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 Visibility

검색결과 752건 처리시간 0.023초

박물관 공공.서비스 공간에서의 관람객 행태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Visitors in the Public.Service Space of Museums)

  • 이지윤;김승용;박용환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호
    • /
    • pp.135-141
    • /
    • 2000
  • This study tries to fine out how the museum visitors use the public·service space. and in the sense that their movement in the spaces may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visibility, it uses Isovist in order to fine out the causes on how they move around the public·service space. The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visitors movement in the public·service spaces and visibility from a certain point. As far as the public·service spaces are concern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visibility from certain point such as the museum hall or the main entrance.

  • PDF

시스템 가시성평가를 위한 유니버설미들웨어기반 Pervasive Memorial Engine 연구 (System Visibility of Universal Middleware Pervasive Memorial Engine)

  • 이해준;황치곤;윤창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2115-2120
    • /
    • 2017
  • 시스템 가시성평가는 복잡한 시스템과 고도의 신뢰성 분야인 In-Vehicle 산업에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간의 융합과 역할 변화에서 시작되었다. 융합의 중심이 기술에서 문화로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문화의 주변에 기술의 생태적 특징을 반영하기 위해 유니버설미들웨어의 장점인 생명주기모델을 활용하여 시스템의 가시성을 높이고 직관적 판단을 유도하여 혼란 상태를 대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유니버설미들웨어 기반의 데이터와 서비스모듈을 유기적으로 표준화 및 안정화하여 시스템 가시성 엔진을 시험하고 평가하였다. 이 모듈은 Intelligent Pervasive Cloud 모듈, Memorial Service 모듈, Life Cycler 모듈로 구성하고 현재와 미래의 통신표준과 응용서비스 표준을 비롯한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하였다.

국립공원 지역 시정장애 현상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Visibility Impairment in a National Park Area)

  • 김경원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25-338
    • /
    • 2009
  • National parks provide recreation, health, and science to human being. The provision of beautiful landscape view of the national park improves an economic and social phase of a nation. However, visibility impairment frequently occurred in the national park area of Gyeongj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hysical and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visibility reduction observed at the national park area of Gyeongju. Optical, chemical,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cenic monitoring were performed at the visibility monitoring station of Gyeongju University located at the Seoak section of Gyeongju national park from April 28 to May 9, 2008. Light extinction, light scattering, and light absorption coefficients were continuously measured using a transmissometer, a nephelometer, and an aethalometer, respective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aerosol chemistry on visibility impairment, size-resolved aerosols were collected at intervals of 2-hour (from 8 A.M. to 6 P.M.) and 14-hour (from 6 P.M. to 8 A.M.) interval each sampling day. The average light extinction coefficient and the average visual range were measured to be $270{\pm}135\;Mm^{-1}$ and $14.5{\pm}6.3\;km$ during the intensive monitoring period, respectively. It was revealed that sulfate particle was the largest contributor to the light extinction under hazy condition. Organic mass accounted for about 26% of the average light extinction. The mass extinction efficiencies for $PM_{1.0}$, $PM_{2.5}$, and $PM_{10}$ were estimated to be 9.0, 4.7, and $2.7\;m^2\;g^{-1}$ under the consideration of water growth function of hygroscopic aerosols, respectively.

시선유도시설 시인성 분석에 관한 연구 (Analysis on Visibility of Delineators by Survey)

  • 권성대;박제진;남창규;하태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5D호
    • /
    • pp.445-451
    • /
    • 2012
  • 도로의 곡선부는 기하구조상 운전자의 시각변화가 현저하게 발생하고, 속도편차가 크게 나타나며, 다양한 원인에 의해 직선부보다 큰 위험을 내포하고 있다. 1999년도 교통문화운동본부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약 78%의 운전자가 안전표지판에 대한 불만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만 요인으로는 시인성 부족이 27.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특히, 야간 또는 기상 악화로 인해 시선유도시설의 시인성 마비는 도로선형에 관한 정보를 부적절하게 전달하여 운전자의 안전을 위협할 뿐만 아니라, 도로의 서비스수준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운전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는 새로운 시선유도시설물의 설치와 관리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기 설치 운영 중인 재귀반사식 시선유도시설과 도로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 개발된 내부조명식 시선유도시설에 대해 운전자가 곡선부를 주행할 때 도로선형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얻고, 시인성이 향상된 시선유도시설물에 대해 1차, 2차 설문조사를 통해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한 후, 교통안전을 향상시키는 최적의 시선유도시설물을 제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재귀반사식 보다 내부조명식 시선유도시설에서 시인성, 속도감속 필요성, 안전성에 대하여 더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교통안전이 향상된 시선유도시설물을 설치할 경우, 운전자에게 도로선형에 대한 정보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공함은 물론 곡선부 교통사고 위험도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D맵핑을 이용한 문화재 지정구역 경관관리기법 연구 (A Study on Landscape Management Techniques of Cultural Heritage Designated Area Using 3D Mapping Method)

  • 김재웅;이원호;신현실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97-108
    • /
    • 2018
  • 본 연구는 역사마을 및 명승과 같은 면적문화재의 경관관리를 위한 분석의 기초가 되는 가시분석모델의 구축을 위해 수행되었다. DEM을 이용한 가시권 분석결과와 소형 UAV를 통해 추출된 3D맵핑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 DSM의 가시권 분석결과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소형 UAV를 이용하여 취득된 디지털데이터로부터 GSD(Ground Sample Distance) 2cm급의 정사영상 자료 구축 및 DSM을 생성하여 RTK 측량결과를 기준으로 추출데이터에 대한 정확도를 검토한 결과 약 6.5cm 이내의 정확도를 확인하였다. 수치지형도에 건축물의 높이를 적용한 수치표고모델(DEM: $1m{\times}m$)과 소형 UAV를 이용한 수치표면모델(DSM: $20cm{\times}20cm$)의 가시권 분석 자료를 비교한 결과 DEM을 이용한 가시권 분석결과에 비해 가시 영역이 좁고 세밀하게 나타났으며, 가시권 분석결과를 현지사진과 비교한 결과 DSM을 이용한 가시권 분석이 담장, 수목, 하우스 등과 같은 구조물 등이 지형데이터에 반영되어 현실에 가까운 가시권 분석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3D맵핑 기법을 이용한 가시분석모델은 3D 스캐너와 같은 정밀실측 장비보다 상대적으로 신속하고 저렴한 소형 UAV를 활용하여 필요에 따라 즉각적으로 데이터의 구축을 통해 수시로 변하고 있는 경관의 정보를 효율적으로 취득함으로써 면적문화재의 경관평가 등의 보존관리를 위한 합리적인 분석결과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User Experience를 고려한 자동차 전조등 설계 방안 (The Design Procedure of Automobile Headlamp Considering User Experience)

  • 김정룡;윤상영;민승남;이호상
    • 대한인간공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575-584
    • /
    • 2010
  • The aim of study is to suggest the design procedure of automobile headlamp by considering driver's experience in regard of the visibility and glare during nighttime d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driver were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drivers' cognitive ability and reaction time, headlamp specification and visibility, light source and glare. And, the degree of visual discomfort was categorized and recognized as a tool to represent the subjective user experience. The UX point of view was stated when the existing results were seemingly lacking of it. The visual comfort and safety of elderly drivers were also discussed by reviewing the studies of ageing regarding the visibility and driving responses.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how to reduce the negative effect of nighttime driving due to the height of headlamp, angle of lighting, color spectrum, discomfort glare, source of light by using the UX perspective and methodology.

DEVELOPMENT OF SEMI-VLBI SYSTEM AND OBSERVATION OF SUN AT 21 cm

  • Park Yong-Sun;Kang Hyun-Woo;Kim Hyo-Uk;Kang Heui-Jeong;Jee Myeong-Keun;Lee Sul-Gi;Ahn Jung-Hyun;Kim Jin-Su;Shin Young-Soo;Kang Song-Hun
    • 천문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51-56
    • /
    • 2006
  • We report the development of a semi-VLBI observation system operating at 21 cm and present the measurement of visibility function toward the sun using this system. The system consists of two 2.3 meter antennas with a maximum separation of 35 meter, a conventional high speed data acquisition system, and a set of programs for software correlation. Since two local oscillators of receiver modules are independent, data had to be fringe-fitted to yield the visibility amplitude. It is found that the visibility amplitude decreases and then bounces back as baseline increases. We confirm that solar disk with brighter limb best explains the measured visibility amplitude.

경유지의 가시성을 고려한 2차원 라이다 센서 기반의 실용적인 경로 계획 프레임워크 (Practical Path-planning Framework Considering Waypoint Visibility for Indoor Autonomous Navigation using Two-dimensional LiDAR Sensors)

  • 유혜정
    • 센서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196-202
    • /
    • 2024
  • Path-planning, a critical component of mobile robot navigation, comprises both local and global planning. Previous studies primarily focused on enhancing the individual performance of these planners, avoiding obstacles, and computing an optimal global path from a starting position to a target position. In this study, we introduce a practical path-planning framework that employs a target planner to bridge the local and global planners; this enables mobile robots to navigate seamlessly and efficiently toward a global target position. The proposed target planner assesses the visibility of waypoints along the global path, and it selects a reachable navigation target, which can then be used to generate efficient control commands for the local planners. A visibility-based target planner can handle situations, wherein the current, target waypoint is occupied by unknown obstacles. Real-world experiments demonstrated that the proposed pathplanning framework with the visibility-based target planner allowed the robot to navigate to the final target position along a more efficient path than the framework without a target planner.

날씨 변화에 따른 실외 LED 전광판의 시인성 확보를 위한 딥러닝 구조 개발 (Development of Deep Learning Structure to Secure Visibility of Outdoor LED Display Board According to Weather Change)

  • 이선구;이태윤;이승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27권3호
    • /
    • pp.340-344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날씨 변화에 따른 실외 LED 전광판의 시인성 확보를 위한 딥러닝 구조 개발에 관한 연구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영상장치를 이용한 딥러닝을 사용하여 날씨 변화에 따른 LED 휘도를 자동 조절함으로써 실외 LED 전광판의 시인성을 확보한다. 날씨 변화에 따른 LED 휘도를 자동 조절하기 위하여, 먼저 평면화된 배경 부분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합성곱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학습시켜 날씨에 대한 분류를 진행할 수 있는 딥러닝 모델을 만들어낸다. 적용된 딥러닝 네트워크는 Residual learning 함수를 사용하여 입력값과 출력값의 차이를 줄임으로써 초기의 입력값의 특징을 가지고 가면서 학습하도록 유도한다. 다음에 날씨를 인식하여 날씨 변화에 따라 실외 LED 전광판의 휘도를 조절하는 제어기를 사용하여 주변 환경이 밝아지면 휘도가 높아지도록 변경하여 선명하게 보이도록 한다. 또한, 주변 환경이 어두워지면 빛의 산란에 의해 시인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전광판의 휘도가 내려가도록 하여 선명하게 보이도록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을 적용하여 LED 전광판의 날씨 변화에 따른 휘도 측정의 공인 측정 실험 결과는, 날씨 변화에 따라 실외 LED 전광판의 시인성이 확보됨을 확인하였다.

이중 모드 GPS/DR 통합 칼만필터 (A GPS/DR Integration Kalman Filter with Integration Mode)

  • 서흥석;이재호;성태경;이상정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269-275
    • /
    • 2001
  • In land navigation applications, two kinds of GPS/DR integration schemes are commonly used; the loosely-coupled integration scheme and the tightly-coupled one. The loosely-coupled integration filter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easy to implement. When the number of visible satellites is insufficient, however, it cannot calibrate the errors of the DR sensors. On the contrary the tigthly-coupled integration filter can sup-press the growth of the error in the DR output even when the visibility is poor. However, it has larger com-putation load due to the state dimension and is inconsistent because of the variation in the measurement dimension. This paper presents a GPS/DR integration scheme with dual integration mode. During when the number of visible satellites is sufficient, the proposed scheme operates in a loosely-coupled integration mode. When the visibility becomes poor, it is switched into a tightly-coupled integration mode. Consequently, the pro-posed scheme can calibrate the DR sensors even when the visibility is poor. In addition, its computation time remains constant even if the number of visible satellites increases. Field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integration method is almost similar to that of the tightly-coupled on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