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 workforce

검색결과 372건 처리시간 0.03초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의 관계 :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Exhaustion and Turnover Intention of PAS Assistants for Disabled People: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f Dedicated Workforce)

  • 정새봄;전주람;임해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309-323
    • /
    • 2020
  • 본 연구는 장애인 활동지원사들이 인식하는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 세 변인간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여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 및 두 변인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이직의도 경감을 위한 대안마련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궁극적으로 활동지원서비스의 품질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소재 11개 활동지원서비스 기관에 근무하고 있는 장애인 활동지원사 274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소진, 이직의도, 사회적 지지 척도로 구성한 설문을 실시하여, 전담인력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심리적 소진은 이직의도를 높이고, 장애인 활동지원사가 지각한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는 심리적 소진과 이직의도 간의 인과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장애인 활동지원사의 심리적 소진 경감 및 이직의도에 활동지원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가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력이 높음을 의미하는 결과로, 활동지원사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하여 전담인력의 사회적 지지가 중요한 자원이 됨을 시사한다.

빅데이터를 위한 집단자료 설계 (Modeling of Crowd Source for Big Data)

  • 이상원;박승범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5년도 제51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3권1호
    • /
    • pp.283-284
    • /
    • 2015
  • We can picture a workforce that extends beyond your employees: one that consists of any user connected to the Internet. Cloud, social, and collaboration technologies now allow organizations to tap into vast pools of resources across the world, many of whom are motivated to help. Channeling these efforts to drive business goals is a challenge, but the opportunity is enormous: it can give every business access to an immense, agile workforce that is not only better suited to solving some of the problems that organizations struggle with today but in many cases will do it for free. In this paper, we research on factors to design an organizational crowd source for Big Data.

  • PDF

세계화 속의 성의 격차 (Gender Gap in Globalization of Korea)

  • 김성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4권2호
    • /
    • pp.1-13
    • /
    • 2006
  • The Purpose or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trend or sender gap within a globalization context from 1993 to 2003 on the perspective of feminists who contend that globalization has negative effects on women on account of its masculine nature against neo-liberal viewpoint emphasizing economic efficiency and rationality. As the result of review of statistical and qualitative resources in workforce, it was found that the gender gap has trended toward increasing in some sectors such as flexible labor and high wage jobs, which shows that gender segregation by irrational culture exists in workforce. The evidence to support the neo-liberal viewpoint supposing that the gender discrimination will disappear was also found in sector of wage. The gender gap in wage has decreased during the period of globalization. The dispute of feminists was partly supported, so it was suggested that the policies for gender empowerment should be enforced to diminish gender gap that would be able to increase in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가변적 수요에 대한 최적인력의 크기와 휴무계획 결정방법 (Optimal Workforce Size and Day-off Scheduling with Variable Demands)

  • 기재석;강맹규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9-16
    • /
    • 1987
  • This paper develops an optimal manpower scheduling algorithm that gives an optimal workforce size and day-off scheduling required to satisfy following conditions. First, everyone is to have two consecutive day-off per cycle in a continuous operating environment. Second, everyone is to have at least A weekends off in a cycle of B Weeks. The model addressed is under the circumstance that the demands can vary from day to day in a weekly cycle. The proposed algorithm makes it possible to minimize the maximum workstretch and to maximize the number of weekends off. It is also possible to minimize the variance of idle manpower distribution in order that idle manpower may be utilized in case of emergency.

  • PDF

모바일 상거래에 대한 IT인력의 혁신저항 (The Innovation Resistance of IT Workforce to Mobile Commerce)

  • 임상현;이충권;차경진;서종원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61-78
    • /
    • 2015
  • 본 연구는 기술에 대한 이해와 경험의 정도가 높은 IT종사자들이 모바일 상거래와 같은 혁신에 대한 저항에 있어서 비IT 종사자과 비교하여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모바일 상거래에 대한 인식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317명의 설문결과는 IT인력이 모바일 상거래에 저항하는 요인으로는 지각된 위험, 적합성, 복잡성이 확인되었으며, 비IT인력의 경우 상대적 이점, 적합성, 복잡성이 주요 요인이었다. 그리고 모바일 상거래의 두 집단 모두의 결과에서 혁신저항이 클수록 사용의도가 낮게 나타났다.

사서인력의 경력이동 및 경력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areer Movement and Career Development of Librarians Workforce)

  • 노영희;안인자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147-168
    • /
    • 2009
  • 도서관계의 상황을 보면 대학도서관, 공공도서관, 전문도서관, 학교도서관 등 매우 다양한 유형의 도서관이 있고, 국가적인 차원 및 상업적인 차원의 정보유통기관이 있으며, 또 이를 지원하는 기관들 즉, 도서관자동화업체, 도서관관련 비품업체, 도서관관련 아웃소싱업체, 각종 데이터베이스 구축업체가 있다. 이러한 상황을 볼 때 문헌정보학을 전공한 사람들의 경력경로는 매우 다양해 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사서인력의 유동성 및 경력이동률 은 매우 높을 것이라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도서관계의 특성 및 직업적 특성을 감안하여 사서인력의 유동성 실태나 이직률과 이직의 원인 등을 규명하는 연구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한 기초연구로 사서인력의 경력이동 및 경력개발 현황에 대해서 조사하고자 하였다. 사서의 경력개발 과정 분석을 통해 도서관계 및 관련분야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람들의 직장이동 경로, 경력개발을 위한 노력, 경력이동 요인 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보건의료인력 양성 프로그램의 만족도에 대한 질적 연구: 이종욱펠로우십 프로그램 임상과정(캄보디아 재활)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Satisfaction with Healthcare Workforce Capacity Building Program: Focusing on Dr LEE Jong-wook Fellowship Program for Clinical Experts (Cambodia Rehabilitation))

  • 김유미;김완호;김은주;정혜진;김수진;김온유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57-165
    • /
    • 2023
  • Background: We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e invitational training and reflecting it in the program in the following year by identify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trainees who participated in the "Dr. LEE Jong-wook Fellowship Program" funded by the Korea Foundation for International Healthcare. Methods: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using a questionnaire interview. In the first stage of analysis, only the interview contents related to the research topic were classified by the researcher for the conversations recorded at the interview site, and in the second stage of analysis, the interview contents classified in the first stage were classified into each of those mentioned in this study. Results: The longer the trainee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and the better the accessibility,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In addition, the level of achievement of the trainees' goals and the level of improvement in their competence affected their satisfaction, and their difficulty in language communication during the training period was identified as a factor affecting the trainees' satisfaction level. In addition, competency improvement and satisfac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r=0.75, p=0.03). Conclusion: When organizing a rehabilitation workforce capacity training program, it is important to identify trainees' needs, ensure accessibility, organize courses effectively, enhance English proficiency, and expand practical lectures to increase trainees'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rehabilitation.

서울지역 여성 정보보호전공의 보안교육 프로그램 비교 (Comparison of Security Education Program of Woman Information Security Majors of Seoul Region)

  • 홍진근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107-113
    • /
    • 2020
  • IT기술의 발전에 따라, 여성인력의 사회 참여 확대와 함께 정보보호 여성의 인력 양성은 매우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그러므로 여성 정보보호 인력 양성의 방향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교육과정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 수도권의 서울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여성 정보보호 인력 양성 학과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의 주된 연구 목표는 여성 정보보안 인력양성 학과가 구성하고 있는 교육훈련 체계가 NIST 인력양성 방향과 부합하고 있는지 검토하는 것이다. 연구 초점은 여성 정보보안 학과가 보안 전공별로 어떤 특성을 가진 교육과정을 편성하는지, 그리고 어떤 직무 교육에 관심을 가지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해당 전공의 교육과정이 NIST 인력양성 프레임워크를 기준하여, 관련 대학의 전공들이 해당 직무에 부합하는 교육훈련 체계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말해, 관련 전공들은 융합산업 보안의 인증 평가 인력이나 정보보안 개발인력, 그리고 일반적인 사이버 보안 인력 양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ging Workers and Trade-Related Injuries in the US Construction Industry

  • Choi, Sang D.
    • Safety and Health at Work
    • /
    • 제6권2호
    • /
    • pp.151-155
    • /
    • 2015
  • The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any trends of injury type as it relates to the age and trade of construction workers.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included any individual who, while working on a heavy and highway construction project in the Midwestern United States, sustained an injury during the specified time frame of when the data were collected. During this period, 143 injury reports were collected. The four trade/occupation groups with the highest injury rates were laborers, carpenters, iron workers, and operators. Data pertaining to injuries sustained by body part in each age group showed that younger workers generally suffered from finger/hand/wrist injuries due to cuts/lacerations and contusion, whereas older workers had increased sprains/strains injuries to the ankle/foot/toes, knees/lower legs, and multiple body parts caused by falls from a higher level or overexertion. Understanding these trade-related tasks can help present a more accurate depiction of the incident and identify trends and intervention methods to meet the needs of the aging workforce in the industry.

노령근로자의 안전의식 설문조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afety Consciousness Survey of Old Workers)

  • 백신원;배미선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99-103
    • /
    • 2014
  • Recently unemployed construction workers are increasing because of construction recession. But the lack of manpower occurs at the same time, in construction sites. So, the excess of workforce supply and demand exists in construction sites. Construction companies have a difficulty in seeking young skilled workers due to this problem. In this study, construction accidents reported by Korea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from 2007 to 2010 were analyzed. It has shown that 50-54, 45-49 and 55-59 year old workers formed 22%, 18% and 17% respectively. This means that old workers becomes a real problem in construction. This research has shown that old workers didn't have much more accidents than young workers, construction accidents related to the employment period of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