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T Convergence Product

검색결과 772건 처리시간 0.028초

패션 브랜드의 기술·문화 융합과 지속가능 경영 활동에 따른 지속가능성 평가연구 (The Effect of Technology·Culture Convergence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of Fashion Brands on Sustainability Evaluation)

  • 박수현;고은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52-165
    • /
    • 2017
  • In the context of the convergence revolution that brings together culture, technology, and humanities, the fashion industry is aiming to form product strategies to create added value. The ultimate aim of these strategies is to satisfy consumers' diverse needs. Boosted by discussions on sustainability in the fashion industry,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are also emerging as a trend in product strateg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both convergence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together as drivers of fashion brands' product strategies.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ustainability evaluation by product strategy, (2) to determine how sustainability evaluation affects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and (3) to identify how this effect var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vergence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The main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sustainability evaluation varies according to fashion brands' product strategy. Second, evalu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Third, the effect varie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nvergence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This study is an extension of previous research for combining fashion brands' convergence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as a part of their product strategy, which, in turn, contributes to positive consumer responses on the marketing level. Moreover, results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for fashion brands that enable them to establish efficient marketing strategies regarding to convergence and sustainability management activities.

[Review] The Impact of Character Collaboration Product Characteristics on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Focusing on F&B Products

  • Kyung Tae JANG;Senghyeon LEE;Seong-Soo CHA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10권2호
    • /
    • pp.1-5
    • /
    • 2024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aracter collaboration product characteristics on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 within the food and beverage (F&B) industry, with a special focus on Generation MZ's growing interest in such products. The methodology involves a comprehensive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on character marketing, brand awareness, and consumer purchase intention, supplemented by case studies of successful character collaborations in the F&B sector. The findings reveal that character collaborations significantly impact brand awareness and purchase intentions, particularly among younger consumers like Generation MZ. These collaborations not only rekindle nostalgia but also introduce new and exciting consumer experiences, effectively attracting a wide demographic. The success of character-themed products, from Pokémon bread to Coca-Cola's League of Legends collaboration, underscores the strategy's effectiveness in boosting brand recognition and consumer engagement. The implications of this research are manifold for the F&B industry. Firstly,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leveraging popular characters to forge emotional connections with consumers. Secondly, it suggests that product development should closely align with consumer preferences and market trends to maximize appeal. Lastly, it positions character collaboration as a strategic marketing tool that not only enhances product sales but also strengthens brand loyalty and facilitates sustained brand growth.

컨버전스 트렌드에 의한 패션 디자인 (Convergence in Fashion Design)

  • 고현진
    • 복식
    • /
    • 제56권7호
    • /
    • pp.148-162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cept of convergence which is one of the trendy issues as a new digital paradigm of Integrative thinking in 21st century, to analyze the plastic feature and internal meaning of convergence expressed in fashion design, and to grasp the cultural symbolism through this aesthetic analysis. Because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discussions on convergence, centering on industrial product area associated with media, I will proceed my study on the basis of them. For this, the documentary study and practical case study have been executed.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find a direction of future fashion design trend. Convergence in digital stage can be defined as a phenomenon which different functions of product move towards one direction for greater efficiency, and not only as a technical integration between functions of product, but also an extension of area. Convergence can be classified by their use as (1) convergence for convenient daily life (2) convergence with intelligent scientific technology (3) convergence for entertainment on the basis of sensual experience. The plasticity of convergence designs feature as a open dynamic structure which potentiate transformation and their internal meaning can be inquired such qualities as integrative multiplicity, efficiency, mobility, intelligence. Specially convergence fashion design has protection qualify resulting from wearability on body. Ultimately convergence fashion design as a future digital paradigm can be thought as both eco-friendly design and human-centered design from positive technology-based viewpoint, because it is easy to transform according to our environment, convenient to reserve, and efficient to enhance spatial usibility.

공공문화와 융합된 감성형 영상 소변기 개발 (Development of the Urinal of Emotional Type with Screen converging with Public Culture.)

  • 최태옥;이가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7호
    • /
    • pp.191-198
    • /
    • 2017
  • 본 연구는 영상기술과 공공문화콘텐츠의 새로운 접목형 융합상품으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소변기에 영상장치를 장착한 본 제품은 기존에 없던 감성형 위생도기 제품으로서 화장실에 대한 인식의 제고를 가져왔을 뿐 아니라 하이테크한 전자제품과 위생도기의 제품을 접목시키는 새로운 시도이다. 또한 유니크한 아이디어로써 광고효과로써 공공정보 알림등 소변기의 새로운 시장성을 제시하는 제품개발 아이템이다. 상품화를 위하여 본 과제에서 제작할 디자인이 반영되도록 3D Rendering, 3D Mock-up 등을 활용해 별도의 제작공정을 들여 프로토타입 형태로 제작하고, 이 후 생산자의 협의 등을 통해 다양한 상품으로 확장 고려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차별화된 동영상 콘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경쟁력 있는 품질과 가격으로 소규모 업체의 프랜차이즈를 타겟으로 한 새로운 이미지 메이킹을 시도함에 따라 다양한 마케팅이 가능한 트렌드를 리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융합 소프트웨어 품질의 특성, 개선 전략과 대안 (SW Quality of Convergence Product: Characteristics, Improvement Strategies and Alternatives)

  • 민상윤;박승훈;이남희
    • 중소기업융합학회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19-28
    • /
    • 2011
  • 현시대 및 미래의 제조산업은 대부분 소프트웨어 융합 제품으로 이미 바뀌었거나 계속해서 바뀌고 있어, 소프트웨어가 부품의 의미로 사용되었던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제품'이라는 용어도 이미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동등한 역할을 하는 '소프트웨어 융합 제품'으로 불리고 있다. 이것은 단지 호칭의 유행이 아니라 제품의 기능적 진화의 대부분이 소프트웨어를 통해 중점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하며, 또한 소프트웨어의 품질이 융합 제품의 품질을 좌우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융합 제품은 특성상 양산과 판매의 성격을 지닌다. 이는 양산된 제품의 소프트웨어 결함은 양산된 제품 수에 비례하여 엄청난 결함 비용을 발생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융합 산업에서 소프트웨어 품질은 기능의 경쟁력이기 이전에 사업의 안정성을 의미한다. 소프트웨어 품질 개선에 대해서는 그 동안 많은 연구와 노력이 있어왔으나, 국내나 아시아의 개발환경 하에서 실질적인 성공사례를 찾아보기는 쉽지가 않다. 아이폰의 충격과 토요타의 리콜 사건 등 많은 융합 산업의 물결 속에서 보다 현실적이고 냉정한 소프트웨어품질 관리 방안이 필요한 때이다. 본 논문에서는 융합 소프트웨어 산업의 태생적 특성을 살펴보고, 동시에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품질 개선 방법들의 현재 소프트웨어 융합산업에서의 적용 한계에 대해 논하여 본다. 그리고 융합 소프트웨어 산업의 특성을 고려한 보다 현실적인 소프트웨어 품질 개선 방안에 대해 소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기술되는 전략은 프로세스 수준보다 개선 활동의 구현상에서의 구체적 전략에 해당한다. 따라서 CMMI혹은 TQM, 6시스마와 같은 품질 혁신활동과 어우러져 사용될 수 있다.

  • PDF

워크플로우 기반의 제품라인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 환경 (A Tool for Workflow-based Product Line Software Development)

  • 양진석;강교철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6호
    • /
    • pp.377-382
    • /
    • 2013
  • 제품라인공학 기반의 융합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에서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아키텍처 모델을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명세를 이용하여 제어컴포넌트를 개발하도록 제안하는데 워크플로우는 트랜잭션을 주로 처리하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해 제안되었다. 제품라인 공학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도구의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 하지만 기존의 워크플로우 모델링 도구들은 제품라인 공학개념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워크플로우 기반의 제품라인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이 필요했다. 본 논문에서는 워크플로우 기반의 제품라인 소프트웨어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서 개발된 도구를 소개하고 개발된 도구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간단한 활용예제를 소개한다.

Green Advertisement with Sustainability Claims -Message Credibility and Design Trendiness-

  • Yoo-Won, Min;Sae Eun, Lee;Kyu-Hye, Lee
    • 패션비즈니스
    • /
    • 제26권6호
    • /
    • pp.82-93
    • /
    • 2022
  • Sustainability is a significant change that fashion industry has undergone. Marketers and brands are looking for guidance in green advertising to most effectively motivate consumers to purchase sustainable fashion products. This study aims to reve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sustainability claims on message credi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regarding product trendiness. We performed mediation and moderation analyses, using a 2 (sustainability message: environmental and cultural) × 2 (product design: classic vs. trendy) between-subjects experimental design. The PROCESS MACRO was used for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 that environmental claim must appear credible to consumers to motivate them to purchase a product. On the other hand, cultural claim, with and without credibility, affected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Moreover, cultural claim and trendy design together influenced message credibility and purchase intention, showing a moderated mediation effect. The study indicates that brands should broaden their perspective regarding sustainability by considering cultural factors when providing sustainability claims. Environmental claim should be clear and transparent to avoid green skepticism. Also, it is important to focus on product's design aspect: making trendy designs. It is difficult to change consumer behavior based only on sustainability value. Thus, brands must coney their consideration of design trends.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lso are discussed.

제조/서비스 산업의 소프트웨어 융복합 전략 :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프로덕트라인(SSPL) (SW Convergence Strategy in Manufacturing/Service Industry : Software and Systems Product Line(SSPL))

  • 이지현;기창진;김덕태;김창선;최종섭;이단형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295-308
    • /
    • 2012
  • Software and Systems Product Line(SSPL) is a paradigm that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by European Union(EU) to achieve the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of EU industries on the world market. It is not just a simple system or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y, but a sophisticated technology requiring capabilities for a high level of mass customization, platforms, processes and convergence of software and systems. EU has applied SSPL for the five selected industrial sectors including aerospace, automobile, medical equipment, consumer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 equipment since 1990s and led the way to other industry sectors to stimulate the application of SSPL from 2006. In order for Korea to secure competitiveness in the manufacturing and service industries in the competitive borderless market, it is essential to gain the high level of capabilities for software development and convergence of software and systems. SSPL can be a powerful means to achieve this end. This paper discusses the paradigmatic concept of SSPL, how EU's major industries and companies have secured competitiveness through SSPL, key capabilities that are necessary for successful institutionalization of SSPL in Korea, and finally suggestions on core strategies to materialize the benefits of SSPL for Korea.

융합 신제품 주류시장 진입 전략에 관한 연구 - 중소기업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ategy for Mainstream Market Entry of New Convergence Products - SMBs concerning)

  • 김영복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7-24
    • /
    • 2017
  • 제 4차 산업혁명 시대로 접어들면서 융합 신제품들이 대거 등장하고 있지만 치열한 경쟁으로 인해 일부 제품을 제외하곤 많은 제품들이 출시와 동시에 시장에서 사라지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인 경우 경영상 여력이 많지 않아 제품 기획 시 구체적인 마케팅전략을 고려하지 않고 성능과 품질에만 집중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마케팅전략이 융합 신제품 기획 시 포함되지 않는다면 초기 및 주류 시장 진입에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기시장에서 주류시장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요소를 캐즘마케팅 관점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융합 신제품 출시와 동시에 캐즘을 뛰어넘도록 캐즘마케팅 및 소셜네트워크 관점으로 분석한 후 마케팅 전략방안 네 가지를 제시 하였다. 이들 전략은 융합 신제품을 주류시장으로 진입시킬 때 치열한 경쟁에서 시장선점 우위의 포지셔닝을 취하고자하는 중소기업에 유용할 것이다.

개발자를 위한 합성제품 평가 지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on Criteria for Developer's Perspective Guide)

  • 정성모;김석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8권2호
    • /
    • pp.7-13
    • /
    • 2008
  • 국내외적으로 보안제품 평가를 위해서 공통평가기준(CC)을 제정하여 제품을 평가한다. 이와 같은 기준은 제품의 복잡성과 함께 버전이 변화되어 제품 평가의 기준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개발자 입장에서 제품을 설계할 때 보안성 평가 지침에 적합한 형태로 접근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개발자에게 제시되는 평가기준이 불명확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발자를 위한 합성제품 평가 지침을 제시함으로써 정보보안 제품을 설계단계에서부터 보안 제품 기준을 명확히 도입할 수 있도록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