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강은영, 박미랑, 김상미 (2010). 범죄예방을 위한 환경설계의 제도화 방안(3): 학교 및 학교주변 범죄예방을 중심으로. 학교 및 학교주변범죄위험, 보호요인: 학생 및 지역주민 조사.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2 |
권주영 (2016). 범죄두려움 감소를 위한 주거지 생활권의 가로공간 환경계획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3 |
김동현 (2015). 도시재생구역이 거주민의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4 |
김영식 (2016). 안전도시를 위한 치안 거버넌스 사례 분석: 파리안전협약을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5(2), 54-76.
|
5 |
김영제 (2007). CPTED와 지역 범죄통제 거버넌스가 범죄 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6 |
박상주 (2003). 경찰서비스의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 청소년 범죄예방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7(1), 271-291.
|
7 |
배득종 (2006). 행정학 헤드스타트. 서울: 박영사.
|
8 |
오봉욱 (2016). 취약집단의 범죄두려움에 관한 다수준적 접근: 여성, 장애인, 노인을 대상으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9 |
이영남 (2007). 참여형 치안거버넌스 모형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2(1), 161-189.
|
10 |
이윤호. (2007). 피해자학. 서울: 박영사.
|
11 |
이은구 (2003). 로컬거버넌스. 서울: 법문사.
|
12 |
이정희 (2010). 지역경찰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아동 대상 범죄 예방을 위한 네트워크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3 |
전종섭 (2000). 시민사회의 뉴거버넌스. 서울: 법문사.
|
14 |
정우열, 우상규 (2014). 범죄예방을 위한 민.경 협력치안의 실태와 발전방안. 한국민간경비학회보, 13(3), 416-442.
|
15 |
차훈진 (2007). 범죄에 대한 두려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6 |
차훈진 (2011). 범죄에 대한 두려움의 측정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공안행정학회보, 43, 254-286.
|
17 |
채인병 (2015). 안심마을 시범사업이 동네 범죄안전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천안시 원성1동을 대상으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8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6). 한국의 범죄현상과 형사정책.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19 |
Ferraro, K. F. (1995). Fear of Crime: Interpreting Victimization Risk.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
20 |
한도현 (2012). 효과적인 범죄예방을 위한 주민 협력치안 활성화 방안.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1 |
Garofalo, J. (1981). The fear of crime: Causes and consequences. Journal of Criminal Law and Criminology, 839-857.
|
22 |
Warr, M. (1992). Altruistic fear of victimization in households. Social Science Quarterly, 73, 723-736.
|
23 |
교육부 (2017). 2017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 보도자료.
|
24 |
부산일보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70905000268, 2017. 10. 2. 검색).
|
25 |
세계일보 (http://www.segye.com/newsView/20170905001223, 2017. 10. 2 검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