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 Regulation

검색결과 109건 처리시간 0.027초

축분뇨 액비 저장조의 운영실태 및 악취 물질 발생량 조사 (Investigation of the Condition of the Operation of the Livestock Liquid Manure Bin and Assessment of Malodorant Emissions)

  • 김태일;송준익;정선;정종원;정의수;;유용희;양창범;김민규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1권3로
    • /
    • pp.189-196
    • /
    • 2005
  • 본 연구는 국내에 설치되어 있는 액비저장조의 운영실태를 조사하고, 액비저장조에서 발생되는 악취물질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1. 국내에 200톤 규모의 액비저장조를 설치한 60 농가를 대상으로 한 본 조사에서 약 $93\%$가 액비저장조를 제대로 가동을 하고 있었으며 이중 $57\%$가 액비제조시 폭기 처리하고 있었다. 2. 조사 농가 중 년간 액비의 활용 횟수는 2회가 $50\%$로 나타났고 액비의 부숙 효과를 높이고 악취를 저감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64\%$가 미생물제제를 첨가하고 있었다. 반면에 액비 이용시 인력 장비의 비용 및 악취물질 발생 저감을 위한 첨가제 비용이 $43\%$로 조사되어 액비이용 시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3. 액비 제조 형태별 악취물질 발현양상으로 호기 제조시 액비저장조내에서는 iso-valeric acid가 0.012에서 0.07ppm, Propionic acid가 $0.17\~2.85ppm$의 범위로 검지되었으며 혐기 제조시에는 n-Butyric acid가 1.5에서 2.3ppm, n-valeric acid가 $1.3\~1.8ppm$, acetaldehyde가 0.8에서 2.1ppm로 검지되어 호기 제조방법과 혐기 제조방법 모두 휘발성 지방산의 농도는 악취방지법의 규제농도 이상이었다. 부지경계선에서의 악취물질을 보면 호기시에는 미검출로 나타났고 혐기 제조시에는 Acetaldehyde가 $0.4\~0.9ppm$ 수준으로 검지되어 악취방지법의 규제농도를 초과였다.

  • PDF

Effect of Changing Amniotic Fluid Osmolarity on the $Li^+$ Transport Through the Membrane Surrounding Amniotic Fluid in the Rabbit

  • Chang, Jin-Keun;Lee, Sang-Jin;Sung, Ho-Kyung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7권1호
    • /
    • pp.13-25
    • /
    • 1993
  • To study the regulation of amniotic fluid volume and electrolyte concentration by the Membranes surrounding the amniotic fluid, the rate of $Li^+$ disappearance from amniotic sac of expired fetuses were examined while increasing the amniotic volume and osmolarity in rabbits. After intraamniotic injection of 1 ml isosmotic saline (about 20% of the amniotic fluid volume) containing 15 mM LiCl and 0.5 g/L Censored, the time courses of $Li^+$ and Censored disappearance were determined. From there the $Li^+$ clearance through the extrafetal routes was estimated and compared with that obtained from living fetuses. The volume, $Na^+$ concentration and osmolarity of amniotic fluid were measured and their relationships with $Li^+$ disappearance were evaluated. The fe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rate of disappearance from amniotic fluid of living fetuses during the first 30 minutes was strikingly higher for $Li^+$ than for Censored, suggesting that extrafetal routes exist. At 60 and 90 minutes, however, the disappearance rate of $Li^+$ was less than that of Censored,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Li^+$ reentry through fetal urination. 2. The disappearance of $Li^+$ from the amniotic fluid of the expired fetus was substantial, although lower than that of living fetuses, throughout the experimental period. 3. The $Na^+$ concentration and the osmolarity of the amniotic fluid of expired fetus measured 30 minutes after an intraamniotic injection of isoosmotic saline showed wide variation, but thereafter they changed gradually towards the normal extracellular fluid level. 4. When the amniotic fluid was iso- or hyposmolar, the rate of $Li^+$ disappearance from the amniotic fluid of the expired fetuses showed little variation. However, when the amniotic fluid was hyperosmolar, the rate at 30 minutes was markedly lower than those of isosmotic or hyposmotic amniotic fluid. At 90 minutes, the rate of $Li^+$ disappearance in hyperosmolar fluid reached a similar level to the rate in isosmolar fluid. 5. The intraamniotic injection of 400 mOsm/L saline solution decreased the disappearance rate of $Li^+$ from expired fetuses, while the injection of mannitol into the maternal vein induced no significant change. From these results it is concluded that: 1) a significant amount of $Li^+$ may leave the amniotic fluid via filtration through the membranes surrounding the amniotic fluid, 2) during hyperosmolar challenge to amniotic fluid, osmotic bulk flow might counteract the filterable loss, and 3) $Li^+$ disappearance might continue even after the volume and osmolarity of the amniotic fluid have recovered to control values.

  • PDF

산업보건 및 환경분야에 대한 활동기준원가계산 및 관리의 응용 (Activity-Based Costing and Management Applied to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ealth)

  • 박두용;마이클 티 브랜트;스티븐 피 르빈;백남원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44-155
    • /
    • 1996
  • During the 1990s the workplace has grown more complex and business competition has increased world-wide. All organizations, whether for-profit or non-profit have been forced to respond to market changes. More advanced information and technology, greater product diversity, shorter product life cycles, increased quality requirements, more regulation oversight, decreasing productivity, more competitors, and increasing overhead costs have motivated organizations to focus on ways to deliver products cheaper, better, and faster. Many organizations are searching for ways to reduce costs through downsizing, reengineering business processes, implementing quality management, outsourcing, and improving cost management. Support departments that provide services internal to an organization such as human resources, legal, and environmental, safety, and health (ES&H) are often the first organization targeted for cost reduction and cost control initiatives because these functions are part of a rapidly increasing overhead cost. Recently, ES&H functions are incresingly being integrated into the business of business to contribute value to organization beyond mere compliance with ES&H regulations. The discussions and development of the ISO compatible Environmental Management Standards 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tandards is another impetus to integrate ES&H function into the business of business. Thus, ES&H professional need new skills to analyze the cost of their function and communicate the value of the products and services they provide. In recent years, the need for and the importance developing cost management and business skills by ES&H professionals have been emphasized in the literature. Communicating with decision makers in terms of cost and value to the organization, and by using business language and business arguments is the first step toward effectively integrating ES&H activities into the business of business. Activity-based costing (ABC) is a cost management method that measures the cost of a product or service based on the actual use of resources by activities, and based on the actual amount of activities used to produce a product or service. ABC is recommended as a tool for managers of ES&H organizations to determine the cost of developing and providing ES&H products within a for-profit firm or non-profit agency. This paper discusses the trend of integration of ES&H functions into the mainstream of business activities within an organization. The general principles of treditional cost accounting are presented as a bases for understandging why and how ABC will provide more accurate estimates of cost. The principles and concepts of ABS are presented as a tool for determining more accurately the true cost of ES&H products and services.

  • PDF

재생 폴리에틸렌/비산회 분말 충전 복합체 제조와 기계적 물성, 내마모성 및 저속균열성장 저항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ufacturing, Mechanical Properties,Abrasion Resistance, and Slow Crack Growth Resistance of the Recycled Polyethylene/Fly Ash Composites)

  • 계형산;신경철
    • Elastomers and Composites
    • /
    • 제46권4호
    • /
    • pp.335-342
    • /
    • 2011
  • 비산회를 첨가한 폐 PE의 직접적인 재활용 및 용도 개발을 위하여 재생 폴리에틸렌 수지와 순수 HDPE를 기본으로 비산회(fly ash)와 블렌드하여 비산회/재생 PE 복합재료를 치합형 동방향 회전 이축 압출기(fully intermeshing co-rotating twin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각 조성별로 제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플라스틱 수지(재생 PE, HDPE)와 비산회의 혼합비를 (0~40) wt.%로 하였고 비산회의 함량 변화에 따른 물성을 비교하였다. 세 종류의 PE 모두 비산회 함량이 증가할수록 항복인장강도가 감소하고, 파단신율이 감소한다. 내마모성 시험 결과는 사포 거칠기가 증가할수록 내마모성이 떨어지고 거칠기가 감소할수록 충전제의 함량에 따라 내마모성이 증가한다. Notched Constant Ligament Stress 시험에서는 신재 PE와 재생 PE의 경우 하중의 변화에 따라 파괴 시간이 짧아지는 결과를 나타냈고, 비산회가 혼합된 KRPE 복합체는 신재 PE, 폐 PE 그리고 신재 PE 복합체 및 JRPE 복합체와 비교할 때 상대적인 파괴 시간은 짧게 나타나지만 매설용 구조물에 대한 한국산업표준에서 정하는 20% 노치 깊이, 15%의 하중에서 24시간 이상의 저속 균열저항성을 나타내어 지하매설용 구조체로서 하수 이음관/받침대와 옥외구조물로서 가로수 보호의자와 같은 구조물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Proteome characterization reveals the role of pollen and pistil of W22 (ga1; Ga1) in maize

  • Roy, Swapan Kumar;Yu, Jin;Kamal, Abu Hena Mostafa;Kwon, Soo Jeong;Cho, Kun;Cho, Seong-Woo;So, Yoon-Sup;Woo, Sun Hee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129-129
    • /
    • 2017
  • The first key point to the successful pollination and fertilization in plants is the pollen pistil interaction, referring to the cellular and molecular levels, which mainly play active roles in limiting gene flow among maize populations and between maize and teosint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proteins and investigate the mechanism of gametophytic factors using protein analysis. W22 (ga1); which didn't carry a gametophytic factor and W22 (Ga1), a near iso-genic line were used for the proteome investigation. SDS-PAGE was executed to investigate proteins in the pollen and pistil of W22 (ga1) and W22 (Ga1). A total of 44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were identified in the pollen and pistil on SDS-PAGE using LTQ-FTICR MS. Among the 44 proteins, a total of 24 proteins were identified in the pollen of W22 (ga1) and W22 (Ga1) whereas 20 differentially expressed proteins were identified from the pistil of W22 (Ga) and W22 (Ga1). However, in pollen, 2 proteins were identified only in the W22 (ga1) and 12 proteins only in the W22 (Ga1) whereas 10 proteins were confirmed from the both of W22 (ga1) and W22 (Ga1). In contrary, 10 proteins were appeared only in the pistil of W22 (ga1) and 7 proteins from W22 (Ga1) while 3 proteins confirmed in the both of W22 (ga1) and W22 (Ga1). Moreover, the identified proteins were generally involved in hydrolase activity, nucleic acid binding and nucleotide binding. These results help to reveal the mechanism of gametophytic factors and provide a valuable clue for the pollen and pistil research in maize. In addition, it might provide a comprehensive insight on the proteins that wer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pollen-pistil interaction.

  • PDF

One-Bottle system 상아질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 해석 (SHEAR BOND STREGNTHS OF ONE-BOTTLE DENTIN ABHESIVE SYSTEMS)

  • 조병훈;임성삼;권혁춘;엄정문;손호현;배광식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4권4호
    • /
    • pp.546-553
    • /
    • 1999
  • In Older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One-bottle dentin adhesive system', the shear bond strengths of two fourth generation dentin adhesive systems and two One-bottle systems to the occlusal dentin of the freshly extracted third molars were measured by the regulation of the ISO TR 11405. The fourth generation dentin adhesive systems used in this study were Scotchbond Multi-Purpose Plus and All-Bond 2, and the One-bottle systems were Single Bond and One-Step. The effects of the thickness of hybrid layer and adhesive layer, the diameter of resin tag and the ratio between the diameter of resin tag and that of dentinal tubule were analyzed as the contributing factors of the shear bond strength of dentin bonding systems from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imag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shear bond strengths of Scotchbond Multi-Purpose, All-Bond 2, and Single Bond were 16.98${\pm}$3.40 MPa, 15.10${\pm}$2.77 MPa and 15.05${\pm}$3.18 MPa, respectively.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p>0.05). 2. But, the shear bond strength of One-Ste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11.81${\pm}$1.95 MPa, p<0.05). 3. The thicknesses of hybrid layer and adhesive layer of One-Step were significantly thinn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p<0.05). The differences of the diameter of resin tag(p=0.0685) and the ratio between the diameter of resin tag and that of dentinal tubule(p=0.2401) were not significant among all the material groups. 4. The thickness of hybrid layer and adhesive layer might be considered as contributing factors of the she at bond strengths of dentin bonding systems, but the diameter of resin tag and the ratio between the diameter of resin tag and that of dentinal tubule might not.

  • PDF

B2B거래에서 국제표준인증 실행과 CRM만족도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International Standard Certification Execution and CRM Satisfaction on Business Performance in B2B Transaction)

  • 김창봉;박상안;정진영
    • 무역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319-344
    • /
    • 2017
  • 국제표준인증은 제품 및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자의 국제표준인증 기준에 만족하는 정도를 평가하여 공급자의 품질보증능력과 신뢰성을 인정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 가능한 국제무역규제를 해소하고 글로벌 파트너십의 네트워크 강화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표준인증을 획득한 우리나라 수출입 제조기업 153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거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연구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글로벌 무역공급망 통합에 있어서 국제표준인증 요인 중 자원관리 요인이 CRM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국제표준인증 요인 중 측정, 분석 및 개선 요인이 CRM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CRM만족도는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수출입 기업들은 글로벌 무역공급망관리에서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십의 국제표준인증 획득 여부는 기업의 사업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 PDF

우리나라의 환경오염 현황과 그 대책 (Environmental Pollution in Korea and Its Control)

  • 윤명조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2년도 춘계종합 학술대회 초록집
    • /
    • pp.5-6
    • /
    • 1972
  • 1960년이래 우리나라 산업은 현저하게 발달하였으며 이에 따르는 부수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는 교통기관의 발달과 도시인구의 비대도 병행하였다. 그리나 이미 선진국가에서 겪었던 경험과 같이 기계문명의 발달과 함께 자연 환경의 파괴라는 문제에 봉착하게 되었다. 대기오염과 도시소음은 호흡기 질환, 이비인후과 질환, 안질환, 그리고 도시민에 주는 불안감과 피로촉진 적인 요인이 되고 있음은 이미 밝혀졌으며 또한 활발하게 이에 관련되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때문에 인류의 사회복지 향상을 위한 노적의 결과가 우리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이율배반적인 현상을 초래하게끔 강요하였다는 모순을 볼 수 있다. 대기오염을 유발시키는 원인은 연료의 연소에 기인되므로 연료사용량의 증가는 대기오염도를 심하게 하여 주는 원인이 된다. 대기 오염물질의 발생원은 연료를 많이 사용하는 곳으로 일반적으로 교통기관, 산업장, 화력발전소 및 난방, 취사 등으로 구분한다. 따라서 연료 사용량과 연소방법을 기초로 하여 연간 대기로 배출하는 오염물질을 추정할 수 있다. 1960년에서 1969년 즉 10년간의 우리나라 연료사용량을 기초로 하여 향후 1980년까지의 대기오염물질의 연간 배출량 추세를 보면 1970년도에 연간 약 80만톤의 오염물질을 전국의 대기속으로 배출하였으며 향후 뚜렷한 대책을 강구치 않는 한 1975년도에는 약 3배로 증가할 것이며 10년 후인 1980년에는 약 6배로 증가된 462만들을 배출할 것으로 추산할 수 있다. 미국의 경우 1968년도의 연간 오염물질 배출량을 보면 2억 1천 4백만 톤을 배출하였으며 1966년도보다 약 70%증가하였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를 보면 같은 연도의 증가율은 2.3배로서 3년간의 배출 증가는 미국보다 훨씬 높은 추세를 나타내고 있었다 국토 단위면적(km$^{7}$ )으로 볼 때 우리나라의 1975년도에는 약 24톤을 배출하였으며 미국의 1968년도와 비슷한 배출량이라 할 수 있다. 1975년도에 서울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은 연간 36.4만 톤이며 하루에 약 1,000톤을 배출할 것으로 산출된다. 이 사실을 오염원 별로 보면 연간 배출되는 총량의 약 40%는 자동차의 배기에 의하여 오염되고 있으며 산업장은 약 30%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1970년도에 전국에서 배출된 양의 22.8%가 서울에서 집중적으로 배출되었음은 심각한 문제이며 이와 같은 현상을 보존키 위한 대책의 필요성을 암시하여 주고 있다. 서울시에서 배출되고 있는 유해가스 중 자극성이 있는 가스로써 비인후계 질환을 일으키는 유독가스 유황산화물, 질소산화물, 탄화수소는 전 배출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유황산화물의 배출원인은 유황분의 농도가 높은 방카C유를 도시에서 많이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라고 생각된다. 실제로 서울시의 대기중에 배출되는 연간 총량의 95%는 벙커 C유라고 지적한 바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서울시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의 40%는 자동차의 배기에 의하여 오염되고 있으므로 자동차의 문제만 해결한다면 대기오염물질의 40%에 해당되는 연간 배출량인 15만톤(1975년도)은 제거가 가능하며 또한 벙커 C유를 다른 연료로 대치한다면 약 10만톤 유황산화물을 제거할 수 있다 즉 1975년도의 연간 총 배출량 36.4만 톤 중 약 70%에 해당되는 25만톤은 해결할 수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으며 여러 실험결과를 종합하면 최소 약 50%의 배출물을 제거할 소 있는 것으로 믿는다. 도시소음의 발생원은 교통소음, 산업소음, 건설소음 및 일반소음 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연간 시민들에 의하여 60%가 소음으로 인한 피해에 대한 호소였음을 볼 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도시소음은 자연의 정숙을 파괴하는 가장 큰 원인이라 할 수 있지만 한편 너무나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공공성을 띄우고 있거나 또는 취재대상이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건설소음은 현재 세계적으로 행정적 규제를 강력히 시행 못하고 있으며 다만 공정에 사용되는 기계류를 기계공학적인 면에서 개선하고 있는 실정이며 교통기관의 경우는 운행노선의 조절(교통량분산) 항로조절, 역사이전 등의 소극적인 방법을 취하고 있으며 일반소음은 경범죄 및 선거법으로 단속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시소음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소음원은 교통소음이라 할 수 있으며 서울시의 주간도로 주변의 소음도는 평규 75㏈이며 최고 소음도는 85㏈이다. 특히 경적음은 100㏈ 전후로서 도로주변 소음으로서 가장 문제가 된다. 자동차의 운전상태에 따라 소음발생도는 달라서 대형 차량의 경우 발차시의 가장 크며 소형자동차는 속도에 비례하여 크다. 노후차량일수록 소음도는 커서 그 원인은 정비 불량으로 발생되는 차체소음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대책면에서 볼 때 정비강화, 교차로와 주차장의 감소 그리고 운행 장애물 제거등에 주력을 두어야 하며 독일의 소음방지 법령중 Hessen 경찰명령(제11조)에 의하면 라인에 경고하는 그의 목적에 자동차 경적을 사용하였을 때에는 200마르크 이상 500마르크 이하의 벌금을 과료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우는 거의 없다고 할 수 있다. 서울시는 급진적으로 비대하여져 과거 교외에 있던 역이 현재 13개소가 주택지의 가운데 있게 되었으며 기차소음으로 인한 생활환경의 파괴는 크다. 실제로 신촌역의 경우 철로에서 200m 지점에서 소음을 측정한 결과 듸젤기관차에서는 68㏈에서 79㏈였으며 석탄기관차는 68㏈에서 98㏈였다. 공해방지법의 소음평가 방법(NRN)으로 소음분석 및 평가하면 최소 200m 지점에서는 모두 공해방지법에 저촉을 받고 있으며 특히 경적음과 석탄기관차의 주행은 NRN 60을 초과하였으며 이 수치는 ISO의 평가내용에 의하면 주민들의 지역사회 활동에 강력하게 장해를 준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다. 기차소음의 대책면에서 볼 때 경적을 경종으로 대치하며 또한 주행속도를 조절한다면 많은 도움이 될것으로 추측된다. 일본의 경우 연속철(long rail)의 채용, 탄성체, 결장치의 사용 침목과 철로의 연결지점에 진동흡수재료사용 그리고 필요한 지점에 1~1.5m 높이의 방음벽설치등으로 많은 효과를 얻었다고 한다.

  • PDF

생쥐 신경교세포 유래 신경영양인자 유도성 전사인자 (mGIF) 유전자의 유전체 구조 및 프로모터 특성 분석 (Genomic Organization and Promoter Characterization of the Murine Glial Cell-derived Neurotrophic Factor Inducible Transcription Factor (mGIF) Gene)

  • 김옥수;김용만;김남영;이어진;장민경;이동근;이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2호통권82호
    • /
    • pp.167-173
    • /
    • 2007
  • 생쥐 신경교세포 유래 신경영양인자 유도성 전사인자(mGIF)의 발현조절에 필요한 전사기작을 연구하기 위하여 mGIF cDNA를 탐침자로 이용하여 genomic clone을 분리하였다. 전체 유전자 13-kb 영역 중 전사개시점에서 4-kb 상류영역의 유전자 서열을 파악한 결과, 프로모터 영역에서 TATA box와 CAAT box는 발견할 수 없었으며 G+C content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여러 개의 Sp1 전사인자 결합영역이 있었다. 또한 mGIF 유전자는 AP2 결합에 필요한 보존적 영역이 있었다. mGIF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의 단편들을 프로모터가 없는 pGL2-Basic 플라스미드의 luciferase 유전자의 상류에 연결하여 서로 다른 5종류의 결손 돌연변이체를 제조하고 NB41A3 세포주를 이용하여 전사활성을 측정하였다. Transient expression assays 결과, 모든 결손 돌연변이체에서 전사활성이 나타났으며 -213과 -129사이에 전사촉진 영역이 존재하며 -806과 -214사이에 전사억제 영역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세포주인 NB41A3과 신경교세포주인 C6 그리고 간세포주인 HepG2에서 mGIF 유전자 프로모터의 높은 활성이 관찰되었으며, 근육세포주인 C2C12에서는 낮은 활성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mGIF 유전자는 조직특이적으로 발현하며 도파민 수용체 유전자와 구조적, 기능적 유사성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