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IPv6 주소할당

Search Result 48, Processing Time 0.056 seconds

Effective IPv6 Address Allocation Mechanism in All IP Wireless Networks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효율전인 IPv6 주소할당 방안)

  • 정현철;민상원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9 no.2B
    • /
    • pp.240-249
    • /
    • 2004
  • For the effective IP-based service implementation in the wireless network environment, involvement of IP-related technologies in wireless networks is inevitable and globally unique IPv6 address allocation to the mobile node has become an important issue. In the 3GPP's address allocation mechanism, IPv6 address allocation procedure is performed by the GGSN, which is normally located far from the mobile nodes. This causes IPv6 address allocation time delay and traffics to be longer and increased in the core network, respective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IPv6 address allocation mechanism that is performed by Node B located in RAN. The proposed IPv6 address allocation mechanism can provide IPv6 addresses to mobile nodes within a more reduced time than existing 3GPP's IPv6 address allocation mechanism, and co-operates with existing mechanism as an overlay model to improve reliability of wireless networks. And, for implementation of the proposed address allocation mechanism, it needs not to change the structure of current wireless networks except for the some functional addendum of Node B.

The Tunneling Mechanism for IPv4-IPv6 Transition (IPv4-IPv6 주소변환을 위한 터널링 메커니즘 제안)

  • Lee, Sung-Hyup;Yeom, Ik-J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04b
    • /
    • pp.1169-1172
    • /
    • 2001
  • 연구와 학술 목적으로 시작한 인터넷의 사용자가 급격히 증가되면서, 전세계적인 통신망을 형성하여 1970년에 시작된 IPv4의 주소체계로는 주소할당이 불가능하게 되었다. 그래서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는 1995년 12월에 IPv6(RFC1883)의 표준안을 제정하게 되었다[2]. IPv4에 비하여 IPv6는 주소할당 능력이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증가되었고, IPv4의 단점을 일부 보완하여 보다 나은 주소체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하지만 기존의 IPv4의 주소체계와 IPv6의 주소체계의 호환성이 문제로 대두되었다[1]. 몇 가지의 모델로 호환성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지만, 효율적이고 완벽한 방법은 최소의 비용과 가장 효율적인 터널링 방안이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IPv4-IPv6 양방향 컨버터를 이용한 효율적인 터널링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 PDF

IPv6 address allocation scheme in 3GPP network supporting IETF specification (IETF규격을 만족하는 3GPP네트워크에서의 IPv6주소 적용 방법)

  • 유재필;김기천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10c
    • /
    • pp.595-597
    • /
    • 2003
  • 유럽지역에서의 현재 및 차세대 이동통신의 규격화를 추진하고 있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의 경우, 부족한 단말의 주소 및 네트워킹의 향상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IPv6의 도입을 추진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IPv6 자체의 규격은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진행하고 있는데, 현재 상황의 경우 3GPP에서 IPv6할당의 규격은 IETF의 규격과 완전호환이 되어 있지않아 IETF가 권고안을 마련한 상태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상태에서 IETF의 권고안을 만족하는 3GPP네트워크에서의 IPv6주소 할당 방식을 제안한다.

  • PDF

차세대 인터넷 주소 "IPv6 시대 개화"

  • Korea Database Promotion Center
    • Digital Contents
    • /
    • no.6 s.109
    • /
    • pp.84-89
    • /
    • 2002
  • 인터넷 사용자의 지속적인 증가, 모바일 IP의 활성화, 다양한 인터넷 관련 제품 출현에 따라 현재 인터넷 주소 체계인 IPv4의 한계성에 대한 논의와 그 해결책으로서 IPv6의 도입이 전 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은 인터넷주소 고갈에 대한 궁극적 해결을 위해 차세대 인터넷 주소체계인 IPv6를 조기 도입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특히 상업적인 IPv6도입이 본격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IPv6 주소할당 정책과 망구축 등 IPv6 도입을 위한 사전 준비작업에 사활을 걸고 있다.

  • PDF

Address Assignment and outing Rules for 6Bone KR Evolution (6Bone KR 진화를 위한 주소 할당 및 라우팅 규칙)

  • 이종국;신명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8.10a
    • /
    • pp.483-485
    • /
    • 1998
  • 6Bone(IPv6 Backbone)은 IPv6 환경의 개발 촉진 및 진화를 위해 만든 전세계적인 실험망이다. 본 논문은 국내 6Bone인 6Bone KR의 구축을 위해 주소 할당 및 라우팅 규칙을 정의한 내용을 기술한다. 기존의 6Bone 주소 구조를 알아보고, 6Bone KR의 주소 체계가 어떻게 기존의 6Bon을 따르면서, 6Bone KR의 계층적 전개를 위한 연결 규칙을 가지는 가를 살펴본다. 그리고 현재 6Bone KR이 구성된 상황과 개발한 연결 테스트의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이밖에 6Bone KR진화를 위한 몇 가지 고려사항들을 분석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Renumbering을 이용한 새로운 이동 IPv6 환경을 제안한다.

  • PDF

An Analysis on Security Attacks and Their Response Methods on Transferring into IPv6 (IPv6 전환 과정의 보안위협 분석 및 대응방안)

  • Kim, Sang-Soo;Cho, Gi-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949-952
    • /
    • 2011
  • 현재 IPv4 에서 IPv6 로의 전환은 매우 시급한 상태이다. 하지만 IPv6 로의 전환에 앞서 IPv4 에서 제기되었던 많은 보안 문제점이 IPv6 로의 전환에 걸림돌이 되고 있다. 차세대 인터넷 구축에 반드시 필요한 IPv6로의 변환 과정에 있어, 기존의 IPv4 와 IPv6 의 서로 다른 방식으로 인한 이질성으로 예상치 못한 보안상 문제점들이 드러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IPv4 에서 IPv6 로 전환 시 발생할 수 있는 보안상 위협에 대해서 분석한다. 또한 터널링 방법에서의 패킷 헤더 변조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 패킷 무결성 검증에 의한 패킷 필터링 방법과 IPv4 주소 할당 방법에 있어 주소 할당 서버의 IP pool 주소 고갈 공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 하였다.

The Security Vulnerability of Recent Transition Mechanism and the Security Enhancing Plan on IPv4/IPv6 (최근 IPv4/IPv6 전환기술의 보안취약점 및 보안성 강화방안)

  • Lee, Jae-Yong;Bong, Jin-Sook;Shin, Y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12.06d
    • /
    • pp.340-342
    • /
    • 2012
  • 국제 인터넷주소 할당기관인 IANA(Internet Assigned Numbers Authority)는 2011년 2월 4일 글로벌 IPv4 주소 할당 중지를 선언하였다. 이로 인해 IPv4를 대신할 차세대 인터넷 주소체계인 IPv6로의 전환이 시급한 상황이다. 하지만 IPv4/IPv6 전환 과정에서 IPv4 네트워크와 IPv6 네트워크의 공존으로 인해 인가 되지 않은 터널링과 같은 보안 위협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IPv6로의 전환을 위해 최근 새롭게 연구되고 있는 전환기술의 보안취약성 및 강화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IPv6 Address Allocation for Efficient Routing (효율적인 라우팅을 위한 IPv6 주소 할당 방식)

  • Kang, Yoo-Hwa;Park, Chang-Min;Kim, Tae-Il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10b
    • /
    • pp.403-405
    • /
    • 2005
  • 광대역통합망(BcN: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은 IT839에서 정의하는 8대 핵심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기술이며, 이들 핵심 서비스들이 요구하는 가장 중요한 사항은 각 서비스에서 요구하는 단말 및 망의 서비스 주소이다. 이러한 주소의 결정은 서비스 성능을 결정하는 가장 기본적인 사항이다. 따라서 BcN에서는 최종적으로 IPv6 주소에 의한 네트워크 구성으로 이들 8대 핵심서비스의 서비스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망을 구성하고 서비스 사용자의 망 접속 편리성 제공과 향후 새로운 서비스 확장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IPv6 주소를 이용한 망 구성에 있어서 패킷 포워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글로벌 라우팅 테이블과 이를 구성하는 BGP 라우팅 프로토콜의 관련 기능을 살펴보고, 이 라우팅 테이블을 가장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는 주소 할당 방식에 대하여 기술한다.

  • PDF

Efficient Address Lookup for IPv6 (IPv6을 위한 효율적인 Address Lookup)

  • 나상준;장기현;이병호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3.04d
    • /
    • pp.581-583
    • /
    • 2003
  • 현재 인터넷에서는 사용자의 급격만 증가로 인해 고성능의 라우터를 요구하고 있고 주소부족으로 IPv4에서 IPv6로 변화를 하고 있다. IPv4처럼 IPv6에서도 Address Lookup이 병목이 될 것이며 IPv4와는 달리 IPv6는 128bit의 주소 길이를 가지고 있어 이에 맞는 라우터 구조와 Address Lookup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IPv6주소 128bit 중 외부에서 할당받는 64bit를 3단계로 나누는 계층적 네트워크 구성과 각 단계에 적합한 라우팅 테이블 구조와 Address Lookup 알고리즘에 대해 연구하였고 펜티엄 III 866MHz의 프로세서에서 알고리즘의 검색 시간을 측정해 각 단계에 맞는 라우팅 테이블 구조를 제안하였다.

  • PDF

Hardware design of SIIT for IPv4 to IPv6 Protocol Translation (IPv4와 IPv6의 변환을 위한 SIIT 하드웨어 설계)

  • Park, Sang-Won;Song, Moon-Vin;Yi, Doo-Young;Lim, Jae-Chung;Chung, Yun-Mo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b
    • /
    • pp.1201-1204
    • /
    • 2003
  • 현재는 IPv4의 주소 체계를 사용하여 많은 단말기들이 인터넷에 연결되고 있다. 32비트 주소 체계인 IPv4는 앞으로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모든 단말기에 주소를 할당 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주소 체계인 IPv6가 연구되고 있다. 현재의 주소 체계를 사용하고 있는 대부분의 단말기들과 IPv6의 주소 체계를 사용하는 단말기들을 직접 연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IPv4에서 IPv6의 주소 체계로 넘어가는 과도기적 단계에서 두 프로토콜 간외 상호 변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IPv4와 IPv6의 변환 기술인 SIIT(Stateless IP/ICMP Translator)를 하드웨어로 설계하기 위하여 VHDL로 모델링 하였으며 FPGA에서 검증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