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f International Standard Certification Execution and CRM Satisfaction on Business Performance in B2B Transaction

B2B거래에서 국제표준인증 실행과 CRM만족도가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적 연구

  • 김창봉 (중앙대학교 경영경제대학 경영학부) ;
  • 박상안 (중앙대학교 산업창업대학원) ;
  • 정진영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무역물류학과)
  • Received : 2017.03.17
  • Accepted : 2017.04.24
  • Published : 2017.04.30

Abstract

The international standard certification evaluates the extend to which the supplier satisfies the international standard certification standards of the supplier of the product and the service, recognizes the quality assurance ability and reliability of the supplier, thereby resolving the international trade regulation that can occur to various fields and strengthening the network of the global partnership it is making an important contribution. Therefor, in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53 companies of Korean import and export companies. The research method was empirically analyz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source management factors among the international standard certification factors in the global trade supply chain integration had a positive effects on CRM satisfaction. Second, the measurement, analysis and improvement factors of international standard certification factors had a positive effects on CRM satisfaction. Third, CRM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s on business performance. Through this study, it is concluded that the Korean import and export companies have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business performance of the global trade partners.

국제표준인증은 제품 및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자의 국제표준인증 기준에 만족하는 정도를 평가하여 공급자의 품질보증능력과 신뢰성을 인정함으로써 다양한 분야에서 발생 가능한 국제무역규제를 해소하고 글로벌 파트너십의 네트워크 강화에 중요한 기여를 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제표준인증을 획득한 우리나라 수출입 제조기업 153개 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거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연구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글로벌 무역공급망 통합에 있어서 국제표준인증 요인 중 자원관리 요인이 CRM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국제표준인증 요인 중 측정, 분석 및 개선 요인이 CRM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CRM만족도는 기업의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우리나라 수출입 기업들은 글로벌 무역공급망관리에서 글로벌 비즈니스 파트너십의 국제표준인증 획득 여부는 기업의 사업성과를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