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S-specific primer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9초

인삼포장에서 뿌리섞음병원균의 진단을 위한 RT-PCR KIT의 개발 (Development of RT-PCR Kit for Diagnosis of Pathogenic Agent of Ginseng Root Rot in the Ginseng Field)

  • 도은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0-48
    • /
    • 2003
  • C. destructans는 인삼에서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뿌리섞음병을 유발하는 매우 중요한 미생물이다. 현재까지 정상적인 인삼포장이나 폐포지에서도 이 병원균의 농도를 조사할 만한 방법이 없어 이를 쉽게 조사함으로서 인삼 예정지 관린시 도움을 줄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절실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nested PCR이란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매우 낮은 농도의 C. destructans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2개의 universal ITS primers(ITS5F와 ITS4R)을 사 용 하 여 Cylindrocarpon spp.의 rDNA로부터 ITS영역을 증폭하였다. 이어 C. destructans의 specific primer(Nest 1 과 Nest 2)을 사용하여 최적의 PCR조건으로 재증폭시켜 밴드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런 2번의 과정을 4개의 primer를 동시에 사용함으로서 한번에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에 따른 PCR조건도 확립하였다. 따라서 본 방법에 의해서 인삼포장의 토양에서 채취된 매우 낮은 농도의 wild type C. destructans spore로부터 성공적으로 positive band을 확인함으로써 추후 인삼포장의 선정 및 4년생에서 6년까지(홍삼포) 재배기간등의 예측에 활용 될 것으로 생각된다.

한국에 서식하는 침엽수의 잎과 난초과 식물의 뿌리에서 분리한 5종의 국내 미기록 내생균 (Notes on Five Unrecorded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Coniferous Leaves and Orchid Roots in Korea)

  • 박혁;이봉형;배유라;김동여;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365-37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잣나무, 눈측백의 침엽과 자란의 뿌리에서 식물에 공생하는 내생균을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이를 위해 specific primer인 ITS1F와 ITS4를 이용하여 internal transcribed spacer (ITS) rDNA영역과 primer LR0R과 LR 16을 이용하여 large subunit rDNA 영역을, primer Bt2a과 Bt2b를 이용하여 ${\beta}$-tubulin 영역을, 그리고 EF-1 primer를 이용하여 translation elongation factor 지역의 염기서열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Colletotrichum simmondsii, Fusarium sterilihyphosum, Diatrypella pulvinata, Ochroconis globalis, Sphaeria chrysosperma 등 국내 미기록 균주 5종을 분리하여 형태적, 분자생물학적 동정 결과를 서술하였다.

Rapid and Accurate Species-Specific Detection of Phytophthora infestans Through Analysis of ITS Regions in Its rDNA

  • Kim, Kyoung-Su;Lee, Youn-S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0권5호
    • /
    • pp.651-655
    • /
    • 2000
  •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used to specifically detect Phytophthora infestans by analyzing the sequences of the ribosom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s (ITS) in the rDNA of the Phytophthora species. Based on the sequence data, PISP-1 together with the ITS3 primer were used to detect p. infestans. A single ca. 450 bp segment was observed in P. infestans, but not in the other fungal or bacterial isolates. Two factors, the annealing temperature and template DNA quantity,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Using these species-specific primers, a unique band was obtained within annealing temperatures of $55^{\circ}C$-$61^{\circ}C$ and template DNA levels of 10 pg-100 ng.

  • PDF

Molecular differentiation of Russian wild ginseng using mitochondrial nad7 intron 3 region

  • Li, Guisheng;Cui, Yan;Wang, Hongtao;Kwon, Woo-Saeng;Yang, Deok-Ch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1권3호
    • /
    • pp.326-329
    • /
    • 2017
  • Background: Cultivated ginseng is often introduced as a substitute and adulterant of Russian wild ginseng due to its lower cost or misidentification caused by similarity in appearance with wild ginseng.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imple and reliable method to differentiate Russian wild ginseng from cultivated ginseng. Methods: The mitochondrial NADH dehydrogenase subunit 7 (nad7) intron 3 regions of Russian wild ginseng and Chinese cultivated ginseng were analyzed. Based on the multiple sequence alignment result, a specific primer for Russian wild ginseng was designed by introducing additional mismatch and allele-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performed for identification of wild ginseng. Real-time allele-specific PCR with endpoint analysis was used for validation of the developed Russian wild ginseng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marker. Results: An SNP site specific to Russian wild ginseng was exploited by multiple alignments of mitochondrial nad7 intron 3 regions of different ginseng samples. With the SNP-based specific primer, Russian wild ginseng was successfully discriminated from Chinese and Korean cultivated ginseng samples by allele-specific PCR. The reliability and specificity of the SNP marker was validated by checking 20 individuals of Russian wild ginseng samples with real-time allele-specific PCR assay. Conclusion: An effective DNA method for molecular discrimination of Russian wild ginseng from Chinese and Korean cultivated ginseng was developed. The established real-time allele-specific PCR was simple and reliable, and the present method should be a crucial complement of chemical analysis for authentication of Russian wild ginseng.

Identification of Genes Suitable for DNA Barcoding of Morphologically Indistinguishable Korean Halichondriidae Sponges

  • Park, Mi-Hyun;Sim, Chung-Ja;Baek, Jina;Min, Gi-Sik
    • Molecules and Cells
    • /
    • 제23권2호
    • /
    • pp.220-227
    • /
    • 2007
  • The development of suitable genetic markers would be useful for defining species and delineating the species boundaries of morphologically indistinguishable sponges. In this study, genetic variation in the sequences of nuclear rDNA and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and 3 (CO1 and CO3) regions were compared in morphologically indistinguishable Korean Halichondriidae sponges in order to determine the most suitable species-specific molecular marker region. The maximal congeneric nucleotide divergences of Halichondriidae sponges in CO1 and CO3 are similar to those found among anthozoan cnidarians, but they are 2- to 8-fold lower than those found among genera of other triploblastic metazoans. Ribosomal internal transcribed spacer regions (ITS: ITS1 + ITS2) showed higher congeneric variation (17.28% in ITS1 and 10.29% in ITS2) than those of CO1 and CO3. Use of the guidelines for species thresholds suggested in the recent literature indicates that the mtDNA regions are not appropriate for use as species-specific DNA markers for the Halichondriidae sponges, whereas the rDNA ITS regions are suitable because ITS exhibits a low level of intraspecific variation and a relatively high level of interspecific variation. In addition, to test the reliability of the ITS regions for identifying Halichondriidae sponges by PCR, a species-specific multiplex PCR primer set was developed.

함백산의 난초과 식물의 뿌리에서 난균근균의 분리 및 동정 (Identification of Orchid Mycorrhizal Fungi Isolated from Terrestrial Orchids in Mt. Hambaek, Korea)

  • 이봉형;한한결;엄안흠
    • 한국균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9-13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강원도 함백산에서 제비난초속(Platanthera) 난초인 제비난초(Platanthera chlorantha), 산제비난초(Platanthera mandarinorum) 2종과 은대난초속(Cephalanthera) 난초인 금난초 (Cephalanthera falcate), 은대난초(Cephalanthera longibracteata) 2종을 채집하였고, 식물 뿌리에서 균근균을 순수 분리 하였다. 분리한 균주는 형태적인 관찰과 난균근균 특이적 primer 인 ITS1-OF 와 ITS4-OF를 이용하여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을 통해 동정하였다. 그 결과 P. chlorantha에서 분리된 균주는 Epulorhiza anaticula로 동정되었는데, 이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종이며, 그 외 각 난초에서 Ceratobasidium sp., Tulasnella calospora, Tulasnella sp. 등을 분리하여 동정하였다.

흰쥐 자궁에서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와 수용체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s of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and Its Receptor Gene in the Rat Uterus)

  • 이성호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2권1호
    • /
    • pp.21-27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흰쥐 자궁에서 pituitary adenylate cyclase-activating polypeptide (PACAP)과 그 수용체 유전자들이 발현되는가와 각각 어떠한 유형의 transcript들이 발현되는가를 조사하였고, 이를 위해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 (RT-PCR)을 시행하였다. 시상하부와 정소에서 공통적으로 존재함이 알려진 PACAP common exon 부위에 해당되는 primer를 사용하여 PCR을 시행한 결과 자궁을 포함한 모든 조직에서 에상대로 297 bp의 band가 확인되었다. 흰쥐 자궁에서 발현되는 PACAP mRNA에 정소 특이적인 exon 1이 포함되는가를 조사하기 위해 정소 특이적인 primer를 사용하여 PCR을 시행한 결과, 정소에서만 예상대로 586 bp의 band가 검출되었고 자궁을 포함한 다른 조직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흰쥐의 PACAP 수용체 PCR에서는 자궁에서 923 bp와 839 bp크기의 band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알려진 PACAP type I수용체의 splicing variant 들 가운데 hip-hop (923bp)과 hip- 또는 nop-type (839bp)의 예상 크기와 일치하였다. 인위적으로 성적인 성숙을 유도한 PMSG 주사모델하에서 자궁내 PACAP transcript 수준은 주사 24 시간 후 실험군에서 증가하여 생식주기상 proestus 시기에 해당되는 주사 48 시간까지 증가하였다가 72 시간후에는 control 보다 낮은 수준을 보였는데, 이는 자궁의 PACAP 유전자발현이 생리적으로 조절됨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연구는 흰쥐의 자궁에서 PACAP과 그 수용체 isoform들의 유전자가 발현됨을 최초로 보고한 것으로 자궁 자체에서 발현되는 PACAP이 autocrine 또는 paracrine하게 자궁의 생리 및 기능 조절을 담당함을 시사한다.

  • PDF

Multiplex PCR을 이용한 독활 류 식물로부터 Aralia continentalis 감별 (Discrimination of Aralia continentalis from other Herbs Identified as 'Angelicae Pubescentis Radix' by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 이권진;도의정;고병섭;이미영;오승은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329-337
    • /
    • 2010
  • 'Angelicae Pubescentis Radix' (APR) is an important oriental medical preparation. In Korea, Aralia continentalis has been recognized as the source plant of APR. Aralia cordata, which is difficult to distinguish from A. continentalis, and Heracleum moellendorffii, which is frequently used in lieu of A. continentalis, are traded in Korean herbal markets. In contrast, in China, Angelica pubescens is recognized as the source plant of APR. In this study, we devised a method not only to discriminate A. contientalis from A. cordata, but also to discriminate both A. contientalis and A. cordata from H. moellendorffii and A. pubescens. Based on the discrepancy in the sequences of specific regions of ITS, we designed a Cont F/ Cont R primer set to amplify a 173 bp PCR band that appears only in A. continentalis. Additionally, we designed an Ara F/ Ara R primer set to amplify a 278 bp PCR band that appears in both A. continentalis and A. cordata. Using these primer sets and the ST R primer to confirm the PCR amplification results, we developed a simple multiplex PCR method for differentiating A. continentalis from A. cordata and to concurrently differentiate both A. continentalis and A. cordata from other APR herbs.

팽이버섯의 유전적 변이 (Genetic Variation in Flammulina velutipes)

  • 김종봉;정자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10호
    • /
    • pp.1434-1442
    • /
    • 2011
  • ITS 염기서열과 RAPD를 이용하여 F. velutipes 29개의 팽이버섯 품종 간의 유전적 변이를 분석하였다. ITS 부위에서 720 bp의 염기서열을 확인 하였으나 29개의 팽이품종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RAPD 분석 결과 40개의 random primer 중 다형성을 나타내는 primer는 16개였으며, 그 중 뚜렸한 다형성을 띄는 primer는 OPA-2,4,3,9,10,20 이었다. 이들 29개 품종에서 primer에 의해 증폭된 밴드는 모두 3,030개 였으며, DNA 단편의 크기는 200~2,000 bp 사이에 위치하였다. 또한 3,030개의 scrabble RAPD band들을 marker로 하여 Nei-Li's의 방법을 이용한 비유사도 지수행렬을 조사한 결과 전체 29개 품종의 종내 유전적 변이는 3.3~45%였고, 특히 한국 야생팽이의 종내 유전적 변이도는 17~38.6%로 품종 간 다형성을 확인하였다. RAPD 변이에 기초하여 neighbor-joining tree (NJ) 분석에서는 5개의 cluster로 구분되었으며, 각각의 cluster는 품종, 지역 적 특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RAPD와 실험을 통해 확인된 OPA, OPB primer의 경우 미확인 팽이품종들을 검색 하는데 분자 유전적 표지 maker로써 이용 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Multiplex PCR 기법을 이용한 보통사마귀 내 인유두종바이러스 검출 및 분류 (Detection and Typing of Human Papillomavirus in Cutaneous Common Warts by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 최순용;임종호;김은정;김혜성;김범준;강훈;박영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7호
    • /
    • pp.947-952
    • /
    • 2011
  • 현재까지 다수의 역학연구를 통해 피부에 발생한 보통사마귀에서 제 1, 2, 3, 4, 7, 10, 27, 57 및 65형의 인유두종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중합효소연쇄반응(conventional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이용하는 경우 절차가 복잡하여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이번 연구를 통해 저자들은 보통사마귀에서 가장 흔히 검출되는 6가지 유전자형의 인유두종바이러스를 한번에 확인 가능한 간편한 muliplex PCR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인유두종바이러스의 염기서열분석을 통해, L1에서 E6, 그리고 E2에서 L2 사이의 유전자간영역(intergenic region)으로 부터 6쌍의 primer를 고안하였으며, L1 유전자서열 분석을 통해 multiplex PCR의 특이성을 확인하였다. 총 129개의 조직표본 중 109개에서 제 1, 2, 3, 4, 27, 57형의 인유두종바이러스를 확인하였다. 이번 연구의 primer를 이용한 인유두종바이러스 검출의 민감도와 특이도는 각각 85%와 99.5%였다. 이러한 primer 세트로 인유두종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은 20개의 조직표본의 경우, 또 다른 HPV primer를 사용한 추가적인 multiplex PCR을 시행하여 7개 표본에서 제 7형 및 65형의 인유두종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본 연구를 통해 새롭게 고안된 multiplex PCR 기법을 통해 보통사마귀에서의 인유두종바이러스를 보다 정확하고 빠르게 검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