개 권역으로 구성됨으로써 임대정을 중심으로 위요 중첩된 원림적 속성이 강하게 표출된다. 시문과 현장조사 결과, 임대정원림은 안분지족의 의미를 담고 있는 기임 등 임수대산(臨水對山)한 터에 수심양성의 거점을 경영코자 했던 은일처로서의 장구지소, 귀거래를 위한 별서원림, 대자연의 도와 일체화를 이루고자 한 세심처(洗心處) 등의 작정동기가 확인되며, 애련설에 근거한 향원익청(香源益淸)적 개념의 피향지와 읍청당, 방지원도 그리고 도합 3개로 이루어진 삼신선도의 신선사상 등 다양한 의경 요소가 함축된 원지(園池)를 보이고 있다. 임대정원림의 경관처리기법으로는 봉정산의 원경과 달빛 투영미를 의도한 인경(引景), 사방에 펼쳐진 산수경관과 문화경관의 환경(環景), 대경(對景)으로서 도입된 목가적 전원의 차경, 수륜대로의 앙경(仰景)과 연못으로의 부경(俯景), 정자와 오솔길에서 취할 수 있는 정관(靜觀)과 동관(動觀), 계류수와 연못 등 수경공간의 인경(隣景), 버섯 또는 우산처럼 보이도록 유도된 임대정으로의 관경(觀景), 버드나무 어우러진 연못의 간경(看景), 격물치지의 의미를 담아 관념을 대입한 암각글씨의 의경(意境), 해돋이와 해넘이를 동시에 취할 수 있는 취경(取景) 등이 중첩되어 펼쳐지는 다양한 경관기법이 발견된다. 건립 초기에는 주로 은행나무, 대나무, 버드나무,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뽕나무, 가래나무, 오동나무 그리고 매화와 연 등의 식물이 도입된 것으로 보이는데, 전반적으로 유가적 품격을 반영하거나 도가적 풍류관, 미래번영을 염원하는 봉황사상 등이 내재된 의미경관적 면모를 엿볼 수 있다. 더불어 연못 주변에 도입된 열식법, 정자 주변에 펼쳐진 총식과 환식법, 녹음수를 활용한 점식법, 기념식수한 오동나무 등의 고식법, 소나무와 전나무를 양과 음으로 대응시킨 대식법 등 다양한 식재기법을 추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