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dea generation

검색결과 293건 처리시간 0.023초

Genetic Symmetric Key Generation for IDEA

  • Malhotra, Nandini;Nagpal, Geeta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1권2호
    • /
    • pp.239-247
    • /
    • 2015
  • Cryptography aims at transmitting secure data over an unsecure network in coded version so that only the intended recipient can analyze it. Communication through messages, emails, or various other modes requires high security so as to maintain the confidentiality of the content. This paper deals with IDEA's shortcoming of generating weak keys. If these keys are used for encryption and decryption may result in the easy prediction of ciphertext corresponding to the plaintext. For applying genetic approach, which is well-known optimization technique, to the weak keys, we obtained a definite solution to convert the weaker keys to stronger ones. The chances of generating a weak key in IDEA are very rare, but if it is produced, it could lead to a huge risk of attacks being made on the key, as well as on the information. Hence, measures have been taken to safeguard the key and to ensure the privacy of information.

The Effect of Real-Time Individual Process Performance Feedback on Computer-based Group Idea Generation

  • Jung, J.H.
    • 한국정보시스템학회지:정보시스템연구
    • /
    • 제23권2호
    • /
    • pp.91-107
    • /
    • 2014
  • In computer-mediated idea generation where contributions can be anonymous, the ability to accurately monitor performances is limited, inducing social loafing. Prior research has suggested that social loafing is likely an important factor in reducing task performance. Researchers have theorized that loafing could be minimized if clear performance feedback is provided. Our prior study evidences a substantial performance gain by the provision of real time performance information about who is contributing and who is not. However, our prior study incorporated the quantity feedback only to create a larger pool of ideas based on the long-standing assumption (i.e., quantity breeds quality), not considering the quality feedback. As a result, taking advantage of anonymity in the form of pseudonymity, individuals in almost all groups exhibited a tendency of self-presentation by capitalizing on ideas of which quality was low and even frivolous (i.e., junk comments) toward the later stages of the session. Thus, we have learned that the quantity performance feedback alone does not have enough restrictiveness to consistently control the performance behavior throughout the session. Since a process chart allows participants to monitor process variation by comparing new performance data to past performance data, we incorporated real-time visual process performance feedback to reveal performance histories by connecting the sequence of idea quality scores in a time-series format. Using this environment, a laboratory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five-member groups that examined the influence of both identifiability (i.e., anonymity versus pseudonymity) and process performance feedback (i.e., yes or no) in a $2{\times}2$ factorial design. The result showed that groups in the process performance feedback treatment outperformed groups in the no feedback treatment. Additionally, process performance feedback and identifiability interacted such that groups in the process performance feedback/pseudonymity treatment had the highest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future research, as well as the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group idea generation procedures are discussed.

기업혁신 수단으로서 사원제안제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제조업과 비제조업 비교 (A Study on the Factors of Employee Suggestion Systems: Comparing manufacturing and non-manufacturing firms)

  • 백상용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451-470
    • /
    • 2006
  • 본 연구는 사원 개인을 분석단위로 사원제안제도의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또한 사원제안제도가 지금까지 제조업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최근 서비스업을 중심으로 비제조업에도 사원제안제도가 확산됨에 따라 업종별 차이도 분석하였다. 연구 가설은 Unsworth(2001)의 개인 창의성 분류와 Frese et al.(1999)의 사원제안제도 일반 모형에서 도출하였다. 자동차 조립업체와 은행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PLS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Frese et al.(1999)의 일반모형은 대체로 지지되었으며 업종간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는 못하였다. 그러나 모형 내부 변수들의 상관관계의 정도는 유의한 통계적 차이를 보였다. 이를 바탕으로 비제조업의 사원제안제도 활용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PDF

스마트 제품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웍 제안 (Interaction Design Framework for Idea Generation of Smart Products)

  • 최정민
    • 한국과학예술포럼
    • /
    • 제30권
    • /
    • pp.453-464
    • /
    • 2017
  • IT 기술의 발달과 함께 일상생활 속에서 사용자 편의와 감성을 충족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양한 스마트 제품과 서비스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빠르게 발전되고 있는 입출력 기술과 센싱 기술, 자능형 시스템 등은 다채로운 인터랙션 방식과 새로운 사용자경험 가능성을 열어가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기술요소들의 활용을 사용자 관점에서 고려해야 하는 스마트 제품 컨셉 디자이너들의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 대한 관심에서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제품의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웍을 제안하는 것으로, 디자이너들이 기술 기반의 스마트 제품 아이디어를 보다 체계적으로 도출하는 방안을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문헌조사를 통해 스마트 제품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스마트 제품 인터랙션 구현을 위한 기술 및 제품 요소들을 파악하였고, 디자인 분야에서 제안되어온 프레임웍 선행 사례를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스마트 제품의 인터랙션 디자인 프레임웍을 제안하였으며, 프레임웍 구성요소들이 스마트 제품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을지 사례를 통해 설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제안한 프레임웍은 제품 구성요소, 상황인식 관련 요인, 정보입력 요인, 피드백 출력 요인 네 가지 카테고리로 구성되며, 각각에 있어서 사용자경험 관점을 반영한 세부요소들이 정의된다. 또한 각 세부요소 별로 기존에 있는 스마트 제품/시스템의 예시가 제시되어 어떤 요소인지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되었으며, 제품 아이디어 사례를 통해 아이디어 발상 지원 도구로서의 프레임웍 활용성이 검토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보다 다양하고 심도있는 사례연구를 통해 각 요소들의 조합에 따른 다양한 아이디어를 제안함으로써, 스마트 제품의 인터랙션 아이디어 발상 도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디자인 아이디어 발상을 위한 시나리오 기반 디자인 기법의 응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Scenario Based Design Method for the Idea Generation)

  • 유승헌;김동건;이건표
    • 한국디자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자인학회 1999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5
    • /
    • 1999
  • 본 연구는 디자이너의 아이디어 발상기법과 시나리오기법, 그리고 코믹 챗을 비롯한 각종 관련 기법들의 분석과 적용을 통하여 ,제품의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를 보다 빠르게 작성해보고, 다각도로재구성 하면서 완성도 있는 제품 아이디어를 전개해 나갈 수 있도록 보조해 줄 수 있는 시나리오 디자인 프래임웍과 이를 응용한 컴퓨터 옹용 프로그램을 제안코자 한다. (중략)

  • PDF

브레인스토밍과 WebStorming의 아이디어 발상량(發想量) 비교 연구 (A Study on Comparative Amount of Idea Thinking between Brainstorming and Webstorming)

  • 한경돈;박대우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189-196
    • /
    • 2011
  • 창의적인 디자인 컨셉(Concept) 개발을 위해서는 팀원들의 아이디어 발상량(發想量)이 매우 중요하다. 기획에서 제안까지 브레인스토밍 발상 방법을 통하여 과제에 대한 창의적인 문제점 도출(導出)과 해결 방안에 대한 과정과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디어 발상량 도출은 자유로운 생각들을 단어로 표현하는 것이다. 처음부터 좋은 아이디어를 내려하기 보다는 많은 아이디어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본 논문은 기존의 실제(實際) 브레인스토밍의 프로세스를 연구하고, 웹(Web) 환경에서 업그레이드(Upgrade) 되어진 네트워크 서비스와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하여 아이디어 발상과 정리(整理)를 전개하는 것이다. "Webstorming" 프로그램의 Brainwriting과 Braindrawing 과정을 통해 장소나 시간 제약 없이, 쓰기, 그리기를 통하여 요소(要素) 군집(群集)별 아이디어 발상량을 비교한 후에, 디자인 팀원들의 요소 군집별 특성을 분석하여 창의적인 아이디어 발상 방법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지식정보화 사회에서 디자인과 IT관련 기술을 응용하여, 상품 기획, 상품 개발, 마케팅에 활용함으로서 국가적인 디자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부가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역발상적 사고 기법의 가능성 탐색: 대학생들의 아이디어 생성 과정의 특징을 중심으로 (The Investigation on the Possibilities of Assumption Reversal Thinking Skill: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dea Generation Process by University Students)

  • 강성주;박지영;윤지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01-510
    • /
    • 2013
  •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의 핵심은 독특하고 다양한 아이디어의 생성이다. 따라서 아이디어의 생성을 어려워하는 학생들에게 이를 도와줄 수 있는 구체적 방안 마련이 요구되며, 이에 역발상적 사고 기법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역발상적 사고 기법을 기반으로 한 아이디어 생성 과정의 특징을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역발상적 사고기법은 학생들의 관점 전환을 유도하며, 새로운 아이디어의 산출을 도왔다. 이에 학생들의 아이디어 산출을 지원해 주는 사고 틀로서 역발상적 사고 기법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역발상적 사고가 좀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산출된 아이디어에 대한 이론적 판단이나 가치 개입, 경험 등으로 인한 편견을 배제할 수 있도록 지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이 역발상적 아이디어에 대한 다른 사람들의 반대나 비판 등을 감수하면서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행시키고자 하는 과제집착력이나 용기 등을 함양할 수 있는 방안 마련도 요구된다.

힘과 움직임 그리고 시간을 표현하는 디지털건축형태에 관한 연구 - 들뢰즈.가타리의 시뮬라크르 사유를 표출하는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igital Architectural Form expressed on the Movement, Force and Time - focused on the works based on the Deleuze.Guattari's idea of 'Simulacre' -)

  • 강훈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5-12
    • /
    • 2008
  • Since the past, an attempt of figuration which is for movement, time and force has existed constantly. A process of representative from expressed on the movement, time and force creates events, and the process through the events expresses the idea of a simulacre. Furthermore, Architectural works for potentiality to give a demonstration are in common with hybrid characteristics, and have lasting creation of flux architecture. Ignoring the gravity of the floating figuration, so it appears unrealistic hyperphysical virtual space that easily could make the life of creation. For this reason, the form generation based on the digital design method is expressed the important method. In conclusion, actualizing the virtual is the suitable way for 'devenir architecture' based upon the Deleuze Guattari's idea of 'simulacre' and creating the from generation on the contemporary digital architecture design in a similar way.

  • PDF

건축설계과정에서 BIM 및 3차원 모델러 사용에 따른 아이디어 발상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BIM and Conventional 3D Modeler on the Idea Generation in Architectural Design Process)

  • 홍승완;이윤길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623-630
    • /
    • 2014
  • While BIM software becomes popular for CAAD and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s, the affordance of BIM for students' architectural idea developments, called intra-process of communication, is still unknown.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t-test quantitative analysis in order to the scores for feedback, idea productivity, idea development for architectural elements(form, interior space, material, and details), and creative motivation(novelty, appropriateness) using BIM and non-BIM 3D modeler. To achieve the goal, in authentic CAAD class, architecture major students proposed two office designs using those two tools, then they evaluated in which ways those tools influenced their idea develop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