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SO 12219-4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ISO 12219-5 (Static chamber법)를 이용한 모듈내 구성부품별 VOCs 영향도 분석 (VOCs impact factor analysis of unit components in Part assembly by ISO 12219-5 method)

  • 이신종;장혜진;곽동환;김만구
    • 분석과학
    • /
    • 제27권6호
    • /
    • pp.284-291
    • /
    • 2014
  • 차량 실내 공기질 대응 프로세스는 두 단계의 시험 방법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모듈 부품평가를 통해 차량 실내 VOCs의 주요 원인을 찾고, 절단 시험편을 이용하여 VOCs가 주로 방출되는 소재를 찾는다. 만약 VOCs가 주로 방출되는 소재를 확인 시, 소재 개선을 통해 차량과 모듈 부품에서 방출되는 VOCs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절단 시험편을 이용한 시험법은 VOCs 원인을 찾는데는 절단면에서의 방출 문제가 있기 때문에, 구성 부품 단위의 평가방법 적용이 필요하다. ISO 12219-5 시험 방법은 부품 절단없이 평가를 하기 때문에 소재 및 표면적의 영향이 함께 고려되어, 모듈 부품에서 구성 부품의 VOCs 영향도 확인이 가능하였다. 트림과 콘솔의 구성부품 평가를 통해 모듈내의 주요 원인 부품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ISO 12219-5 모듈 부품 시험법과 구성 부품 시험법간의 정량적 상관관계 규명을 통해 품질관리를 위한 관리값을 설정할 수 있었다.

마이크로 챔버와 20 L static chamber를 이용한 도어트림 암레스트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 평가 (Evalu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tted from door-trim armrest using micro chamber and 20 L static chamber)

  • 이익희;유지호;김만구
    • 분석과학
    • /
    • 제24권4호
    • /
    • pp.290-297
    • /
    • 2011
  • 현재 자동차 실내공기질을 평가하는 방법이 ISO, 중국, 일본에서 개발 중에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관리기준이 2010년 7월 1일 이후 생산한 신규제작자동차부터 적용되고 있다. 자동차 실내공기질을 관리하기 위해서는 자동차 실내의 내장부품으로부터 방출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모듈단위부품인 도어트림 모듈의 구성부품인 도어트림 암레스트를 ISO 12219-5방법에 따라 완제품을 평가 하였으며, ISO 12219-3방법으로 절단부품과 도어트림 구성소재를 평가하였다. Tenax TA가 충진된 스테인리스 튜브를 이용하여 VOC를 채취하여 TD-GC/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 시험방법을 비교한 결과 도어트림 암레스트로부터 방출되는 물질의 비율이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도어트림 암레스트의 소재를 평가한 결과 PP substrate과 adhesive가 도어트림 암레스트에서 주요 방출원인 소재로 나타났다.

백을 이용한 정적 방출시험 방법에서 수분공급을 통한 상대습도조절과 포름알데하이드의 방출강도에 미치는 영향 (Control of relative humidity in the static bag emission test method by adding water and its effect on formaldehyde emission intensity)

  • 박철순;유지호;김만구
    • 분석과학
    • /
    • 제24권4호
    • /
    • pp.282-289
    • /
    • 2011
  • 자동차 내장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들을 평가하는 간편한 방법으로 백을 이용하는 방법이 ISO 12219-2의 방법으로 개발중에 있다. 백을 사용하는 정적 시험방법은 방출시험 시 습도를 조절하지 않기 때문에 습도조건에 민감한 포름알데하이드의 방출시험에는 적당하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백을 사용하는 정적 시험방법에서 추가로 수분을 공급하여 시험백안의 상대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가능성 및 상대습도가 포름알데하이드 방출농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시험 백 안의 상대습도는 주입한 수분의 양뿐만 아니라 시험백의 재질과 시험편의 종류에 큰 영향을 받았다. 그리고 시험 백 안의 상대습도가 증가할수록 포름알데하이드의 방출강도는 증가했지만 과다한 수분이 공급되면 백 내부 표면이나 시험편의 표면에 여분의 수분이 응축하여 여기에 방출된 포름알데하이드가 재흡수되어 측정된 포름 알데하이드의 방출강도가 낮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