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 Crime

검색결과 784건 처리시간 0.024초

AHP분석을 통한 도시옥외공공공간의 범죄안전 평가지표 분석 (An Analysis of Crime Safety Evaluation Indicators in Urban Outdoor Public Space by using AHP)

  • 변기동;하미경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5호
    • /
    • pp.11-20
    • /
    • 2019
  • Recently, our society is increasingly aware of the strengthening of 'publicness'. In particular, it is urgent to improve safety in that public spaces are used by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an indicators for evaluating crime safety in outdoor public spaces and to present the relative weights of each evaluation indicator.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ve importance of crime safety evaluation indicators for outdoor public spaces to experts and conducted AHP analysis based on thi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imilar tendency was observed among experts group (researcher, public officials, planner) related to outdoor public space.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a certain reference point in the future social consensus on the issue. Second, the experts related to physical environment evaluation showed that the priority of environmental planning related to 'Natural surveillance' is highly evaluated in order to increase crime safety of outdoor public space. Next, it was recognized that 'Mechanical surveillance' and 'Legibility reinforcement' were needed.

안전도시 조성을 위한 범죄의 공간적 분포와 도시의 장소별 발생특성 분석 (Analysis of Spatial Crime Pattern and Place Occurrence Characteristics for Building a Safe City)

  • 허선영;문태헌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78-89
    • /
    • 2012
  • 본 연구는 범죄발생 자료를 이용하여 시계열적으로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범죄발생 장소의 공간적 환경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도시공간의 물리적인 환경 개선을 통한 범죄예방 가능성을 타진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사례도시의 범죄자료는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간데이터로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범죄발생의 공간분석을 통해 향후 범죄발생 지역의 변화를 확인하고, 환경설계나 도시계획으로 범죄를 예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2008년과 2011년 2개년 동안 범죄발생의 공간적 분포 패턴을 분석해 본 결과 국지적인 핫스팟의 이동이 발견되었다. 또한 상업지역을 중심으로 도로를 따라 선형으로 범죄 다발지역이 형성되고, 블록의 내부보다 도로변의 환경개선과 범죄예방 전략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이외에도 사례지역을 위험지역과 안전지역으로 분류하고, 안전한 도시 만들기를 위해 도시계획 관점에서 접근하는 것도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도시의 물리적 환경개선으로 근본적인 범죄예방을 도모하고 그 결과로서 안전도시를 만드는데 기여할 것이다.

Internet 관련 범죄(犯罪)의 동향(動向)과 그 대책(對策) (The Trend of Internet Related Crimes and their Solution)

  • 송광섭
    • 시큐리티연구
    • /
    • 제2호
    • /
    • pp.99-123
    • /
    • 1999
  • Internet related crimes are a crime which is inter-related with high specialization ${\cdot}$ technicality ${\cdot}$ leakage of information ${\cdot}$ intellectual-offence and deviant behavior. Without the accurate countermeasure, we can't achieve the desired end. So we should find out multilateral and general measure. Always crimes go in advance of the measure, so the counter measures against, computer crime can not be final. Nevertheless, we can't be careless in making the measure, but we should always consider a counter measure. 1995. 12. 29. our country revised criminal law and consolidated direct provisions, especially on the computer-hacking. But, inspite of the revision, especially on the computer-hacking. But, inspite of the revision, we have many problems'. So, first of all, through the positive and empirical study, we should revise criminal law and computer crime related provisions systematically. As the aspects and techniques of internet related crimes are always changing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there will be many problems with principle of legality, when we apply the existing abstract provisions to the new crime. We can not be lazy in studying the emerging internet related crimes and taking concrete shape of the provision. And it will be a big help to that desirable to import the foreign provision without consideration of our reality. Without the positive and empirical study on internet related crimes, sometimes important crime will be out of reach of the punishment. Due to these day's development of computer and technology of communication, the personal computers are widely supplied and especially PC communication and exchange of the informations became the most important function. With the advent of internet, new aspects of crimes are appearing. Up to now, the fraud by using the computer or the interference in the execution of duty by the illegal operation of computer was the leading aspects of computer crime, but nowadays with the advent of internet, database crime or network crime like the computer hacking became the important aspects of internet related crimes. These new aspects of internet related crimes are defusing into domains of traditional crimes. Nevertheless to follow and punish the acts on the internet is not technically easy, and as it is emerging international shape, to settle it by international law is not that easy. Harmful acts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are very diverse in kinds and aspects, and it is difficult to enumerate. The point is that among the new acts in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e should decide which acts are to be punished and which acts are not to be punished.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criminal law should be the last resort. But owing to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hen the traditional standards can be applied, the question of what is the basis and how it can be applied in a concrete way is not settled. And if it cannot be applied, how can we make new standard is also an unsettled question.

  • PDF

도박 범죄에 대한 경찰의 수사체제 개선 방안 (Improvement of Police's Investigation System Against Gambling Crime)

  • 김정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176-183
    • /
    • 2007
  • 최근 우리나라는 도박공화국의 오명에 시달리고 있다. 매우 치욕스럽지만 작금의 실태를 들여다보면 크게 잘못된 비난도 아닌 듯하다. 그간 우리나라에서 도박은 다양한 형태로 확산되며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켜 왔다. 그러나 이에 대한 낮은 경각심과 비범죄화적인 분위기로 말미암아 적절한 제재가 부족하였다. 경찰에게도 책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경찰의 도박단속을 효율성면에서 미흡하였다. 이제부터라도 경찰은 도박범죄의 심각성을 깨닫고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경찰 수사상 도박범죄에 대한 대응방안을 범죄정보획득을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경찰은 도박범죄의 정보획득 체계를 개선하고 범죄정보관리시스템의 적극적 활용을 도모해야 한다. 또한 수사종합검색시스템 상에서 도박범죄 활용방안이 검토되어야 하고 우범자첩보수집등에관한규칙상 관할지역의 우범자에 도박범죄 경력자를 포함하는 조치도 요망된다.

공동주택단지에서의 범죄피해경험율과 범죄로부터의 안전성(safety) 평가 지표간의 상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Experienced Crime Victimization Rate and the Evaluation Indicator for Residents' Safety of Outdoor Spaces from Crime in Multi-Family Housing)

  • 이유미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9권2호
    • /
    • pp.73-82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experienced crime victimization rate and the evaluation indicator of residents' safety of outdoor spaces from crime in multi-family housing. Additionally this paper inte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residents' satisfaction about safety and the evaluation indicator of residents' safety of outdoor spaces. For that purpose, 9 Multi-Family Housing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ere selected to perform a survey against 349 residents during May 26-29, 2006. The SPSS program was used and the level of satisfaction ranged from 1 to 5. Scale of 5 being most satisfied while 1 being most dissatisfi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1) Most occurred crime were auto theft and damages, poster matter theft, housebreaking. 2) The crime rate is higher in outdoor than in indoor. 3) This study prov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sidents' satisfaction about housing safety and most indicators except the number of households etc. 4) By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t makes clear that the number of apartment building, the visibility of Green Space, the location of pedestrian etc. have relation with the residents' satisfaction about housing safety.

도시 가로구조에 의한 장소적 특성과 범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B시 단독주거지 사례를 중심으로 - (The Correlation of Crime-Prone Locations with the Urban Space Configuration in Residential District)

  • 유정원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57-63
    • /
    • 2010
  • This study examines the correlations of crime-prone locations with the urban space configuration in residential district. CPTED(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is applied to this study and it is intended to control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in order to restrain criminal activities. For this reason, an objective analysis for explain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places where the crimes have occurred is more important than statistical and descriptive approach for analyzing the criminal data. Visibility graph analysis (VGA) supports the CPTED theory in this study for objective interpretation of crime-prone locations and quantitative analysis for built environment. The comparative analysis on object streets and areas are used and the results are followings. The analysis by streets showed that street crimes are correlated with connectivity, control, integration, and integration(r=3) and burglary cases are correlated with control. The analysis by areas showed that street crimes are correlated with connectivity and integration. The T-tests results of crime area and whole area showed that street crimes are correlated with integration and burglary cases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nectivity. Several localized environmental design for crime prevention are also proposed on the basis of this study.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지역 범죄통제 거버넌스가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Local Crime Control Governance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 the Fear of Crime)

  • 전용태
    • 시큐리티연구
    • /
    • 제55호
    • /
    • pp.97-116
    • /
    • 2018
  • 우리나라는 급격한 국가 발전으로 인해 지역사회에서는 다양한 사회병리현상이 발생하면서 범죄의 양상이 점점 흉포화, 저연령화 되어 가고 있다. 2017년 7월 강릉 여중생 폭행사건, 2017년 9월 부산 여중생 폭행 사건 등 끔찍한 사건들이 연달아 학생들 사이에서 발생하였다는 것에 국민들의 공분을 일으켰으며, 학교폭력 가해자에 대한 강력한 처벌과 소년법 폐지 청원 등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범죄통제 정책에 국가적으로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처럼 날이 갈수록 저연령화 되어 가고 있는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학생들의 범죄 두려움을 제거하여 안전한 환경에서 학업에 열중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들의 지역 범죄통제 거버넌스에 대한 인식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학교폭력 및 소년범죄 예방과 학생들의 범죄두려움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지역 범죄통제 거버넌스와 범죄두려움 중 일반적 두려움을 분석한 결과 경찰에 대한 신뢰가 일반적 두려움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들이 인식하는 지역 범죄통제 거버넌스와 범죄두려움 중 구체적 두려움을 분석한 결과 경찰에 대한 신뢰, 사회적 유대, 경찰과 주민의 친밀도가 구체적 두려움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역 범죄통제 거버넌스 구축을 실시하면 학교폭력 예방과 범죄두려움 감소에 영향을 주어 학생들이 안전한 환경에서 학업에 열중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활용이 가능하다.

근린에서의 범죄의 두려움에 대한 고찰 -수원 영통을 사례로- (An Investigation of the Fear of Crime in the Neighborhoods: The Case Study of Youngtong, Suwon)

  • 고준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43-257
    • /
    • 2007
  •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사회-심리적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범죄의 두려움을 지리적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특별히, 수원시 영통 지역을 사례로 범죄의 두려움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였다. 첫째, 범죄 발생과 범죄의 두려움과의 상호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실제 범죄 발생 장소와 두려움을 느끼는 장소는 어느 정도 일치하지만, 가장 두려움을 많이 느끼는 장소는 일치하지 않았다. 범죄의 두려움은 범죄의 발생뿐만 아니라 물리적 환경과 깊은 관련성이 있다. 두려움의 수준은 조명이 어둡고, 인적이 드문 길, 특히, 공원과 산 주변에서 높다. 범죄의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가지 요인들은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작용한다. 둘째, 범죄의 두려움을 측정하는 설문지를 계량 분석하였다. 범죄의 두려움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설문 문항의 적절성 여부를 파악하고, 많은 양의 자료를 축소하기 위하여 요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 분석을 통하여 7개의 요인이 추출되었고, 무례한 행동(incivility)이 범죄의 두려움을 가장 많이 설명하는 요인(24.032%)으로 나타났다. 두려움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들로는 공동체 유대, 주의, 범죄 발생, 피해자, 윤리의식, 공권력 등이 있다.

정보사회에 었어서 피해자보호제도와 정책 (Study on the Policy for Protection of Crime Victims in the Information Society)

  • 김형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8권3호
    • /
    • pp.39-48
    • /
    • 2010
  • 정보화 사회에 있어서 피해자는 범죄원인의 제공자로서 특성과 보호대상으로서의 특성이 공존하고 있다. 이러한 상반된 특성이 피해자학의 변천과 그 피해자학의 발전을 가져왔다. 그 결과 피해자화에 따른 피해의 분류가 일반화되었다. 즉 범죄로 인한 직접피해를 제1차 피해라고 하며, 그리고 제 1차 피해로 인하여 수적으로 발생되는 피해를 제2차 및 제3차 피해로 구분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피해분류의 원인에 따라 각국의 범죄피해자 대책을 살펴보고 한국의 문제점올 고찰하였다.

  • PDF

정보시스템통제 및 감사가 컴퓨터범죄의 인지된 위험에 미치는 영향: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The Impact of Information System Control and Audit on the Perceived Risk of the Computer Crime in Case of Financial Institutions)

  • 한인구;윤종호
    • Asia pacific journal of information systems
    • /
    • 제5권1호
    • /
    • pp.112-128
    • /
    • 1995
  • The information system control includes organizational structure, control mechanism, and management tools which contribute to accomplish the goals of information system: asset safeguarding, data integrity,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Information system audit is the process to evaluate whether the information system accomplishs the goals. Information system auditor examine the reliability of information system control and suggest recommendations to improve the information system control. Both information system control and information system audit activities contribute to prevent and detect the computer crime for the organization. This paper proposes a causal model of information system control/audit and the perceived risk of computer crime, and tests the model using a survey on 38 financial institutions in Korea. Statistical results show that information system control and audit significantly reduce the computer crime risk perceived by the user group. The general control has a stronger impact than the application control. In addition, it turns out that the greater the deviation between the importance and the actual level of information system control is, the higher the perceived risk of computer crime i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