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TERTIDAL FLAT

검색결과 140건 처리시간 0.026초

서해 근소만 조간대 퇴적물에서 여름과 겨울에 인의 존재형태 (Phosphorus Speciation and Bioavailability in Intertidal Sediments of Keunso Bay, Yellow Sea During Summer and Winter)

  • 김동선;김경희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2권3호
    • /
    • pp.177-186
    • /
    • 2010
  • A sequential extraction technique was used to study sediment phosphorus speciation and its relative importance in the intertidal flat of Keunso Bay during summer and winter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hosphorus cycle and bioavailability in intertidal sediments. Loosely sorbed P contents were the lowest among the five P-pools and showed little seasonal or spatial variation. Although Fe-bound P contents were almost constant in winter, they decreased rapidly with sediment depth in summer. The dissolution of Fe oxides, used as an oxidant for the anaerobic respiration, ascribed the rapid decrease of Fe-bound P in summer. Al-bound P contents displayed little seasonal variation, but showed a large spatial variation, with higher values in the upper intertidal flat. Comprising about 50% of total P, Ca-bound P contents were the highest among the five P-pools. Ca-bound P contents were higher in winter than summer, but did not exhibit a clear spatial variation. Organic P contents were higher in summer than winter, which was associated with higher primary production and clam biomass in summer. Organic P contents were higher in the lower intertidal flat than the upper intertidal flat. In Keunso Bay, bioavailable P contents of the intertidal flat comprising about one third of total P ranged from 2.41 to 5.09 ${\mu}molg^{-1}$ in summer and 3.82 to 5.29 ${\mu}molg^{-1}$ in winter. The bioavailability of P contents was higher in the lower intertidal flat than the upper intertidal flat, which was attributed to the large clam production in the lower intertidal flat.

남양만 남부 조간대 퇴적환경의 퇴적학적 특성에 관하여 (Sedimentological Properties Of the Recent Intertidal Flat Environment, Southern Nam Yang Bay, West Coast Of Korea)

  • 정공수;박용안
    • 한국해양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9-18
    • /
    • 1978
  • 조간대는 창조류와 낙조류의 영향으로 주기적인 침수와 노출이 일어나는 해역으로서 조류에 의해서 퇴적작용이 이루어지는 해양퇴적환경이다. 우리나라 서 남 해안에는 조간대가 잘 발달되어 있으며 서 남해안 조간대의 조사 연구방향에 대하여 박(1976)에 의해 제시된 바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해의 남양만 남부에 발달하여 있는 조간대 퇴적환경에서의 (1)퇴적물분포양상, (2)퇴적작용, (3)퇴적물의 화학성분 및 (4)퇴적물의 점토광물의 종류를 밝히는데 있다.

  • PDF

Topography in intertidal zone by satellite images

  • Kang, Yong-Q.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664-669
    • /
    • 2002
  • Intertidal zone (tidal flat) is a place which is sometimes dry and sometimes wet depending on the tidal rhythm. Direct measurement of topography in the intertidal zone is very difficult to be achieved. The interface between wet and dry parts in the tidal flat, which can be identified from near infrared band of satellite image, is a 'depth contour' which corresponds to the sea level at the time of satellite pass. Aquisition of topography data in tidal flat is possible by combining various techniques such as (1) identification of the interface between wet and dry parts, (2) GCP correction of satellite image, and (3) realtime prediction of sea level elevation at the time of satellite pass. The algorithm was successfully applied in obtaining topography (bathymetry) data in the intertidal zone of Asan Bay in the west coast of Korea from 26 satellite images. The method is expected to be very efficient in making bathymetry data base in the western and southern parts of Korea where tidal flats are well developed in wide regions.

  • PDF

조간대 갯벌지형 영상 관측 고찰 (Study on Intertidal Flat Topography Observation Using Camera Images)

  • 김태림;박석광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4호
    • /
    • pp.145-151
    • /
    • 2006
  • 밀물시 조간대 갯벌에서 이동하는 수륙 경계선은 간조와 만조 정선사이에서의 등고선을 나타낸다. 이를 연속 촬영한 영상에서 수륙 경계선을 추출하여 기하보정을 하면 각 등고선에 대한 실제 공간 좌표를 획득할 수 있으며 이를 모두 통합함으로서 조간대 지형에 대한 3차원 지형 정보를 얻는다.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갯벌은 방조제 건설이후 방조제 외측에서 가장 뚜렷한 갯벌 지형 변화를 보이는 곳이다. 이 지역의 갯벌 지형에 대하여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영상 관측을 수행하여 지형을 관측하였으며, 이를 현장 관측한 자료와 비교한 결과 유사한 높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다른 시기에 영상 관측된 지형 자료로부터 그 변화를 검토하였다.

한국 서남해안 두우리 조간대에서 표층 퇴적물 및 퇴적구조의 특성과 계절변화 (Depositional Characteristics and Seasonal Change of Surface Sediment and Sedimentary Strucutre on the Doowoovi Tidal Flat, Southwestern Coast of Korea)

  • 백영숙;전승수
    • 한국석유지질학회지
    • /
    • 제10권1_2호
    • /
    • pp.10-17
    • /
    • 2004
  • 한국 서남해안에 위치한 두우리 조간대는 사주와 보호섬이 존재하지 않고 외해로 열려있는 전형적인 개방형 조간대이다. 이러한 개방형 조간대에서는 바람에 의한 파랑이 퇴적작용에 중요한 요소의 하나이므로, 계절에 따른 파랑에너지의 차이가 조간대 표층퇴적물의 분포와 퇴적구조의 특성에 직접적으로 반영된다. 두우리 조간대는 상부의 조수해빈 (tidal beach), 중부의 전형적인 조간대 (intertidal flat)와 최하부의 니질대 (lowermost mudflat)로 구분된다. 이러한 구분은 표층퇴적물의 구성뿐만 아니라 조간대의 경사도에 의한 구분과도 일치한다. 조간대 내에서의 퇴적물은 1차 퇴적구조와 사서질 퇴적물의 함량에 따라 다시 사질 조간대, 혼합 조간대와 니질조간대로 나누어진다. 두우리 조간대의 표층퇴적상은 계절에 따라서 퇴적물의 함량과 퇴적구조에 변화를 보이며, 퇴적상의 변화양상은 계절풍의 방향과 세기, 폭풍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북서계절풍이 강한 겨울철과 봄철에는 사질 조간대의 퇴적상이 우세하며, 약한 남동풍이 우세한 여름철에는 니질 조간대의 퇴적상이 우세하게 분포한다. 가을철에는 혼합 조간대가 우세하게 나타난다. 표층퇴적물은 여름에는 전 조간대가 약 20 cm 두께의 니질 퇴적물로 뒤덮이고 가을이 지나 겨울로 가면서 니질 퇴적상에서 사질 퇴적상으로 바뀐다. 이러한 표층퇴적상의 변화는 바람도 세어지고 풍향도 바뀌어 조간대를 공격하는 파랑의 에너지가 강해지면서 여름철에 퇴적되었던 니질 퇴적물을 침식시키기 때문이다. 캔코아 주상시료에서 퇴적구조는 여름철에는 조간대 상부 ($0{\~}l.3 {\cal}km$)에서는 니질 퇴적물의 평행엽층리와 상승연흔 사엽층리가 하부 $(1.7{\~}2.3 {\cal}km)$에서는 괴상의 니질 퇴적층이, 겨울철에는 전체적으로 평행엽층리와 연흔사층리가 우세하게 나타나며, 부분적으로 둔덕사층리 (HCS)가 나타난다.

  • PDF

Geostatistical Analysis of Soil Enzyme Activities in Mud Flat of Korea

  • Jung, Soohyun;Lee, Seunghoon;Park, Joonhong;Seo, Juyoung;Kang, Hojeong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2호
    • /
    • pp.93-96
    • /
    • 2017
  • Spatial variations of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variables were examined to understand spatial heterogeneity of those variables in intertidal flat. Variograms were constructed for understanding spatial autocorrelations of variables by a geostatistical analysis and spatial correlations between two variables were evaluated by applications of a Cross-Mantel test with a Monte Carlo procedure (with 999 permutations). Water content, organic matter content, pH, nitrate, sulfate, chloride,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four extracellular enzyme activities (${\beta}-glucosidase$, N-acetyl-glucosaminidase, phosphatase, arylsulfatase), and bacterial diversity in soil were measured along a transect perpendicular to shore line. Most variables showed strong spatial autocorrelation or no spatial structure except for DOC. It was suggested that complex interactions between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in sediment might controls DOC. Intertidal flat sediment appeared to be spatially heterogeneous. Bacterial diversity was found to be spatially correlated with enzyme activities. Chloride and sulfate were spatially correlated with microbial properties indicating that salinity in coastal environment would influence spatial distributions of decomposition capacities mediated by microorganisms. Overall, it was suggested that considerations on the spatial distributions of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properties in intertidal flat sediment should be included when sampling scheme is designed for decomposition processes in intertidal flat sediment.

새만금 1호 방조제 외측 대항리 조간대 갯벌 지형 변화에 대한 영상 관측 (Camera Monitoring of Topographical Changes of Daehang-ri Intertidal Flat Outside Semangeum Sea Dike No.1.)

  • 김태림;박석광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6호
    • /
    • pp.453-461
    • /
    • 2009
  • 새만금 방조제 건설 이후 새로운 갯벌 생성이 보고되고 있는 1호 방조제 앞 대항리 갯벌의 지형 변화에 대한 영상 관측을 수행하였다. 갯벌 지역은 이동상의 어려움과 밀/썰물에 따른 시간상의 제약으로 국지 혹은 소수 기선의 현장 관측만으로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밀물시 조간대 갯벌에서 이동하는 수륙 경계선은 간조와 만조 정선 사이의 등고선을 나타낸다는 자연적인 원리를 이용하여 연속 촬영된 영상에서 관측된 수륙 경계선에 대한 실제 공간 좌표를 계산하고 이를 모두 통합함으로서 조간대 지형에 대한 3차원 지형정보를 획득하였다. 2005년 9월부터 2009년 9월까지 6차례의 영상 관측 결과를 분석한 결과 1호 방조제 외측 갯벌은 매년 평균 0.127 m 씩 퇴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간적 및 시간적으로 다양한 변화를 보였다.

인공위성 SAR 영상을 이용한 몽산포 조간대의 Ridge-Runnel 및 연흔 관찰 (Observation of Ridge-Runnel and Ripples in Mongsanpo Intertidal Flat by Satellite SAR Imagery)

  • 장소영;한향선;이훈열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15-122
    • /
    • 2010
  • 이 논문에서는 Envisat ASAR, JERS-1 SAR 영상과 현장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ridge-runnel 구조 및 연흔이 잘 발달해 있는 태안 몽산포 조간대를 분석하였다. Envisat ASAR 영상에서는 밝고 어두운 띠가 해안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3-5회 반복되어 관찰되었으며, 이는 노출된 조간대에서 ridge-runnel 구조로 판단하였다. 배수가 이루어져 지표잔존수가 없고 연흔이 발달해있는 runnel에서는 강한 후방산란을 보이고, 연흔이 없는 ridge나 배수가 잘 되지 않아 연흔이 물속에 잠겨 있는 runnel에서는 산란이 거의 없다. 반면에 JERS-1 SAR 영상에서는 조간대 전체가 매우 약한 신호를 보였으며, ridge-runnel 구조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현장에서 측정된 연흔의 파장은 대부분 4-10 cm 범위 내에 분포하며, 이는 C-밴드인 Envisat ASAR 영상에서 Bragg 산란의 첫 번째 모드에 의한 강한 후방산란을 일으키는 조건이 되지만, L-밴드인 JERS-1 SAR 영상에서는 그렇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SAR 영상을 이용하여 광학영상으로는 쉽게 관찰되지 않는 ridge-runnel 구조 및 연흔이 발달된 조간대의 분석이 가능함을 보였으며, 향후 조간대 퇴적상 연구에 SAR 영상이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위성영상 분석기술을 이용한 시흥갯벌의 지형 및 노출시간 분석 (Analysis on Topography and Exposure Duration of Siheung Tidal Flat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 구본주;김민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4호
    • /
    • pp.291-298
    • /
    • 2013
  • In order to investigate the topography and exposure duration of the Siheung tidal flat, tidal ranges and DEM constructed by remote sensing techniques were analyzed. A cross-sectional diagram of the intertidal area reveals that it is relatively flat in the upper zone and then abruptly plunges into the bottom of the main channel where elevations increase in an upstream direction. The waterline during the Highest Low Water (HLW) is drawn back to the bottom of the channel at the middle part of the tidal flat and is formed along the slant of the channel during the Lowest High Water (LHW). The intertidal zone is located between -410 cm and 510 cm in terms of elevation and its total area is $0.65km^2$. An area between the Highest High Water (HHW) and Lowest High Water (LHW), occupying about 80% of the total area, occupies $0.52km^2$ of total area and accounts for 56% of the exposure duration. The boundary of wetland protection area in the Siheung tidal flat did not exactly coincide with the intertidal regime and differs by more than 15%. This study, which precisely analyzed the tidal flat area, tidal environment, and topography, would be useful in making a conservation plan and in learning how to use a wetland protection area in a sustainable manner.

강화도 남부 갯벌퇴적물에서 산소 미세전극을 이용한 산소소모율 추정 (Estimation of Oxygen Consumption Rates by Using an Oxygen Microelectrode in Ganghwa Intertidal Flat)

  • 김동선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8권2호
    • /
    • pp.119-127
    • /
    • 2006
  • We measured oxygen microprofiles using an oxygen microelectrode in Ganghwa intertidal flat in April and September. Oxygen consumption rate was calculated by using three different methods based on the oxygen microprofiles. The method using the PROFILE software was thought to be the most reliable among the three methods. The oxygen consumption rates calculated at station D1 by using the PROFILE software were 10.5 and 6.27mmol $m^{-2}d^{-1}$ in April and September, respectively. At station D2, they were 10.9mmol $m^{-2}d^{-1}$ in April and 5.39 mmol $m^{-2}d^{-1}$ in September. There was little spatial variation, but large seasonal variation, with almost two times larger values in April than in September. The higher rate in April is ascribed to higher oxygen concentration in the seawater and higher organic carbon content in the surface sediments, which probably accelerate oxygen consumption for organic matter decomposition in the sediments. Aerobic remineralization rates estimated from the oxygen consumption rates ranged from 4.14 to 8.07 mmol C $m^{-2}d^{-1}$ in Ganghwa intertidal flat, which were much lower than the anaerobic remineralization rate.