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기문(記文)을 중심으로 고찰한 임대정원림(臨對亭園林)의 입지 및 조영 특성

Location and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Imdaejeong Wonlim based on Documentation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박태희 (동신대학교 조경학과) ;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김현욱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Park, Tae-Hee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shin University) ;
  • Shin, Sang-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Kim, Hyoun-Wu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투고 : 2011.08.31
  • 심사 : 2011.12.12
  • 발행 : 2011.12.31

초록

임대정원림은 전라남도 화순군 남면 사평리 상사마을 끝자락에 서북향하여 자리하는데, 16C 남언기에 의해 조성된 고반원을 기반으로 1862년 사애 민주현에 의해 작정되었으며, 봉정산과 사평천을 배산임수하여 풍수적으로 번영과 행복을 상징하는 학체형국(鶴體形局)의 서출동류하는 길지이다. 공간구성은 '사애선생장구지소'로 각자된 표석과 향나무가 어우러져 있는 앞뜰(전원(前園))과 정자와 방지원도형 연못을 포함하는 '대상부(臺上部)'의 내원(內園), 신선도를 둔 2개의 연못으로 이루어진 '대하부(臺下部)'의 수경원(水景園) 그리고 봉정산 수림과 외남천(사평천) 및 농경지를 포함하는 외원(外園) 등 총 5개 권역으로 구성됨으로써 임대정을 중심으로 위요 중첩된 원림적 속성이 강하게 표출된다. 시문과 현장조사 결과, 임대정원림은 안분지족의 의미를 담고 있는 기임 등 임수대산(臨水對山)한 터에 수심양성의 거점을 경영코자 했던 은일처로서의 장구지소, 귀거래를 위한 별서원림, 대자연의 도와 일체화를 이루고자 한 세심처(洗心處) 등의 작정동기가 확인되며, 애련설에 근거한 향원익청(香源益淸)적 개념의 피향지와 읍청당, 방지원도 그리고 도합 3개로 이루어진 삼신선도의 신선사상 등 다양한 의경 요소가 함축된 원지(園池)를 보이고 있다. 임대정원림의 경관처리기법으로는 봉정산의 원경과 달빛 투영미를 의도한 인경(引景), 사방에 펼쳐진 산수경관과 문화경관의 환경(環景), 대경(對景)으로서 도입된 목가적 전원의 차경, 수륜대로의 앙경(仰景)과 연못으로의 부경(俯景), 정자와 오솔길에서 취할 수 있는 정관(靜觀)과 동관(動觀), 계류수와 연못 등 수경공간의 인경(隣景), 버섯 또는 우산처럼 보이도록 유도된 임대정으로의 관경(觀景), 버드나무 어우러진 연못의 간경(看景), 격물치지의 의미를 담아 관념을 대입한 암각글씨의 의경(意境), 해돋이와 해넘이를 동시에 취할 수 있는 취경(取景) 등이 중첩되어 펼쳐지는 다양한 경관기법이 발견된다. 건립 초기에는 주로 은행나무, 대나무, 버드나무, 소나무, 잣나무, 전나무, 뽕나무, 가래나무, 오동나무 그리고 매화와 연 등의 식물이 도입된 것으로 보이는데, 전반적으로 유가적 품격을 반영하거나 도가적 풍류관, 미래번영을 염원하는 봉황사상 등이 내재된 의미경관적 면모를 엿볼 수 있다. 더불어 연못 주변에 도입된 열식법, 정자 주변에 펼쳐진 총식과 환식법, 녹음수를 활용한 점식법, 기념식수한 오동나무 등의 고식법, 소나무와 전나무를 양과 음으로 대응시킨 대식법 등 다양한 식재기법을 추적할 수 있다.

Imdaejeong Wonlim is located on the verge of Sangsa Village in Sapyeong-ri, Daepyeong-myeon, Hwasun-gun Gyeongsangnam-do toward Northwest. It was planned by Sa-ae, Minjuhyeon in 1862 on the basis of Gobanwon built by Nam Eongi in 16th century against the backdrop of Mt. Bongjeong and facing Sapyeong Stream. As water flows from west to east in the shape of crane, this area is a propitious site standing for prosperity and happiness. This area shows a distinct feature of Wonlim surrounding the Imdaejeong with multi layers as consisting of 5 districts - front yard where landmark stone with engraved letters of 'Janggujiso of Master Sa-ea' and junipers are harmoniously arranged, internal garden of upper pavilion ranging from a pavilion to square pond with a little island in the middle, Sugyeongwon of under pavilionu consisting of 2 ponds with a painting of three taoist hermits, forest of Mt. Bonggeong and external garden including Sapyeong Stream and farmland. According to documentation and the results of on-site investigation, it is certainly proved that Imdaejeong Wonlim was motivated by Byeoseo Wonlim which realized the idea of 'going back to hometown after resignation' following the motives of Janggujiso, a hideout aimed to accomplish the ideology, 'training mind and fostering innate nature,' on the peaceful site surrounded by water and mountain, as well as motives of Sesimcheo(洗心處) to be unified with morality of Mother Nature, etc. In addition, it implies various imaginary landscapes such as Pihangji, Eupcheongdang, square pond with an island and painting of three Taoist hermits based on a notion that 'the further scent flies away, the fresher it becomes,' which is originated from Aelyeonseol(愛蓮說). In terms of technique of natural landscape treatment, divers techniques are found in Imdaejeong Wonlim such as distant view of Mt. Bongjeong, pulling view with an intention of transparent beauty of moonlight, circle view of natural and cultural sceneries on every side, borrowed scenary of pastoral rural life adopted as an opposite view, looked view of Sulyundaero, over looked view of pond, static view in pavilion and paths, close view of water space such as stream and pond, mushroom-and-umbrella like view of Imdaejeong, vista of pond surrounded by willows, imaginary view of engraved letters meaning 'widen knowledge by studying objectives' and selected view to comprise sunrise and sunset at the same time. In the beginning of construction, various plants seemed to be planted, albeit different from now, such as Ginkgo biloba, Phyllostachys spp., Salix spp., Pinus densiflora, Abies holophylla, Morus bombycis, Juglans mandschurica, Paulownia coreana, Prunus mume, Nelumbo nucifera, etc. Generally, it reflected dignity of Confucianism or beared aspect of semantic landscape implying Taoist taste and idea of Phoenix wishing a prosperity in the future. Furthermore, a diversity of planting methods were pursued for such as liner planting for the periphery of pond, bosquet planting and circle planting adopted around the pavilion, spot planting using green trees, solitary planting of monumentally planted Paulownia coreana and opposite planting presenting the Abies holophylla into yin and yang.

키워드

참고문헌

  1. 今關天彭과 辛島驍(1966). 宋詩選 . 東京 集英社. pp.309-31
  2. 김용휴(2002). 和順 沙平 臨待[실은 對]亭과 동뫼의 전설. 전남문화. 15:138-144.
  3. 김정문, 권혜진, 노재현(2009). 完山32勝景을 통해 본 조선 후기 完山州의 공간 및 경관 인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19-28.
  4. 민경현(1998). 숲과 동과 물의 문화. 서울: 도서출판 예경. pp. 317-31.
  5. 閔冑顯. 沙厓集.
  6. 沙厓先生文集 第六卷 記(1895).
  7. 양주미(2008). 전통 원지의 명승 지정 요인 분석.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驪興閔氏世譜
  9. 역사경관연구회(2008). 한국정원 답사수첩. 파주: 동녘. pp. 202-213
  10. 유병림, 황기원, 박종화(1989). 조선조 정원의 원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부설 환경계획연구소: pp. 188-196.
  11. 정기상(2007). 섬진강권역의 명승지정을 위한 기초자원 조사 연구: 임대정, 물염적벽, 장군목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정길수(2010). 일제강점기 전통 지식인의 고뇌: 김문옥의 전 연구.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 40: 61-81.
  13. 정동오(1984). 臨待亭. 전라남도지. 제3권. 전라남도지편찬위원회.
  14. 정동오(1986). 한국의 정원. 서울: 民音社. pp. 264-270.
  15. 정동오(1988). 전남의 조경문화. 전라남도. pp. 238-24.
  16. 정연익(2001). 傳統 연못의 造成技法 및 管理方案에 關한 硏究.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정재훈(2005). 한국의 전통조경. 파주: 도서출판 조경. pp. 252-253.
  18. 주남철(1983). 한국건축미. 서울: 일지사. pp. 446-447
  19. 주남철(2009). 한국의 정원. 서울: 고려대학교출판부. pp. 372-375
  20. 허권수(2010). 허권수의 한자이야기(363) 장구지소.
  21. 허균(2009). 한국의 누와 정. 서울: 다른세상. pp. 222-229
  22. 홍광표, 이상윤(2001). 한국의 전통조경.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pp. 183-185.
  23. http://blog.daum.net/_blog/BlogTypeView.do?blogid=0A56J&articleno=15665479&categoryId=742115®dt=20080412190310
  24. http://www.hwasun.go.kr/hwasundb/list.html?hi=100007&mi=24&li=09&hn
  25. http://hanja.naver.com/word?q=%E5%91%A8%E6%95%A6%E9%A0%A4
  26. http://www.cha.go.kr/korea/heritage/search/Culresult_Db_View.jsp?mc=NS_04_03_01&VdkVgwKey=31,02900000,38http://www.hwasun.go.kr/hwasun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